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ine yeast

Search Result 215, Processing Time 0.243 seconds

포도주 효모에 의한 중간크기의 지방산 생성 (Formation of Medium Chain Fatty Acid by Wine Yeasts)

  • 이수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32-837
    • /
    • 1989
  • 포도주 발효에 사용되는 호모균주 12종을 Murphy배지에 배양하여 중간크기의 지방산(MCFA)의 생성을 분석하였고 발효조건에 따라 그 생성량을 관찰하였다. 특히 발효력이 강한 Saccharomyces cerevisiae에 속하는 균주들은 발효초기에 decanoic acid를 약 21-26mg/1 생성하였고 발효 후기에는 약 5-10mg/1로 감소하였다. 발효조건에서 볼 때 MCFA의 생성은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당함량이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또한 탄산가스의 존재 하에서도 증가하였다.

  • PDF

야생 Killer 효모 Candida dattila의 분리 및 동정

  • 최언호;장해춘;정원철;정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
    • /
    • 1990
  • 본 연구는 야생 killer 효모에 의한 포도주의 이상발효를 방지하고 오염균주에 내성이 강한 killer 특성을 이용하는 전 단계로서 국내 포도에서 생육하는 야생 killer 효모를 분리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17개의 killer 효모 균주를 분리하였고 그 중 K109와 K112의 killer 활성이 가장 강하였으며, K117 균주의 killer 활성이 가장 약하였다. 분리된 17개의 균주는 서로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생육을 억제하는 특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생리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지금까지 killer 효모로서 보고된 적이 없는 Candida dattila로 동정되었다. 이에 각 균주를 Candida dattila K101-K117로 명명하였다.

  • PDF

구기자-맥문동 전통주 제조용 진균 발효제와 알콜발효 효모의 선발 및 최적 발효조건 (Screening of Fungal Nuruk and Yeast for Brewing of Gugija-Liriope tuber Traditional Rice Wine and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

  • 송정화;백승예;이대형;정재홍;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8-84
    • /
    • 2011
  • 구기자와 맥문동을 이용하여 새로운 생리기능성 전통주를 개발하고자 항고혈압 활성이 보고된 구기자 3품종과 항통풍성을 가진 맥문동 2품종과 시판 Saccharomyces cerevisiae 3종류와 시판 2종류의 발효제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구기자-맥문동 전통주 제조에 적합한 알콜 발효 효모로 Saccharomyces cerevisiae C-2와 당화효소를 생성하는 진균 발효제로 SJ누룩을 최종 선발 하였다. 또한 이들을 이용한 발효 최적조건으로 구기자-맥문동 첨가량과 발효 최적시간 등을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장명 구기자와 맥문동 1호를 덧밥에 각각 3%씩 첨가하고 Saccharomyces cerevisiae C-2와 SJ 누룩으로 $25^{\circ}C$에서 5일간 발효시켜 고품질의 기호도가 높고 항고혈압 활성과 항통풍성을 가진 새로운 구기자-맥문동 전통주를 개발하였다.

Development of a Method to Measure Hydrogen Sulfide in Wine Fermentation

  • Park, Seung-K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9호
    • /
    • pp.1550-1554
    • /
    • 2008
  • A hydrogen sulfide $(H_2S)$ detecting tube was develope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H_2S$ produced by yeast during laboratory scale wine fermentations. The detecting tube consisted of a small transparent plastic tube packed with an $H_2S$-sensitive color-indicating medium. The packed medium changed color, with the color change progress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tube, upon exposure to $H_2S$ produced by yeast during fermentation. A calibration study using a standard $H_2S$ gas showed that the length of the portion that darkened was directly related to the quantity of $H_2S$ (${\mu}g$) with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r^2$=0.9997). The reproducibility of the $H_2S$ detecting tubes was determined with five repetitive measurements using a standard $H_2S$ solution [5.6${\mu}g$/200 ml (28 ppb)], which resulted in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3.6% at this level of $H_2S$. With the sulfide detecting tubes, the production of $H_2S$ was continuously monitored and quantified from laboratory scale wine fermentations with different yeast strains and with the addition of different levels of elemental sulfur to the grape juice. This sulfide detecting tube technology may allow winemakers to quantitatively measure $H_2S$ produced under different fermentation conditions, which will eventually lead winemakers to better understand the specific factors and conditions for the excessive production of $H_2S$ during wine fermentation in a large production scale.

Ethanol Production from Rice Winery Waste - Rice Wine Cake by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Without Cooking

  • Vu, Van Hanh;Kim, Ke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0호
    • /
    • pp.1161-1168
    • /
    • 2009
  • Ethanol production by the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SSF) of low-value rice wine cake (RWC) without cooking was investigated. RWC is the filtered solid waste of fermented rice wine mash and contains 53% raw starch. For the SSF, the RWC slurry was mixed with the raw-starch-digesting enzyme of Rhizopus sp. and yeast, where the yeast strain was selected from 300 strains and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KV25. The highest efficiency (94%) of ethanol production was achieved when the uncooked RWC slurry contained 23.03% starch. The optimal SSF conditions were determined as 1.125 units of the raw-starch-digesting enzyme per gram of RWC, a fermentation temperature of $30^{\circ}C$, slurry pH of 4.5, 36-h-old seeding culture, initial yeast cell number of $2{\times}10^7$ per ml of slurry, 17 mM of urea as the nitrogen additive, 0.25 mM of $Cu^{2+}$ as the metal ion additive, and a fermentation time of 90 h. Under these optimal conditions, the ethanol production resulting from the SSF of the uncooked RWC slurry was improved to 16.8% (v/v) from 15.1% (v/v) of pre-optimization.

홍국 쌀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약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ed Yeast Rice)

  • 김철암;김은수;은종방;왕승진;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09-314
    • /
    • 2007
  • 멥쌀에 홍국 쌀을 각각 0, 10, 20, 30, 40%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홍국 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pH는 감소되었고 총산의 함량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당의 함량은 홍국 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감소하였다. 색도 중 L값은 홍국 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a와 b값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기성분은 esters, aldehydes, alcohols, acids로 분류되었고 과일향의 주성분인 esters의 함량은 10% 홍국 쌀을 첨가한 시험구에서 제일 많이 생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10% 홍국 쌀을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가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특성이나 관능적 특성으로 보아 10% 홍국 쌀을 첨가하는 약주를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가당 및 효모첨가가 Campbell Early 포도주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gar and Yeast Addition on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 김재식;김성희;한정선;윤병태;육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16-521
    • /
    • 1999
  • 충북 영동 지역에서 1998년 수확한 포도 (Campbell Early)의 수확시기별 평균 당도와 산도는 8월 15일에 각각 $11{\pm}0.5^{\circ}Brix,\;1.1{\pm}0.3%$이었고, 8월 30일에는 $12.0{\pm}0.4^{\circ}Brix,\;1.0{\pm}0.2%$, 9월 15일에는 $13.5{\pm}0.4^{\circ}Brix,\;0.8{\pm}0.2%$, 9월 30일에는 $16.0{\pm}0.5^{\circ}Brix,\;0.7{\pm}0.1%$로 나타났으며, 야생효모량은 평균 $4{\sim}8{\times}10^5\;cells/g$으로 나타나 포도주 발효를 위해서는 가당과 효모첨가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8월 30일경 수확한 포도로 초기 당농도를 $24^{\circ}Brix$, 초기 효모농도를 $5{\times}10^6\;cells/mL$로 하여 $25^{\circ}C$에서 발효시킨 경우 9일만에 발효가 종료되어 최종 14.7% (v/v)의 알코올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산도와 pH는 각각 $0.9{\pm}0.2%,\;3.3{\pm}0.2$로 발효 중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반면 효모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약 15일만에 발효가 종료되었으며 알코올 함량은 최종 14.4% (v/v)로 효모 첨가구와 비슷하게 나타내었다. 그러나 발효개시 2일 경과 후에 발효가 일어나기 시작하여 잡균오염에 의한 이상발효의 우려가 있었다. 살균 및 색소추출의 목적으로 potassium metabisulfite를 300 ppm 첨가한 등외품 포도즙의 일반세균수는 $10^3c\;ells/mL$, 500 ppm 첨가한 것은 $10^2\;cells/mL$ 수준이었고,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10^8\;cells/mL$ 수준이었으며, 전발효 종료시 알코올 생성은 모두 14% (v/v) 정도로 비슷하였다. 포도주의 숙성기간 중 잡균 오염 방지를 위해 potassium metabisulfite를 40 ppm 이상 첨가하였을 때에는 포도주의 색이 탈색되었다.

  • PDF

Screening Wild Yeast Strains for Alcohol Fermentation from Various Fruits

  • Lee, Yeon-Ju;Choi, Yu-Ri;Lee, So-Young;Park, Jong-Tae;Shim, Jae-Hoon;Park, Kwan-Hwa;Kim, Jung-Wan
    • Mycobiology
    • /
    • 제39권1호
    • /
    • pp.33-39
    • /
    • 2011
  • Wild yeasts on the surface of various fruits including grapes were surveyed to obtain yeast strains suitable for fermenting a novel wine with higher alcohol content and supplemented with rice starch. We considered selected characteristics, such as tolerance to alcohol and osmotic pressure, capability of utilizing maltose, and starch hydrolysis. Among 637 putative yeast isolates, 115 strains exhibiting better growth in yeast-peptone-dextrose broth containing 30% dextrose, 7% alcohol, or 2% maltose were selected, as well as five ${\alpha}$-amylase producers.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26S rDNA gene classified the strains into 13 species belonging to five genera; Pichia anomala was the most prevalent (41.7%), followed by Wickerhamomyces anomalus (19.2%), P. guilliermondii (15%), Candida spp. (5.8%), Kodamaea ohmeri (2.5%), and Metschnikowia spp. (2.5%). All of the ${\alpha}$-amylase producers were Aureobasidium pullulans. Only one isolate (NK28) was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NK28 had all of the desired proper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except ${\alpha}$-amylase production, and fermented alcohol better than commercial wine yeasts.

활성건조효모를 이용한 포도주의 발효 특성 (The Fermentation Properties of Red Wine using Active Dry Yeast Strains)

  • 문영자;이명순;성창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0-457
    • /
    • 2004
  • 포도주 양조에 있어서 효모배양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활성건조효모 5종을 선정하여 포도주발효특성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적포도 농축과즙 발효시험 : 1) 발효 1일 후에 Lalvin W15와 Montrachet 균주로 발효시킨 포도액의 에탄올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발효2일 후에는 Lalvin W15 균주로 발효시킨 포도액이 가장 높았다. 2) 발효 시험한 결과, 당분이 과다할 경우 Lalvin W15, Prise de Mousse, Montrachet 균주의 발효능력이 우수하였고, 산이 과다할 경우와 아황산 함량이 과다할 경우에도 Prise de Mousse, Lalvin W15, Montrachet 균주들의 발효능력이 뛰어났다. 3) 발효 중 거품의 경향은Montrachet 균주는 거품이 크고 양도 많았지만 Lalvin W15와 Prise de Mousse 균주는 거품이 아주 작고 양도 많지 않아 알코올 발효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적포도 Campbell Early 발효시험 : 1)발효 중 Brix의 변화로 발효2일 후의 초기발효속도는 Montrachet와 Lalvin W15 균주로 발효시킨 포도액의 Brix가 빨랐다. 2) 총산은 발효 10일 후에 Lalvin W15 균주로 발효중인 포도액이 가장 높았다. 3) 에탄올 함량은 발효 3일 후에 Lalvin W15 균주로 발효 중인 포도액이 가장 높았으나, 발효 9일 후에는 Epernay II 균주로 발효 시킨 포도액이 가장 높았다.

2차 발효 후 로제 스파클링 와인의 품질 특성 및 기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y of Rose Sparkling Wines by Secondary Fermentation)

  • 신혜림;이윤정;황온빛;박의광;최성열;윤동규;윤향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25-435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y of rose sparkling wine that were manufactured by secondary fermentation after inoculation of yeast strains. The pH of the samples ranged from 3.96 to 4.05 and total acidity ranged from 0.23 to 0.32%. The alcohol contents of wines ranged from 6.4 to 6.6% and the CO2 pressure ranged from 2.0 to 2.6 bar. The brightness of rose wines ranged from 84.72 to 87.36, the redness from 9.28 to 14.15, and the yellowness from 9.50 to 19.20. The hue value of wines ranged from 1.137 to 1.513 and color intensity ranged from 0.724 to 0.882. Aroma analysis identified 14 alcohols, 22 esters, 4 ketones, 4 acids, and 17 miscellaneous compounds. The total tannin content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wines were 11.28~12.43 mg% and 24.79~28.20 m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ines ranged 63.33 to 67.89% an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ines 82.16~86.06%.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brewing process of rose sparkling wines yeast st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