• 제목/요약/키워드: wood adhesive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초

지류 문화재 보존처리용 전분계 풀의 특성 (제1보) - 전분의 종류에 따른 접착 특성 - (Characteristics of Starch Paste for Conservation of Paper Properties (Part 1) - The Nature and Adhesive Strength of Starch Paste -)

  • 양은정;조경실;최태호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4호
    • /
    • pp.52-64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tarch paste which was used for the conservation of paper properties. Three kinds of commercial corn starch and five kinds of fermented wheat starch were examined on the contents of amylose and amylopectin, shapes of particles, and viscosity and pH of paste. And adhesive strength on the drying, accelerated aging, and wetting treatments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amylopectin of oxidized corn starch were higher those of cationic corn starch, unmodified corn starch, and fermented wheat flour. In case of fermented wheat flour, increasing of a fermentation period was resulted in increasing of amylopectin contents. The particle shapes of commercial corn starch showed with a uniform polygon, but fermented wheat flour showed with a mixture of small and large oval types. The viscosity of oxidized corn starch were very lower those of cationic corn starch and unmodified corn starch. And increasing of a fermentation period of wheat flour was resulted in increasing of viscosity. The pH of commercial corn starch were 3.6-7.5 and fermented wheat flour were 3.6-5.2. Through the examination on the nature and adhesive strength of starch paste, the oxidized corn starch 60 cps which is the name of products and wheat flour which had fermented for 5 years were considered that most suitable for conservation of paper properties.

다양한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특성(I) - 단열성능 및 물리적 성질 - (Characteristics of Low Density Fiberboards for Insulation Material with Different Adhesives (I) -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Physical Properties -)

  • 장재혁;이민;강은창;이상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60-36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단열성능 및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친환경 목섬유 단열재의 제조 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멜라민 요소 폼알데하이드(MUF), 페놀 폼알데하이드(PF), emulsified MDI (eMDI) 및 라텍스계 수지 등 서로 다른 접착제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MUF, PF, eMDI 수지 접착제로부터는 경질(硬質) 저밀도섬유판이, 라텍스계 수지 접착제로부터는 연질(軟質)의 저밀도섬유판이 각각 제조되었다. 모든 저밀도섬유판은 일반 중밀도섬유판에 비해 현저히 낮은 열전도율을 나타냈으며, 압출 발포 폴리스티렌과 유사한 단열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 중 eMDI를 사용한 것은 흡수 두께/길이 팽창률 및 휨 강도 등 물리적 성질이 가장 우수하였다.

낙엽송 블록접착집성재의 접착 및 휨 강도 성능 (Bending and Bonding Strength Performances of Larix Block-glued Glulam)

  • 이인환;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15-322
    • /
    • 2016
  • 2개 이상의 보부재 집성재 요소들의 측면접착으로 제작된 "블록접착집성재"는 대단면 목조건축물의 건축부재로 활용 가능한 구조용재다. 블록접착집성재의 측면은 접착제의 종류와 도포량 및 압체압력을 각기 다른 조합으로 접착하여 박리시험과 전단블록시험으로 접착성능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레조시놀접착제 $500g/m^2$을 도포하고 압체압력 1.5 MPa의 조건으로 제작된 블록접착집성재의 측면접착성능이 가장 양호하였다. 양호한 측면접착조건으로 제작된 블록접착집성재는 동일단면계수의 대조군 집성재와 휨 강도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블록접착집성재의 휨 탄성계수는 대조군 집성재와 유사하였으며, 파괴계수는 대조군집성재 보다 27% 향상되었다. 할렬은 대조군집성재 보다 블록접착집성재에서 다량 발생하였으며, 블록접착집성재의 측면접착층에서 계면파괴나 응집파괴는 관찰되지 않았다.

Effect of Humidity Conditions on Bending Creep Performance of Finger-Jointed Woods

  • Park, Han-Min;Byeon, Hee-Seop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5호
    • /
    • pp.7-15
    • /
    • 2007
  •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finger-jointed woods according to change of humidity conditions, four types of finger-jointed woods glued with different kinds of adhesives and finger pitches were made with Sitka spruce, and the effect of humidity conditions on creep performances was investigated. The shape of creep curves differed among humidity conditions, and the inclination of creep curves was greatest in 85%RH, and lowest in 65%RH. Their creep curves showed a linear behavior beyond approximately one hour, regardless of humidity conditions. The A values of the creep curves fitted to power law increased with increasing relative humidity, whereas the A' values were in order of 30 > 85 > 65%RH unlike the A values. The initial deform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relative humidity, whereas the creep deformation unlike the initial deformation was in order of 85 > 30 > 65%RH, and it was found that the creep deformation of finger-jointed woods indicated the smaller amount in air-dry moisture content rather than in a low moisture content less than 30%RH. Finger-jointed woods with 6.8 mm (L) pitch had the greater creep amount than in those with 4.4 mm (S) pitch in all humidity conditions. The difference of creep amount between both adhesives in all humidity conditions was small. Relative creep at 240 hr was greatest as 62.2~71.9% in 85%RH, and the values indicated 2.1~2.6 times that of 30%RH and 3.0~3.6 times that of 65%RH and were equal or slightly greater than that of solid spruce.

MDF 섬유(纖維)의 표면(表面) 형태(形態)와 접착제(接着劑)의 분포(分布) 관찰(觀察) (Micromorphological Features of MDF Fiber Surface and Adhesives Distribution in MDF)

  • 김재우;박상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61-70
    • /
    • 1996
  • 침엽수재(針葉樹材)(Radiata pine, Pinus radiata)MDF와 활엽수재(闊葉樹材)(Rubber wood, Hevea brasiliensis)MDF 각 1종을 대상으로 MDF를 제조하기 전 원료(原料) 섬유(纖維)의 미세(微細) 구조(構造) 및 내부결합력 시험 후 MDF의 파괴면(破壞面)에서 섬유표면(纖維表面)에 접착제(接着劑)가 도포(塗布)된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였다. 원료 섬유는 침(針) 활엽수재(闊葉樹材) 모두 fiber twisting 및 shrinkage fold 등이 관찰되었다. 침엽수재(針葉樹材)의 경우는 유연벽공부(有緣壁孔部)에서 유연벽공(有緣壁孔)이 없는 부분에 비하여 shrinkage fold의 발생 빈도가 낮고 표면(表面) 박리(剝離)는 가도관(假導管) 중 벽공이 없는 부분에서 관찰되었다. 활엽수재(闊葉樹材) 목섬유(木纖維)는 침엽수재(針葉樹材)와 마찬가지로 shrinkage fold가 관찰되었으나 표면(表面) 박리(剝離)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활엽수(闊葉樹) 섬유(纖維)에서는 벽공의 유무에 따른 shrinkage fold의 차이(差異)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목섬유(木纖維)가 침엽수(針葉樹) 가도관(假導管)보다 작은 단벽공(單壁孔)을 갖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 방사유세포(放射柔細胞)와 가도관(假導管) 및 목섬유(木纖維)의 박리(剝離) 부분(部分)에는 융기부(隆起部)가 관찰되었다. 내부결합력 시험후 나타난 파괴면을 통하여 접착제 분포를 관찰한 결과 거의 모든 섬유(纖維)들이 접착제(接着劑)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섬유(纖維)간 접착형태(接着形態)도 매우 다양하였다. 침활엽수재(針闊葉樹材)간에 강도(强度)의 차이는 있었지만 파괴(破壞) 형태(形態)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침활엽수(針闊葉樹) 모두 접착층(接着層)이 아닌 섬유(纖維)에서 파괴(破壞)가 발생하였으며 섬유에서 박리(剝離)된, 세포벽(細胞壁)의 일부가 다른 섬유(纖維)의 표면(表面)에 남아있는 형태와 섬유(纖維) 표면(表面)에서 떨어져 나간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구성이 단순한 침엽수(針葉樹) MDF에 비하여 유세포(柔細胞)와 도관(導管) 및 목섬유(木纖維)의 파편들이 활엽수(闊葉樹) MDF에서는 다양(多樣)하게 분포하였다.

  • PDF

목재 단판-대나무 제퍼 복합보드 제조: II. 복합보드의 성능에 미치는 제조조건의 영향 (Manufacture of Wood Veneer-Bamboo Zephyr Composite Board: II. Effect of Manufacturing Conditions on Properties of Composite Board)

  • 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08-117
    • /
    • 2007
  • 생장 기간이 매우 빠르고 섬유방향의 강도적 성질이 우수한 대나무를 합판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케루잉단판-솜대 zephyr 복합 패널(WBCB)의 제조 조건(수지접착제의 종류, 도포량, 도포방법)이 패널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수지의 종류에 따른 5-ply WBCB의 성능은 폴리메릭 이소시아네이트수지(PMDI)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어 페놀수지(PF), 페놀 멜라민수지, 요소 멜라민수지 및 요소수지의 순이었다. 사용한 수지 중 강도적 측면과 작업성을 고려할 때 PF 수지에 의한 복합 패널 제조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PF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12 mm 두께의 5-ply WBCB의 경우, 수지의 도포량이 증가하면 패널의 성능도 향상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박리강도 측정 후의 파괴양상은 도포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나무 외층-대나무 내층 경계층의 파괴가 증가한 데 반하여 대나무 제퍼 내부층의 파괴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WBCB 제조시 수지가 다소 zephyr 내부까지 침투할 정도의 수지 도포량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며, 표면 단판의 오염성과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320g/m^2$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일한 PF수지 도포량에서 수지의 도포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5-ply 복합 패널의 성능은 양면과 편면 스프레이 도포 간과 스프레이와 롤러에 의한 도포방법 간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주어진 환경에서 작업성이 좋은 도포방법을 채택하면 될 것으로 생각된다.

First Report of an Unrecorded Nematode-Trapping Fungus Species Monacrosporium phymatopagum in Korea

  • Wu, Hai-Yan;Kim, Dong-Ge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264-266
    • /
    • 2010
  • A fungus that can capture nematodes by means of sessile adhesive knobs was isolated from rotten wood in Uiseong, Korea. It was found to produce single, spindle-shaped, 3-4 septate (commonly 4-septate) conidia, $44.8\;{\mu}m$ (range, $41.6-50.1\;{\mu}m$) long and $13.3\;{\mu}m$ (range, $10.7-15.4\;{\mu}m$) wide. Conidiophores were found to be hyaline, erect, straight, and $202.7-245.7\;{\mu}m$ high. On the basis of these morphological features,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Monacrosporium phymatopagum. This is the first report of M. phymatopagum in Korea which can be a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resource of plant parasitic nematode.

Poly(VAc-co-EA)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 보호콜로이드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protective colloid on the synthesis of Poly(Vinyl acetate-co-Ethyl acrylate))

  • 김남석;김성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6-221
    • /
    • 2010
  • Polyvinyl acetate (PVAc)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has broad applications for additive such as paint binder, adhesive for wood and paper due to its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hich help to plasticize substrate resins. Since emulsion polymerization has a disadvantage that surfactant and ionic initiator degrade properties of the product polymer, poly (vinyl acetate-eo-ethyl acrylate) (VAc-EA) was synthesized using potassium persulfate as catalyst and polyvinylalcohol (PVA) as protective colloid to prevent the degradation. The copolymer latex product was internally plasticized and has enhanced adhesion, water resistance during VAc-EA emulsion polymerization. No coagulation and complete conversion occur with the reactant mixture of 10 mmol/L potassium persulfate, 10 mmol/L poly ( vinyl alcohol) (PVA 17). As the concentrations of PVA increase, the viscosity becomes increase.

코르크를 활용한 실내공기질 개선용 흡착 경화체의 특성 (Properties of Adsorption Matrix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using Cork)

  • 김연호;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6-57
    • /
    • 2019
  • Recently, the risk of fine dust is emerging in Korea. According to the OECD report, the incidence of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from lung disease is increased, and the incidence of lung cancer and mortality from ischemic heart disease with prolonged exposure are increased. In addition, indoor air quality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human body as indoor life has increased due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Air pollutants that cause indoor air deterioration typically include particulate dusts as described above, formaldehyde and VOCs released in gaseous form from adhesive wood products used in building materials and furniture. May cause breathing problem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perties of adsorption matrix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using cork.

  • PDF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적층방법에 따른 합판의 접착성능 (Adhesion Performance of Plywoods Prepared with Different Layering Methods of Thermoplastic Resin Films)

  • 강은창;이상민;박종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559-5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사용량과 적층방향에 따른 합판의 접착성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용된 표판과 이판은 열대산 활엽수 잡목(Mixed light hardwood) 단판과 심판은 라디에타파인(Pinus radiata D. Don) 단판을 사용하였다. 필름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필름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필름을 사용하였다. 먼저 PP와 PE 필름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열분석과 인장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P 필름과 PE 필름의 용융온도는 $163.4^{\circ}C$, $109.7^{\circ}C$였으며, 결정화온도는 $98.9^{\circ}C$, $93.6^{\circ}C$로 나타났다. 각 필름별 인장강도와 신장률은 길이방향보다 폭방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필름의 특성을 고려하여, 필름 사용량에 대한 시험은 단판 상에 목표두께별로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필름의 적층방향에 따른 시험은 단판의 목리방향을 기준으로 필름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구분하여 각각 적층한 후 합판을 제조하였다. 각각 제조된 합판으로 접착성능을 시험한 결과, 준내수 인장 전단 접착력은 PP 필름의 두께가 0.05 mm 이상, PE 필름은 0.10 mm 이상일 때 KS기준을 만족하였다. 내수 인장 전단 접착력은 PP 필름 두께가 0.20 mm일 때 KS기준을 상회하였다. 필름의 적층방향별 접착성능 시험에서, 단판의 목리방향과 필름의 폭방향으로 적층했던 합판은 필름의 길이방향으로 적층했던 합판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현미경으로 관찰된 합판의 표면과 접착층에서 열가소성수지가 단판 내부와 할렬부위로 침투하여 기계적 결합을 이룬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