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e analysis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5초

Quantitative analysis of glycerol concentration in red wine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chemometrics analysis

  • Joshi, Rahul;Joshi, Ritu;Amanah, Hanim Zuhrotul;Faqeerzada, Mohammad Akbar;Jayapal, Praveen Kumar;Kim, Geonwoo;Baek, Insuck;Park, Eun-Sung;Masithoh, Rudiati Evi;Cho, Byoung-Kwan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2호
    • /
    • pp.299-310
    • /
    • 2021
  • Glycerol is a non-volatile compound with no aromatic properties that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quality of wine by providing sweetness and richness of taste. In addition, it is also the third most significant byproduct of alcoholic fermentation in terms of quantity after ethanol and carbon dioxide. In this study,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was employed as a fast non-destructive method in conjugation with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o build a model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glycerol concentration in wine samples. The samples were prepared by using three varieties of red wine samples (i.e., Shiraz, Merlot, and Barbaresco) that were adulterated with glycerol in concentration ranges from 0.1 to 15% (v·v-1), and subjected to analysis together with pure wine samples. A net analyte signal (NAS)-based methodology, called hybrid linear analysis in the literature (HLA/GO), was applied for predicting glycerol concentrations in the collected FT-IR spectral data. Calibration and validation sets were design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ultivariate method. The obtained results exhibited a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f 0.987 and a low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0.563% for the calibration set, and a R2 of 0.984 and a RMSE of 0.626% for the validation set. Further, the model was validated in terms of sensitivity, selectivity, and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an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is model can be used in most applications, as well as for quality assurance.

즐겨 마시는 술의 종류와 음주 및 건강특성의 관련성 (Association of Drinking Patterns and Health Characteristics with Beverage Preference)

  • 이지전;오희철;정우진;이상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2호
    • /
    • pp.133-140
    • /
    • 2004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ype of preferred alcoholic beverage and drinking pattern and health characteristics. Methods :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from 22 April to 3 May in 2002. 301 females and 699 males aged 13 to 59 were personally interviewed. Data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rinking pattern and health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735 drinkers who were 19 year-old or over were included in analysis. Beverage preference was classified 3 categories: Beer drinker, wine drinker(including wine, makguly, chungju and yakju) and soju drinker (including soju and spirits). Results : Beer drinkers were likely to be females. Compared to wine or soju drinkers, beer drinkers were less frequently drank, and consumed less total alcohol per week and less alcohol per 1 drinking among both male and female. Controlling for various confounders, beer drinker had significantly less total alcohol consumption per week, and alcohol consumption per 1 drinking than wine and soju drinker. Conclusion : Beer drinking were associated with less smoking in males and healthy drinking pattern in both gender than soju drinking.

전통적 강정 제조 방법의 표준화 -II. 청주와 콩의 최적 첨가 수준- (Standardization of Traditional Preparation Method of Gangjung -II. Optimum levels of rice wine and bean in the production of Gangjung-)

  • 박진영;김광옥;이종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09-313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강정제조법의 표준화를 위해 부재료인 청주와 콩의 첨가 수준에 대한 최적 조건을 결정하였다. 청주의 수준이 낮을수록 콩의 수준은 높을수록 강정의 팽화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정의 기름흡수율은 청주 30 ml, 콩 10 g 첨가 수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응 표면 방법을 이용한 관능검사 결과로부터 찹쌀가루 200 g 당 청주 35 ml와 콩 8.5 g 첨가 수준이 부재료의 최적 조건으로 결정되었다.

  • PDF

Shiraz Vs Syrah Crafting Advertising Campaign, using Sensory Images

  • Choi, Kyoung Su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99-124
    • /
    • 2017
  • Little research on sensory study has been conducted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and most of sensory studies have been done from a science perspective. Thus, this study examined wine sensory perceptions in the consumers' minds, which is how wine consumers associate grape variety Shiraz/ Syrah by the three different region of origins with specific sensory images. Total 23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online wine community members at restaurants in Korea. The main results show that the most two shared sensory images of Shiraz/ Syrah were 'Dry' and 'Fruity' across the three region of origins. For Barossa Shiraz, the unique images were mainly found in Aroma image category such as 'Chocolate', 'Prune', whereas for Rhone Syrah, the unique images were mainly revealed in Overall image category e.g. 'Deep', 'Fascinating'. Addition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Maipo Valley is not recognizable region of origin of Shiraz/ Syrah. This study employed a free choice, Pick Any and conducted correspondence analysis to find out the degree of associations of sensory images and each region of origin.

머루즙과 머루주의 이화학적 분석 및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Juice and Its Wine)

  • 최선영;조현소;김행자;류충호;이정옥;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1-317
    • /
    • 2006
  • 머루의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머루즙과 머루주를 80% ethanol로 추출하여 이화학적 분석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머루즙과 머루주의 수분 함량은 70% 이상이었고, 총 안토시아닌은 머루주보다 머루즙에서 약 4배, 플라보노이드는 약 10배 정도로 높게 정량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총 11종이 분석되었으며, 그 함량은 머루즙에서는 glutamic acid (43.7${\pm}$l.4 mg/100 g) 그리고 머루주에서는 threonine(14.7${\pm}$0.7 mg/100 g)이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정량된 10종의 무기물 중 K의 함량이 머루즙과 머루주에서 44.1${\pm}$2.0 mg/100 g, 44.8${\pm}$3.1 mg/100 g으로 가장 많았다. 항산화 효과를 실험한 결과,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 공여능과 환원력은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머루즙과 머루주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실험한 결과 낮은 pH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여 1,000 ${\mu}$g/ml의 처리구의 머루즙과 머루주에서 각각 79.6${\pm}$1.27% 및 72.8${\pm}$1.01%의 소거능을 보였다.

레드와인 주입량에 따른 등심햄의 품질 특성 (Effects of Injection of Red Win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Ham)

  • 하소라;최정석;진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39-1147
    • /
    • 2015
  • 본 연구는 레드와인의 주입이 돈육 등심햄의 냉장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돈육 등심햄은 C (0%), T1 (3%), T2 (6%), T3 (9%)로 레드와인을 주입하여 제조하였으며, 10±1℃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레드와인을 주입한 결과, pH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이 감소하였으며, 보수력은 증가하였다. 가열감량은 4주의 저장기간 중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색에서, 명도(L*)는 4주의 저장기간 중 레드와인을 주입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적색도(a*)는 레드와인을 주입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조직특성에서 전단가, 경도, 표면경도, 검성 및 부착성은 레드와인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한편, TBARS의 값은 레드와인을 주입할수록 높았으며, VBN에서는 저장 2주까지 낮은 값을 유지하였다. 총 미생물수는 3% 레드와인 주입만으로 저장 3주까지 대조구에 비해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저장 2주 이후부터 처리구들에서 유산균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레드와인은 냉장저장 중 등심햄의 품질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돈육 등심햄 제조 시 3% 주입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 육성 포도 품종 아그데 적포도주 품질 특성 (Red wine quality of new Korean grape cultivar, Ageude)

  • 최정실;박서준;허윤영;이동훈;김수진;임동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47-856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양조용 품종으로 개발한 아그데 품종의 양조 적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캠벨얼리와 머스캣 베일리 에이 그리고 유럽의 양조용품종인 피노 뮈니에와 가메를 이용하여 포도주를 제조하여 일반적인 품질 및 페놀화합물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포도주의 pH는 3.75-4.57이었고 총산 함량은 0.39-0.58%이었다. 아그데 포도주의 산 함량은 0.47%로 다른 품종으로 제조한 포도주에 비해 높지 않았다. 반면,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7.85 °Brix로 다른 시료들에 비해 높은편이었다. 또한, 색에 있어서도 적색도, intensity뿐만 아니라 hue값이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페놀화합물 함량과 총안토시아닌 함량에서도 아그데가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프로안토시아니딘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것으로 아그데 품종이 신맛이 적고 단맛이 있는, 총안토시아닌 함량 및 적색도가 높아 색이 진한 적포도주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와인용 품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프로안토시아니딘이 없어서 장기 숙성용 와인보다는 단기 숙성용 와인으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아그데 포도 자체의 향이 풍부하므로 아그데 포도주의 향과 맛에 대한 연구와 숙성에 따른 품질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valuation of Color Stability according to Shade of Temporary Crown Resin Using Digital Spectrophotometer: In Vitro Study

  • Ku, Hye-min;Jun, Mi-K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9-147
    • /
    • 2022
  • Background: Temporary crown resins are used prior to prosthesis placement,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aesthetics. The aim of this study was evaluate the color stability of various staining solutions according to the color of temporary crown resins using VITA Easyshade V. Methods: The temporary crowns used were the powder-liquid type and included four shades. A total of 36 specimens were fabricated in the form of disks with a diameter of 1.8 mm and a depth of 2 mm.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nine each, and staining was performed for seven days by precipitation in 3 mL of three staining solutions composed of distilled water, black coffee, and red wine. Color and color stability evaluations were performed by a trained examiner using a digital spectrophotometer (VITA Easyshade V). Color stability was analyzed using the ΔE value. Results: Because of the color stability evaluation using the ΔE value, the difference between three and seven days was significant in the specimen I and III groups (p<0.05). Further, post hoc analysis showed that the ΔE value of red wine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color stability in red wine was low. The ΔE values in group II between days three and sev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Post hoc analysis showed that distilled water, coffee, and wine had the highest ΔE values on day three. On day seven, the ΔE value for wine was significant, and the color stability was low.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V according to the staining period and staining solution; therefore, color stability was high (p>0.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ost temporary resin restorations exhibited color stability in the staining solution. The darker the color of the temporary resin restoration, the higher the color stability against extrinsic staining.

약주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실태 및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Consumer Consumption Status and Demand of Rice-wine)

  • 김은혜;안병학;이민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78-486
    • /
    • 2013
  • 본 연구는 약주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실태 및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소비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54부를 회수하여(회수율 77%) 분석에 이용하였다. 남성과 여성이 각각 67명(43.5%), 87명(56.5%)의 비율이었고, 20대가 74명(48.1%)으로 평균 연령은 31.4세로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은 100만원대가 47명(30.5%)으로 가장 많았고, 주류비를 포함한 월 평균 외식비는 40만원 미만이 97명(63.0%)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약주 섭취 빈도는 월 1~2회(60명, 39.0%)이고, 주로 민속주점(81명, 52.6%)과 한식당(36명, 23.4%)에서 섭취하고, 맛(79명, 51.3%)과 주변의 추천(18명, 11.7%) 등의 이유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주의 만족도는 3.46으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으나, 불만족 이유로 숙취(55명, 35.7%), 맛(26명, 16.9%), 가격(16명, 10.4%)이라 하여 소비자 불만족 요인 개선을 통한 만족도 증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약주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 컨셉 요구도 분석 결과, 쌀류(89명, 57.8%)로 만든 과일 향(78명, 48.7%)과 과일 맛(90명, 58.4%)이 나는 약주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약주의 소비촉진 방법으로 약주 브랜드 개발 및 관리(92명, 59.7%)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약주 1병(300 mL)에 대한 가격민감성 측정 결과 무관심가격(IDP)은 약 2,900원으로 약 32% 수준이며, 최저가격점(OPP)은 2,950원으로 나타나 소비자가 수용하는 약주 1병의 가격대는 1,950원~4,800원인 것으로 형성되었다. 약주 제품 속성에 대한 IPA 결과,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영역에 국산원료 사용여부, 구매 용이성, 정보 제공, 외관 속성이 위치하여 이에 따른 유통채널 확대, 홍보 등의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소비자는 약주와 어울리는 음식을 즐기고, 기분전환을 위해, 친목 도모를 위해 약주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의 요구도에 알맞은 약주 컨셉 개발과 더불어 소비 실태 및 구매 동기를 파악하여 소비자의 만족도와 소비 증대를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와인 바의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만족, 충성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Wine Bar's Brand Image on Guest Satisfaction, Loyalty, Revisit Intention)

  • 김혁수;김연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33-443
    • /
    • 2010
  • 본 연구는 와인 바의 브랜드 이미지와 각 변수들 간의 영향 관계를 연구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를 두었다. 첫째, 와인 바를 이용하고 있는 고객의 브랜드 이미지 요인을 요인분석 한다. 둘째, 충성도 요인과 재방문 의도 요인을 요인분석 한다. 셋째,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만족, 충성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그리고 고객의 만족도가 충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지막으로 충성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본 연구를 위해 모집단은 서울 지역 와인 바을 이용하고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와인 바에서 일대일 면접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300부를 배포하여 총 256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와인 바의 브랜드 이미지는 고객만족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와인 바의 브랜드 이미지는 재방문 의도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와인 바의 브랜드 이미지는 충성도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와인 바 고객의 고객만족은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와인 바 고객의 고객만족은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와인 바 브랜드의 충성도는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