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Spawning in Shelikof Strait, Gulf of Alaska, Based on Acoustic and Ichthyoplankton Surveys 1981, 1984 and 1985

알라스카만 쉘리코프 해협에서 산란하는 명태, Theragra chalcogramma,의 분포에 대하여 : 1981, 1984~85년의 음향학적 조사 및 난치자어 조사

  • KiM Suam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Polar Research Center) ;
  • NUNNALLEE Edmund P. (Alaska Fisheries Science Center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National Oceanic u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 Published : 1990.12.01

Abstract

Acoustic and ichthyoplankton data collected from Shelikof Strait in 1981, 1984 and 1985 were examined to determine spawning ground and period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Walleye pollock in the Gulf of Alaska migrated into Shelikof Strait for spawning during late winter and early spring. They entered Shelikof Strait via the warm and saline deep layer (continental slope water mass) in the southwestern channel, and major fish schools concentrated for spawning along the deep trough (250~300m) in the western part of the central strait. Peak spawning activity occurred there from late March to early April. Peak spawning time and area in Shelikof Strait varied little between years, despite difference in hydrography. Geographical advantages together with some oceanographic phenomena (reduced water transport and reduced mixed layer depth in spring) made that area an optimal spawning ground in the Gulf of Alaska during early April. After early April, spawning intensity decreased rapidly and the spawning area tended to expand to the northeast and southwest.

쉘리코프 해협에서 산란하는 명태의 정확한 산란장소 및 시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1 년, 1984년, 1985년에 음향학적 조사 및 난치자어 조사를 하였다. 알라스카만의 명태는 산란하기 위하여 늦겨울 내지 초봄에 쉘리코프 해협으로 이동한다. 명태는 대륙사면으로 부터 따뜻하고 염분도가 높은 해수를 이용하여 해협 남동쪽 입구의 바닥을 타고 들어와 중앙부의 서쪽면에 있는 깊은(>200 m) 곳에 모여들고, 3월부터 산란을 한다. 최대산란은 이곳에서 3월 하순부터 4월 초순에 걸쳐 일어나고, 해협내 수괴의 성질(해수온, 염분도, 밀도 등)은 해마다 다르지만 산란시기 및 장소는 거의 변함이 없다. 이 해역은 어류의 산란장이 보육장과 가까이 있다는 지리적 이점 이외에도 해마다 이 시기에는 해수의 이동량이 최저치로 내려가고 식물플랑크톤 번식의 핵심요소인 해수의 표면 혼합층이 최소로 된다는 해양학적 현상 때문에 알라스카만 명태의 최적합 산란장이 되어왔다고 추측된다. 4월 초순 이후, 산란행위는 급격히 감소하며 산란장은 북동쪽과 남서방향으로 약간 확장됨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