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low plant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7초

버드나무(Salix Koreensis Andersson) 가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lix Koreensis Andersson Branches Extracts)

  • 김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4-111
    • /
    • 2018
  •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a willow tree (Salix Koreensis andersson) extrac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investigating its: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 SOD-like activity, DPPH vitality. the willow tree was induced with LPS to determine its active anti-inflammatory effects. as a result, the willow methanol extract showed a highe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than those of willow distilled water extract, but the willow distilled water extract showed a higher SOD than that of willow methanol extract. in its DPPH scavenging ability, the willow methanol extract's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illow distilled water extract. the willow extract's measurements such as the production of NO, inflammatory cytokine ($TNF-{\alpha}$, IL-6 measurement)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its concentration level went down. according to the research outcomes, when induced, he will extract's macrophage produces mediator-like substances such as NO and inflammatory cytokine that can be used to alleviate the inflammatory response. therefore, the willow tree proved to be a useful raw plant material for the products designed to combat inflammatory activities due to its natur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response substances such as NO and cytokine.

Salix종의 생물공학적 이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lix's Biotechnical Application)

  • 김혜주;이준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43-151
    • /
    • 1998
  • To develop restoration technologies of natural environment, which is destroyed through the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the increase of leisure industry,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material and those application is greatly needed. Concerning this current issue, an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to test and an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to test and analyze the conditions of nutritonal propagation of willow cutting, which is known as a plant with rapid propagation and good growth capability under bad soil conditions and its wide ecological amplitude. 24 various kinds of willow cuttings -2~6 cuttings for each species -were placed into the earth for 57 days and measured the lengths and the diameters of willow cuttings, the possibility of root formation, the total number, and the total length of new shoots and roots. 23 among 24 willow cuttings tested were showing a great growing capacity and a number of new shoots and roots were observ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This proved that salix is an adequate plant material for quick environmental restoraton . Besides, those willow cuttings could be classified for different site conditions through comparing the ratio of the underground part to the aboveground in total leng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S. dependens, S. matsudana, S. babylonica are the most suitable species for quick vegetaton and S. gracilistyla,S. myricoides,S. alba 'sercia' for erosioni control.

  • PDF

습지보호지역 버드나무림의 식물군락 특성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y of Willow Forest in the Wetland Protection Areas of Inland Wetlands)

  • 조광진;임정철;이창수;추연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1-212
    • /
    • 2021
  • 내륙습지에서 생태적, 환경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생태복원의 주요 재료가 되는 버드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습지보호지역에 발달하는 버드나무림을 대상으로 Z.-M.(Zürich-Montpellier)학파의 방법에 따라 총 61개의 식생자료가 수집되었고 식물군락과 종조성적 특성이 밝혀졌다. 총 237분류군을 포함한 9개의 식물군락이 구분되었다. 높은 상대기여도(r-NCD) 값을 나타내는 버드나무류는 키버들, 왕버들, 선버들, 갯버들, 버드나무로 확인되었다. 종조성 분석결과, 벼과, 국화과, 미나리과, 마디풀과, 콩과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형은 일년생식물(휴면형), 단립식물(지하기관형), 중력산포형(산포방법), 직립형(생육형)을 가지는 식물종의 출현율이 높아 Th-R5-D4-e로 특징지어졌다. 귀화식물은 12과 24종, 생태계교란 생물은 3과 4종이 관찰되었으며, 귀화율은 10.1%, 교란지수는 41.4%로 분석되었다. NMDS 서열법(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에 의한 식물종과 조사지점 간의 경향성 분석 결과, 조사지점의 해발고도와 습지의 유형이 식물군락의 공간적 분포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비교적 해발고도가 높은 산지형 습지에서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해발고도가 낮은 하천형과 호수형 습지에서는 교란지수, 귀화율, 일년생식물 출현비율이 높았다.

버드나무 속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및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 연구 (Studies on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Collagenas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Plants of The Salix genus)

  • 정용운;박영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5-341
    • /
    • 2018
  • 본 연구는 버드나무 속 식물의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버드나무 속 식물 중 갯버들, 능수버들 및 키버들 70%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 분석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모든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DPPH radical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3종의 버드나무 속 식물 추출물 처리는 RAW 264.7 세포의 nitric oxide (NO)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여 항염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갯버들 추출물이 가장 높은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갯버들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에 대한 추가적인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을 분석한 결과, 물 및 부탄올 분획물이 가장 높은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버드나무 속 식물 중 갯버들은 높은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향후 효과적인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천의 인공습지에 대한 식생변화 모니터링 연구 (A Study on the plant monitoring for artificial wetlands in the rivers)

  • 홍승진;김정욱;정주영;김덕환;안경수;김형수;이종소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10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강, 금강, 낙동강에 존재하는 세 개의 인공습지에 대하여 2012과 2013의 식생변화 모니터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한다. 각각의 인공습지는 비내섬, 세도지구, 옥포지구로 식생 모니터링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면, 비내섬 습지의 경우, 버드나무 군락과 물억새 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수변부의 저지대를 따라 달뿌리풀 군락, 쑥-망초 군락, 환삼덩굴 군락 등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식생의 변화를 알아보면 특히, 환삼덩굴 군락은 하절기에 버드나무군락의 임내와 임연부 및 키 낮은 초원을 중심으로 분포역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옥포지구 습지는 2012년에 없었던 마름이 2013년 수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정수식물 군락에 분포하고 있는 갈대 군락은 2012년에 비해 2013년 분포역이 축소하였으며, 갯버들 군락은 2012년과 2013년 모두 분포역이 변화하지 않고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도지구 습지는 2012년에 조사된 이차초지대는 고수부지에서 인위적 식재로 인해 비수리 군락으로 변화하였으며, 2012년의 대부분의 군락이 2013년에 망초군락이 번성하면서 망초 군락으로 천이되었다. 물억새 군락과 갈대군락은 2012년과 2013년 모두 분포역 변화 없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내섬 습지의 식생은 건성천이보다는 습성천이로 진행될 것으로 판단된다. 옥포지구 습지는 수변식생의 천이과정은 안정화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오랜기간 지속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도지구 습지는 건성천이와 습성천이가 병존하고 있으며, 향후 갈대, 물억새와 버드나무군락으로 천이가 예상된다.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적정 설계 (Best Buffer Width of Riparian Buffer Zone using a Pilot with Different Plant Species for Reduction of Non-point Pollutant Loading)

  • 김성원;최이송;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1호
    • /
    • pp.1-9
    • /
    • 2008
  • Non-point pollution is caused by many diffusive sources, unlike a point pollution derived from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or sewage treatment plants. Runoff of non-point pollutants is originated from rainfall or thawing in short period of time moving over and through the a ground surface. They cause ill effect on the quality of neighboring aquatic environment. To prevent effectively the wash off from non-point pollutant, it should be immediately reduced at the source or be treated after gathering of runoff water.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best width of riparian buffer zone. So we implemented the experiment in terms of its depth, width and kind of vegetations and calculated the reduction of pollutants loading. The experimental zone encompasses the watershed of Namhan River (Kyunggido Yangpyunggun Byungsanri). The region was divided into 5 land cover sectors : grass, reed, pussy willow, mixed(grass+pussy willow) and natural zone to compare effectiveness of vegetation. Water samples from four points have been collected in different depths. And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by sectors with different plant species was yielded through influent with one of each sample. And we obta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idth of riparian buffer zone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s. Using correlation result, the width of riparian buffer zones which need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river could be derived.

질소원 처리에 따른 버드나무류의 생육초기 반응과 양분 흡수 특성 (Early Growth Response and Nutrient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Willows (Salix sp.) Treated with Nitrogen Source)

  • 채승민;김미자;김선영;이창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3-79
    • /
    • 2020
  •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wth response and nutrient absorption in three willow species (Salix gracilistyla, S. koreensis and S. chaenomeloides) treated with nitrogen source (NH4+:NO3- rate; 200:0, 150:50, 100:100, 50:150, 200:0) for a period of 90days. The height, dry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s of three species of willows were found to be highest at 50:150 (NH4+:NO3-) treatment. NO3--N was more effective than NH4+-N in the early growth of three species of willows. The increase in percentage of NO3--N handling, T-N, NO3--N in plant tissue increased. The analysis of C, N and mineral content in various parts revealed that the amounts of C, N, K, Ca and Mg were higher in leaves than those in the stems and the roots. However, the amount of NO3--N and P were higher in roots than those in the leaves and the stems. Salix koreensis was excellent, followed by S. chaenomeloides and S. gracilistyla in absorption of nitrate nitrogen. Higher percentage of NO3--N, the amounts of T-N, NO3--N, P2O5, K, Na, Ca, and pH in soil were decreased.

장도 습지보호지역의 식생 분포 특성 (A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Jangdo Wetland)

  • 안경환;임정철;이율경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63-74
    • /
    • 2015
  •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인 장도습지에 대한 식생의 다양성과 공간적 분포 특성 파악을 통해 습지의 보전 및 복원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이루어졌다. 종조성을 기반으로 하는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방법에 의한 식생 조사 및 버드나무의 매목 조사, 좌표결정법에 의한 식물군락과 환경요소들 간의 관계 규명이 이루어졌다. 총 88종으로 이루어진 7개의 식물군락이 분류되었으며 습생식생과 건생식생으로 대분류되었다. 식물군락의 공간적 분포는 일차적으로 토양 수분조건에 의해 결정되고, 이차적으로 유기물 양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습지식생 면적은 $7,337m^2$로서 습지보호지역의 약 8%이며, 습지보호지역 이외의 공간에도 분포하고 있어 보호지역 경계 재조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버드나무의 분포 확산은 1990년대 이후 휴경과 가축 방목이 통제 되면서 습지 가장자리부터 중앙부로 확장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보호지역 보전 및 복원 방안이 제시되었다.

생태연못 조성공법 적용후의 자연생태 변화분석 (Analysis of Ecological Variation after Creation of the Eco-pond)

  • 이은엽;문석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reation techniques of eco-pond, one of biotopes to promote biodiversity in urban residence area. Investigation were classified out plant, mammals, amphibia, reptiles, birds, fishes and insec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round the eco-pond shows simple vegetation structurs, consisted of Pinus densoflora S et Z. and Robinia pseudoacacia under competition. In case of shrub, consisted of 4 species but plant growing appearence diversely by seasons. The evaluation of vegetation of eco-pond, there are found 4 species of aquatic plants. Inside the revetment of pond, Echinochloa crus-galli, Persicaria hydropiper, Digiaria sanguinalis, Cyperus microiria and Bidens frondosa L. are mainly distributed. Near the revetment, Trifolium repens L. and Digiaria sanguinalis are prevailed. And in its background, Erigeron canadensis, Erigeron annuus and vines are begins to make their appearances. When evaluation animals in eco-pond and contrast plot, it show simple species and numbers of mammals. It seemed to be resulted from its isolation and outside intervention by users In eco-pond, Pica pica and Streptopelia orientalis are mainly found and in contrast plot of Columba livia, which are so strong adaptation to city life environment. In case of amphibia and reptiles, none is observed in contrast plot, but in ecological pond, Rana nigromaculata and Hyla japonica are constantly observed. In case of insects, more species are found in eco-pond than contrast plot. And in eco-pond, more dragonflies are visibly increased one year after its construction. In floral zone inside of pond revetment, grasshopper and Locusta migratoria are frequently observed. In case of butterflies, they are mainly found in log fence and willow(salix) around eco-pond. In case of fishes inside of eco-pond, the species and its density are remarkable increased one year after the construction. With above evaluation results, we have identify the increase effect of biodiversity after construction of the eco-pond.

  • PDF

'임원경제지'를 통해 본 식물의 이용경향과 종예법(種藝法) (A Study on the Useful Trend of Plants Related to Landscape and How to Plant and Cultivate Through 'ImwonGyeongjaeji(林園經濟志)')

  • 신상섭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4호
    • /
    • pp.140-157
    • /
    • 2012
  • 조선시대 조경관련 식물의 이용경향 그리고 서유구의 편저 '임원경제지'를 통해 본 식물의 심고 가꾸기에 대한 종예법(種藝法)을 추적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원경제지'의 제3지에 해당하는 '만학지'편은 총 5권(총론, 과실수, 덩굴식물, 수목, 기타)으로 구성되었는데, 식물의 명칭과 품종, 토양조건, 심고 가꾸기, 접붙이기, 병충해 치료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조선시대 대표적 조경 관련 문헌이다. 둘째, 조경관련 용어에 있어서, 종재(種栽, 나무심기) 또는 재식(栽植), 재수시후(栽樹時候, 나무 심는 시기), 이재(移栽, 옮겨심기), 작원리(作園籬, 울타리 만들기), 명품(名品, 품종명), 토의(土宜, 적합한 토양), 종예(種藝, 심고 가꾸기), 의치(醫治, 식물치료), 호양(護養, 보호하고 기르기), 정원(庭園, 뜰) 또는 원포(園圃), 포자(圃者, 뜰 관리자) 또는 원정(園丁) 등의 용어를 사용하였다. 셋째, 조선시대 대표적 조경관련 문헌인 '양화소록', '지봉유설', '산림경제', '임원경제지'에 나타난 식물종의 출현 빈도는 화훼류, 과실수류, 목류, 덩굴류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낙엽수의 비중이 상록수에 비해 3.7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화목류 및 과실수류, 낙엽활엽수 선호경향은 풍토환경에 조화되는 자생수종의 활용, 계절미를 위한 심미적 가치, 꽃과 열매를 위한 과실수의 도입 등 이용후생 경향, 그리고 성리학적 가치기준에 의한 상징성 등을 들 수 있다. 넷째, 식재 최적기를 음력 1월로 제시하였고, 비옥토를 많이 붙여 분 뜨기 하며, 생육방향에 맞춰 묻혔던 높이만큼 복토하여 식재하고 버팀목을 세워 보호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식재 최적기를 음력 정월로 기술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오늘날 이식 시기 판단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한편, 씨앗 심기는 1치(3.3cm) 정도 깊이가 좋고, 꺾꽂이는 1월과 2월 사이에 손가락 굵기의 가지를 5치(16.5cm) 길이로 심는 것을 권장하였으며, 과실수를 접붙일 때 남쪽으로 뻗은 가지를 쓰면 과실이 많이 달리는데, 정월에 전지하면 과실이 탐스럽고 굵어진다 하였다. 다섯째, 생울타리는 가을에 멧대추를 빽빽하게 심어 이듬해 가을 1자(30cm) 간격으로 행렬이 맞게 이식하고, 1-2년이 지난 이듬해 봄에 7자(210cm) 정도 높이로 엮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한편, 느릅나무와 버드나무를 섞어 심고 엮어주면 가지와 잎이 창살처럼 기이하고 아름다운 울타리가 만들어 진다 하였으며, 울타리 조성에는 탱자나무, 무궁화나무, 버드나무, 사철나무, 산앵두나무, 오가피나무, 매실나무, 구기자나무, 산수유나무, 치자나무, 뽕나무, 찔레나무 등 다양한 수종을 권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