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 flounder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2초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on Growth, Feed Utiliz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Adult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Lee Jong Ha;Cho Sung Hwoan;Lim Han Kyu;Kim Kyoung-Duck;Lee Sang-M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7권4호
    • /
    • pp.184-191
    • /
    • 2004
  • A 25-week feeding trial of two dietary protein (47 and $52\%$) and three dietary lipid level (7, 12 and $17\%$) factorial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on growth, feed utiliz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adult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average initial weight 332 g, during the winter season. Survival of fish was not affected by either dietary protein or dietary lipid level. Weight gain,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improved with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except for those of fish fed the $52\%$ protein diet with $17\%$ lipid. The best growth and feed utilization were observed in the $52\%$ protein diet with $12\%$ lipid,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fish fed the $52\%$ protein diet with $17\%$ lipid or the $47\%$ protein diets with $17\%$ lipid levels. Hepatosomatic and visceral somatic index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ietary protein level, but not by dietary lipid level. None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or glycogen contents of dorsal muscle or liver in starry flounder except for crude lipid in dorsal muscl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ither dietary protein or dietary lipid level.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oth dietary protein and dietary lipid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ets containing $47\%$ protein with $17\%$ lipid or $52\%$ protein with $12-17\%$ lipid are optimal for growth and feed utilization of adult starry flounder under these experimental conditions.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문치가자미(Pseudopleuronectes yokohamae)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West Sea in Korea)

  • 노태형;최동혁;이승환;권대현;한경호;김맹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583-589
    • /
    • 2022
  • The feeding habits of the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were studied using 384 specimens (10.7-52.3 cm in total length) collected from the West Sea, Korea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21. P. yokohamae ate mainly polychaeta and gastropoda, incuding teleostei, caridea, euphausiacea, amphipoda and brachyura. The mean number of preys per stomach (mN/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mean weight of prey per stomach (mW/ST) increased as the total length increased. P. yokohamae ate mainly teleostei in spring and winter. P. yokohamae ate mainly euphausiacea in summer and mainly polychaeta in autumn.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의 성성숙과 생식소발달 (Sexual Maturity and Gonadal Development of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 변순규;김성연;김진도;이배익;이종하;한경호;정민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9-186
    • /
    • 2011
  • 찰가자미는 우리나라 연해, 일본 서해, 발해, 황해 및 동중국해에 서식하며, 겨울철인 12월에서 3월 사이에 어획된다. 채집이 가능하였던 2006년 1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찰가자미의 생체지수, 생식소발달, 생식주기, 난경조성 및 포란수 등을 조사하였다. 찰가자미의 생식소중량지수(GSI)는, 암컷의 경우 11월에 3.8에서 12월 9.76, 1월 12.46까지 계속 상승하다가, 2월에 9.01, 3월 2.72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수컷도 11월 0.44에서 12월 2.46로 상승한 후 l월에 1.77, 2월에 1.18로 점차 감소하여 3월에는 0.4로 감소하였다. 생식소발달 단계는 성숙기(11~1월), 완숙 및 산란기(l2~2월), 퇴화 빛 휴지기 (2~3월)의 연속적인 생식 주기가 관찰되었으며, 주 산란기는 1~2월이었다. 포란수(F)와 전장(TL)과의 관계는 F=29.027TL - 767.8 (r$^2$=0.7686)로 나타났고, F와 체중(BW)과의 관계는 F=0.3998BW +24.288 (r$^2$=0.8919)로 나타났다.

제주의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를 대상으로 한 여윔증 모니터링(2010-2013) (Monitoring of Emaciation Disease in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2010-2013), Korea)

  • 김승민;전려진;박명애;정승희;정현도;정준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719-724
    • /
    • 2015
  • In this study aiming at the cultured olive flounders in Jeju island of Korea, has performed a total of 216 cases of pathogen tests for the olive flounders which seemingly had the symptom of emaciation in 24 farms on the suspicion of its occurrence from June 2010 to December 2013 and intended to get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pathoge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of the emaciation infection status of 24 farms in Jeju over the period of this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18 (75%) of 24 farms in Jeju are positive in the emaciation infection. Among them, as for the rate of infection per year, it was observed that they are 38% in 2010, 48% in 2011, 50% in 2012 and 60% in 2013, and over the period of this survey the infection rate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water has observed a variety of incidence rates from the summer to the winter seas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aciation infection status for each size, the equivalent showed a detection rate, 54% in 11-20 cm, 43.9% in 21-30 cm and 25.4% in over 31 cm. This result accounts for an important portion among the diseases of farmed olive flounders in Jeju,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diseases which cause troubles in the farms for olive flounders on land and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order to estimate emaciation which may occur in the similar size of the cultured olive flounders in Jeju island.

Type I 결빙방지 단백질 조각 이량체의 결빙방지 활성 (Antifreeze Activity of Dimerized Type I Antifreeze Protein Fragments)

  • 김학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84-590
    • /
    • 2017
  • 결빙방지 단백질(Antifreeze protein, AFP)은 얼음 결정에 결합하여 결정의 성장을 억제한다. AFP는 영하의 환경에서 서식하는 생물체의 생존에 필수적이다. 겨울 넙치에서 분리된 type I AFP (AFP37)는 37 개의 잔기를 가진 ${\alpha}$-나선 구조의 펩타이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과 수용성이 높은 짧은 AFP 조각을 개발하고자 시도하였다. 아미노-말단 15, 21 잔기의 AFP15와 21를 설계 및 합성하였다. 이들 펩타이드의 아미노-말단에 CGG를 도입한 AFP15N and 21N을 합성하고 이황화 결합을 유도함으로써 이량체 펩타이드인dAFP15N과dAFP21N을 합성하였다. 이들의 나선 함량과 결빙방지 활성을 circular dichroism (CD) 분광법과 나노리터 삼투압계로 각각 측정하였다. 합성된 펩타이드 AFP15 AFP21, AFP15N, AFP21N, dAFP15N, dAFP21N의 나선 구조 함량은 대조구인 AFP37의 49, 41, 23.8, 28, 47.9, 51.7% 수준을 보였다. 이들의 결빙방지 활성은 AFP37의 13, 7, 0.05, 5.6, 13, 11%로 나타났다. 예상과는 달리 이량체화된 펩타이드는 단량체와 비슷한 결빙방지 활성을 보였다. 이는 이량체 펩타이드가 하나의 펩타이드로 얼음과 결합하기 보다 두 개의 개별적 펩타이드로 작용함으로써 단량체와 같은 활성을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펩타이드들에 의한 별 모양의 얼음 결정 형성은 펩타이드와 얼음의 약한 결합을 시사한다.

겨울철 양식 능성어의 바이러스성뇌망막증(VER) 감염사례 (A Case Study of Mortality Caused by Viral Encephalopathy and Retinopathy (VER) in Cultured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during Winter)

  • 원경미;이정태;조미영;김명석;김나영;정승희;이남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7-164
    • /
    • 2017
  • 2015년 겨울, 우리나라 남해안 소재 육상 양식장에서 사육 중이던 능성어의 약 30%가 폐사하였다. 수온 $9{\sim}12^{\circ}C$의 겨울철에 발생한 능성어 폐사는 신경괴사성바이러스 (NNV)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성뇌망망증 (VER)으로 밝혀졌다. 시험어는 비정상적인 유영, 배를 위로한 채 수면을 떠 다니는 현상, 체색흑화, 안구백탁 및 부레의 과도한 팽창 소견을 보였다. 원인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고수온기 능성어에 감염되는 RGNNV genotype이 아닌, 냉수성 어류에서 분리되는 BFNNV genotype으로 밝혀졌으며, NNV 가장 근연관계가 높은 Pacific cod betanodavirus (PCNNV)와 99.7~100% 상동성을 보였다. 병리조직학적 관찰 결과, 바이러스성뇌망망증 (VER)의 특징적인 병변인 뇌조직의 공포화 및 괴사를 수반하였다. 이 연구는 수온 $12^{\circ}C$ 이하의 겨울철에 능성어에 감염된 BFNNV genotype에 대한 첫 보고이다.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먹이섭식, 성장 및 무안측 체색발현에 있어 수온, 수조색상 및 조도의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Background Color, and Light Intensity in Feeding, Growth and Blind-Side Hypermelanosis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강덕영;김원진;김효찬;장영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5-193
    • /
    • 2014
  •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먹이섭식, 성장 및 무안측 흑화에 있어 수온, 수조색상 및 조도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장(TL) $17.3{\pm}0.5cm$ 및 체중(BW) $82.5{\pm}0.2g$의 양성어 중 정상 개체만을 선별하여, 6월에서 12월까지 180일 동안 환경 조건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국방색과 흰색수조($H100cm{\times}L100cm{\times}W100cm$; bottom area $1m^2$)를 이용하여 평균 조도 230 lux와 1,000 lux에서 2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이 때 실험 밀도는 100마리/수조(430% of initial covering area [PCA])였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 기간동안, 수온 및 염분과 일간먹이섭식량(DFI)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고, DFI, 먹이효율(FE), 성장, 생존율, 무안측 흑화률 및 흑화개체 비율을 실험구별로 비교하였다. DFI는 염분과의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지만, 겨울과 여름철 0.5 g/fish/day까지 유의하게 감소하고, 반대로 수온 $10{\sim}20^{\circ}C$인 가을에 1.5 g/fish/day 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강도다리 양식은 수온 $10{\sim}20^{\circ}C$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DFI, FE 및 생존율은 배경색상과 조도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가자미류의 무안측 흑화 발현 인자로 알려진 200% PCA 이상의 높은 밀도, 어두운 배경색상과 과도하게 밝은 조도가 강도다리에게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