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spawning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19초

겨울철 산란하는 대구, 꼼치, 노래미 전기 자어의 발달 비교 (Comparative Early Developments in Winter Spawned Three Pre-larval Fishes(Gadus macrocephalus, Liparis tanakae, Hexagrammos agrammus))

  • 신민규;이소광;이정태;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17
    • /
    • 2018
  • 겨울철 환경에 대한 초기 적응을 조사하기 위해 대구(Gadus macrocephalus), 꼼치(Liparis tanakae),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자어의 부화 직후와 첫 섭식 시 외부형태, 소화기관, 유영능력의 발달을 확인하였으며, 다른 계절에 부화하는 어종과 비교하였다. 평균 전장(${\pm}SD$)은 대구 $4.35{\pm}0.11mm$, 꼼치 $5.26{\pm}0.08mm$, 노래미 $7.48{\pm}0.35mm$로 부화 시 다른 계절 부화자어에 비하여 컸으며, 세 어종 모두 초기소화기관을 갖춘 후 부화하여 다른 계절 부화자어에 비해 초기소화기관 확립시기가 빨랐다. 대구, 꼼치, 노래미의 첫 섭식 시기가 부화 후 3일, 2일, 0일이었고, 난황을 갖고 있는 기간이 5일 이상으로 다른 계절에 부화하는 자어에 비해 혼합섭이기간이 비교적 길었다. 이 3종 자어의 유영능력은 다른 계절 부화자어에 비해 순항유영속도와 돌진유영속도 모두 부화 직후부터 빨랐다. 이러한 특징들은 자어가 생존하기 어려운 겨울철 환경에 대한 자연선택 및 환경적응의 결과로 생각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산란장 환경 변화 (Changes in the Spawning Ground Environment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due to Climate Change)

  • 김윤하;정해근;이충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127-143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the spawning ground area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To estimate long term changes in the area of the spawning ground of the common squid, water temperature at 50 m deep that can be inferred from sea surface temperature (SST) based on both NOAA/AVHRR (1981.07-2002.12) and MODIS/AQUA (2003.01-2009.12) ocean color data was analyzed. In addition, five climate indices, Arctic Oscillation Index (AO), Siberian High Index (SH), Aleutian Low Pressure Index (ALP), East Asia Winter Monsoon Index (EAWM) and Pacific Decadal Oscillation (PDO) which are the main indicators of climate change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were us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estimated spawning ground and climate indices. The area of the estimated spawning ground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otal catch of common squid throughout four decades. The area of the estimated spawning grou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H and EAWM. Especially, PD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rea of the spawning ground in the northwestern Pacific (r = -0.39) a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r = -0.38).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O and the area of the spawning ground in the northwestern Pacific (r = 0.46) as well a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r = 0.32). Temporally, the area of the winter spawning grou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in the 1980s was smaller than those areas in the 1990s and 2000s, because the area was disconnected with the western coastal spawning ground of Japan in the 1980s, while the area had been made wider and more continuous from the Korea strait to the western coastal water of Honshu in the 1990s and 2000s.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A1B)에 따른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산란장의 변동 예측 (Prediction of the Spawning Ground of Todarodes pacificus under IPCC Climate A1B Scenario)

  • 김중진;민홍식;김철호;윤진희;김수암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253-264
    • /
    • 2012
  • In the northwestern Pacific, spawning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occurs at continental shelf and slope areas of 100-500 m, and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spawning and survival of paralarvae is assumed to be $18-23^{\circ}C$. To predict the spawning ground of Todarodes pacificus under future climate conditions, we simulated the present and future ocean circulations, using an East Asia regional ocean model (Modular Ocean Model, MOM version3), projected by two different global climate models (MPI_echam5, MIROC_hires), under an IPCC SRES A1B emission scenario. Mean climate states for 1990-1999 and 2030-2039 from 20th and 21th Century Climate Change model simulation (from the IPCC 4th Assessment Report) were used as surface conditions for simulations, and we examined changes in spawning ground between the 1990s and 2030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stribution of spawning ground in the 2030s in both climate models shifted northward in the East China Sea and East Sea, for both autumn and winter populations, compared to that of the 1990s. Also, the spawning area (with $1/6^{\circ}{\times}1/6^{\circ}$ grid) in the 2030s of the autumn and winter populations will decline by 11.6% (MPI_echam5) to 30.8% (MIROC_hires) and 3.0% (MPI_echam5) to 18.2% (MIROC_hires), respectively, from those of the 1990s.

황아귀 Lophius litulon 의 분포와 산란 (Distribution and Spawning of the Yellow Goosefish , Lophius litulon)

  • 차병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3권2호
    • /
    • pp.97-108
    • /
    • 1997
  • 황해와 동중국해역에서 근해안강망에 의해 어획되는 황아귀의 어획량 변동과 어장 분포, 그리고 산란 생태를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황아귀는 연중 어획되며, 이중 많이 어획되는 시기는 겨울철, 가장 적게 어획되는 시기는 여름철인 것으로 나타났다. 황아귀의 어장은 황해와 동중국해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중심어장은 일향초 주변 해역으로 어획량이 50 M/T 이상, CPUE가 5kg/haul 이상, C.V는 0.6~0.7의 범위로 낮게 나타났다. 황아귀의 산란시기는 3월과 4월경이며, 이때의 산란장은 일향초와 제주도 사이해역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황아귀의 어장은 월별에 따라 이동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는데, 즉, 겨울에는 황해저층냉수와 대마난류수의 남하로 어장은 제주도 서방해역에 주로 분포한다. 또 산란시기인 3월과 4월경이 되면, 일향초 부근 해역으로 어장이 밀집하지만, 산란이 끝난 5월이후가 되면 수온의 상승과 더불어 어장은 황해와 동중국해역으로 널리 분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실내사육 넙치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under Captive Conditions)

  • 민병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5-39
    • /
    • 1988
  • 사육 조건하에서 넙치는 사육 수온이 $12^{\circ}C$에서 $14\~15^{\circ}C$로 상승하고 광선 주기가 10L/14D에서 14L/10D로 되는 시기에 성숙하여 산란하였다. 사육 환경하에서 사육된 어미의 산란 기간중 전반기에 산란된 수정란이 후반의 것에 비하여 양질의 알로서 종묘의 대량 생산시에는 전반의 수정란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알라스카만 쉘리코프 해협에서 산란하는 명태, Theragra chalcogramma,의 분포에 대하여 : 1981, 1984~85년의 음향학적 조사 및 난치자어 조사 (Distribution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Spawning in Shelikof Strait, Gulf of Alaska, Based on Acoustic and Ichthyoplankton Surveys 1981, 1984 and 1985)

  • 김수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25-438
    • /
    • 1990
  • 쉘리코프 해협에서 산란하는 명태의 정확한 산란장소 및 시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1 년, 1984년, 1985년에 음향학적 조사 및 난치자어 조사를 하였다. 알라스카만의 명태는 산란하기 위하여 늦겨울 내지 초봄에 쉘리코프 해협으로 이동한다. 명태는 대륙사면으로 부터 따뜻하고 염분도가 높은 해수를 이용하여 해협 남동쪽 입구의 바닥을 타고 들어와 중앙부의 서쪽면에 있는 깊은(>200 m) 곳에 모여들고, 3월부터 산란을 한다. 최대산란은 이곳에서 3월 하순부터 4월 초순에 걸쳐 일어나고, 해협내 수괴의 성질(해수온, 염분도, 밀도 등)은 해마다 다르지만 산란시기 및 장소는 거의 변함이 없다. 이 해역은 어류의 산란장이 보육장과 가까이 있다는 지리적 이점 이외에도 해마다 이 시기에는 해수의 이동량이 최저치로 내려가고 식물플랑크톤 번식의 핵심요소인 해수의 표면 혼합층이 최소로 된다는 해양학적 현상 때문에 알라스카만 명태의 최적합 산란장이 되어왔다고 추측된다. 4월 초순 이후, 산란행위는 급격히 감소하며 산란장은 북동쪽과 남서방향으로 약간 확장됨을 보여준다.

  • PDF

동계 진해만에서의 자어 분포 및 종조성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Larval Fish during Winter Season in Jinhae Bay, Korea)

  • 이정훈;김정년;남기문;김창원;김주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3-138
    • /
    • 2014
  • 진해만에서 동계기간 동안 자어의 분포 및 종조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8과 12종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으로는 Pholis crassispina, Clupea pallasii, Liparis tanakae, Hexagrammos otakii였다. 이들 4종은 출현한 총 개체수의 93%를 차지하였다. 잠도와 칠천도 동쪽에서 높은 밀도와 종 다양성을 보여, 이 지역이 진해만에서 자어의 주요 산란장인 것을 의미한다.

대형 담수산새우, Macrobrachium rosenbergii (De Man)의 생식생리에 관한 연구 I. 탈피행동과 수온이 탈피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Reproductive Biology of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De Man) 1. Molting Behavior and Effect of Rearing Termperature on Molt)

  • 권진수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권2호
    • /
    • pp.173-180
    • /
    • 1997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lting behavior and the effects of rearing temperature and day length on molting in the behavior and the effects of rearing temperature and day length on molting in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reared in the laborator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 1. After pre-spawning molting, the protopodites of 1st, 2nd, 3rd, and 4th except 5th pleopod bore new breeding setae which conserve eggs in the brooding chamber and the basis of 3rd, 4th, and 5th pereiopods bore new breeding dresses which transport the ovulated eggs into the brooding chamber. 2. Adult females reared in 27.5-$29.4^{\circ}C$ molted 10-12 times per year at interval of 27-35 days, of which four or six moltings were common molting for growth and another four or five moltings were pre-spawning molting for spwaning and brooding. In winter season, pre-spawning molting did not happen to most of adult females in spite of the same temperature. 3. Duration of intermolt cycle was 31-38 days and 26-30 days at 25.3- $26.5^{\circ}C$ and 28.7- $30.4^{\circ}C$ of rearing temperature, respectively.

  • PDF

섬진강에 서식하는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 (Cobitidae)의 생태 (Ecology of Iksookimia longicorpa (Cobitidae) in the Seomjin River, Korea)

  • 김익수;고명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2-122
    • /
    • 2005
  • Iksookimia longicorpa was investig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omjin River in Korea from 2003 to 2004. It inhabited pebble and cobble bottoms with water-current velocities of 10~30 cm/sec and depths of 30~100 cm. This species is active during daylight hours from March to October but hibernated in the river bottoms in the winter season. The sex ratio of female to male was 1 : 0.65, and the female was 20~40 mm larger than the male. Female length frequencies in this population indicated that the 65~90 mm group is 1+years old, the 90~110 mm group is 2+ years old, and the 110~130 mm group is 3+ years old. The males developed a secondary sexual character, the lamina circularis at the base of their pectoral fin, after 13~14 months. The spawning season was from early to middle June with water temperatures of $20{\sim}24^{\circ}C$ individuals became sexually mature after the age of 2 years. The average number of eggs in the ovaries was $2,402{\pm}944$. Stomach contents were mainly Chironomidae, Ephemeroptera, Arcellidae and Algae. The feeding rate was highest in April and September; they did not fed in the winter.

군산 연안 어류의 군집 변동 (The Fluctuation of Fish Communities from the Coast of Kunsan, Korea)

  • 유봉석;최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94-207
    • /
    • 1993
  • 1992년부터 1993년까지 군산 연안 어류 군집의 계절적 변동을 조사하였으며, 조사 기간에 채집된 어종은 14목 47과 82속 98종이었다. 저인망에 의해서 채집된 어류 가운데 참서대 Cynoglossus joyneri와 꽃돛양태 Repomucenus ornatipinnis가 연중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낭장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로는 밴댕이 Harengula zunasi와 멸치 Engraulis japonica가 겨울을 제외한 계절에 우점어류로 나타났다. 낭장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와 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생체량은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전자의 경우 여름철에 후자의 경우 늦봄과 겨울철에 가장 많은 양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여름철에 양태 Platycephalus indicus, 겨울철에 꼼치 Liparis tanakai가 조사 해역에서 많은 출현량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들 어류는 특히 산란기에 내만쪽으로 모여든다. 한편 조간대에서는 모두 14종의 어류가 출현하였는데 이들 중 13종은 망둑어과 어류이며 산란기에 다량 출현함으로서 군산 연안은 많은 연안 어류의 산란장으로 여겨진다. 조사 기간 동안에 낭장망, 족대, 저인망, 그 밖의 어망으로 채집한 어류의 계절별 종 수는 봄철에 64종, 여름철에 59종, 가을철에 63종, 겨울철에 27종이었으며 군산 연안 어류의 계절별 출현량 및 종조성 변동은 주로 수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