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ild-ginseng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2초

A 4-Week, Repeated, Intravenous Dose, Toxicity Test of 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 in Sprague-Dawley Rats

  • Lee, Kwangho;Yu, Junsang;Sun, Seungho;Kwon, Kirok;Lim, Chungsa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35
    • /
    • 2014
  • Objectives: 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 (MGP) is a pharmacopuncture made by distilling extract from mountain cultivated ginseng or mountain wild ginseng. This pharmacopuncture is injected intravenously, which is a quick, lossless way of strongly tonifying Qi function.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a 4-week, repeated, intravenous injection, toxicity test of MGP in Sprague-Dawley (SD) rats. Methods: Twenty male and female 6-week-old SD rats were used as subjects. We divided the SD rats into 4 groups: the high-dosage (10 mL/kg), medium-dosage (5 mL/kg), low-dosage (2.5 mL/kg) and control (normal saline) groups. MGP or normal saline was injected intravenously into the caudal vein of the rats once daily for 4 weeks. Clinical signs, body weights, and food consumption were monitor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and hematology, serum biochemistry, organ weight, necropsy, and histological examinations were conducted once the observations had been completed. Results: No mortality was observed in any of the group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No changes due to MGP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regarding clinical signs, body weights, food consumption, hematology, serum biochemistry, organ weight and necropsy. No histological changes due to MGP were observed in any of the male or female rats in the high-dosage group. Conclusion: During this 4-week, repeated, intravenous injection, toxicity test of MGP in SD rats, no toxic changes due to MGP were observed in any of the male or female rats in the high-dosage group. Thus, we suggest that the high and the low doses in a 13-week, repeated test should be 10 mL/kg and 2.5 mL/kg, respectively.

인삼포장에서 뿌리섞음병원균의 진단을 위한 RT-PCR KIT의 개발 (Development of RT-PCR Kit for Diagnosis of Pathogenic Agent of Ginseng Root Rot in the Ginseng Field)

  • 도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0-48
    • /
    • 2003
  • C. destructans는 인삼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뿌리섞음병을 유발하는 매우 중요한 미생물이다. 현재까지 정상적인 인삼포장이나 폐포지에서도 이 병원균의 농도를 조사할 만한 방법이 없어 이를 쉽게 조사함으로서 인삼 예정지 관린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ested PCR이란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매우 낮은 농도의 C. destructans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2개의 universal ITS primers(ITS5F와 ITS4R)을 사 용 하 여 Cylindrocarpon spp.의 rDNA로부터 ITS영역을 증폭하였다. 이어 C. destructans의 specific primer(Nest 1 과 Nest 2)을 사용하여 최적의 PCR조건으로 재증폭시켜 밴드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런 2번의 과정을 4개의 primer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따른 PCR조건도 확립하였다. 따라서 본 방법에 의해서 인삼포장의 토양에서 채취된 매우 낮은 농도의 wild type C. destructans spore로부터 성공적으로 positive band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인삼포장의 선정 및 4년생에서 6년까지(홍삼포) 재배기간등의 예측에 활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 캘러스의 Polyacetylene 생산에 미치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의 효과 (The Effects of Various Chemicals on the Production of Polyacetylene in Ginseng Callus in vitro Culture)

  • 윤재호;송원섭;이미숙;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7-63
    • /
    • 2005
  • 인삼 callus의 기내배양에 의해서 항암물질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인삼 callus의 polyacetylene생산에 미치는 전구물질 및 elicitor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5mg/l의 L-phenylalanine첨가배지에서 인삼 callus의 생장과 polyacethylene합성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panaxynol뿐만 아니라 panaxydol도 형성되었다. 반면에 $\alpha-methyl-D.L.methionine$과 D.L.-norleucine 첨가구에서는 polyacetylene이 전혀 생성되지 않았다. Elicitor로 사용되는 nigeran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인삼 callus의 생장을 억제시키지만 polyacetylene생성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chitosan은 0.5mg/l의 농도에서 는 인삼 callus의 생장과 polyacetylene의 생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1mg/l 이상 처리구에서는 panaxynol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panaxydol은 검출되었다.

Effect of Lactobacillus dominance modified by Korean Red Ginseng on the improvement of Alzheimer's disease in mice

  • Lee, Mijung;Lee, So-Hee;Kim, Min-Soo;Ahn, Kwang-Sung;Kim, Manh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464-472
    • /
    • 2022
  • Background: Gut microbiota influence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rough gut-brain-axis. They also affect the neurological disorders. Gut microbiota differ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as a potential factor that leads to progression of AD. Oral intake of Korean Red Ginseng (KRG) improves the cognitive functions. Therefore, it can be proposed that KRG affect the microbiota on the gut-brain-axis to the brain. Methods: Tg2576 were used for the experimental model of A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ild type (n = 6), AD mice (n = 6), AD mice with 30 mg/kg/day (n = 6) or 100 mg/kg/day (n = 6) of KRG. Following two weeks, changes in gut microbiota were analyzed by Illumina HiSeq4000 platform 16S gene sequencing. Microglial activation were evaluated by quantitative Western blot analyses of Iba-1 protein. Claudin-5, occludin, laminin and CD13 assay were conducted for Blood-brain barrier (BBB) integrity. Amyloid beta (Aβ) accumulation demonstrated through Aβ 42/40 ratio was accessed by ELISA, and cognition were monitored by Novel object location test. Results: KRG improved the cognitive behavior of mice (30 mg/kg/day p < 0.05; 100 mg/kg/day p < 0.01), and decreased Aβ 42/40 ratio (p < 0.01) indicating reduced Aβ accumulation. Increased Iba-1 (p < 0.001) for reduced microglial activation, and upregulation of Claudin-5 (p < 0.05) for decreased BBB permeability were shown. In particular, diversity of gut microbiota was altered (30 mg/kg/day q-value<0.05), showing increased population of Lactobacillus species. (30 mg/kg/day 411%; 100 mg/kg/day 1040%). Conclusions: KRG administration showed the Lactobacillus dominance in the gut microbiota. Improvement of AD pathology by KRG can be medicated through gut-brain axis in mice model of AD.

고려인삼의 유래 및 효능의 서지학적 고찰 (Bibliographic consideration on the efficacy and the origin of Korean ginseng)

  • 곽이성
    • 인삼문화
    • /
    • 제1권
    • /
    • pp.43-56
    • /
    • 2019
  • 고려인삼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특산물로서 가장 인기있는 건강식품중의 하나로 한반도(북위 33~48도)가 원산지이다. 인삼은 중국 전한 시대 '사유'에 의해 쓰여진 "급취장" (BC 48~BC 33)에 최초로 언급되어 있으며, 1145년 고려시대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 백제, 신라가 의약적 치료용으로 중국에 인삼을 수출하기 시작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인삼의 인공재배에 대한 기록은 1596년 중국 명나라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중기이후 야생삼이 감소하는 시기와 맞물려 숙종 13년(1687년) "승정원일기"에 '묘삼'의 기록이 나타난다. 묘삼은 벼의 이앙법을 활용한 독창적인 발명으로 1600년대 초반에 인삼의 인공재배법이 확립되었다는 것을 암시해준다. 한편 홍삼에 관해서는 1123년 중국 송나라 '서긍'이 지은 "고려도경"에 '숙삼'(인삼을 쪄서 건조한 삼)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하며 이것이 홍삼에 대한 최초 기록이다. 조선 중종 17년(1552년) "조선왕조실록"에 '판삼'(삼을 찌고 압착하여 얇은 판처럼 만든 후 풀로 붙인 삼)이라는 용어가 나오고 선조 35년(1602년)에는 '파삼'(삼을 찌고 압착하여 얇은 판처럼 만든 후 실로 꿰어 붙인 삼)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종(1506~1545) 시기부터 선조(1567~1608) 시기에 홍삼의 제조방법이 개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홍삼의 제조법은 그 전부터 이루어졌다고 추정되지만 조선 중종~선조 시기에 더욱 발전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홍삼'이란 용어는 정조 21년(1797) "조선왕조실록(정조실록)"에 처음 등장하며, 고종 36년(1899) "조선왕조실록(고종실록)"에는 대한제국 궁내부 내장원 삼정과에서 홍삼을 제조하였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아울러 순조 10년(1810년)에는 증포소를 개성으로 이전한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이시기에 대규모 홍삼제조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면 조선 숙종시대에 확립된 인삼 인공재배기술과 정조시대의 홍삼제조법, 그리고 순조시대의 증포기술 등이 결합하여 대량생산 체계를 갖추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후 1916년 '김택영'이 지은 "소호당집"에는 홍삼의 제조방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이 전통적 한국홍삼 제조법의 모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인삼의 효능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BC 83-96년 중국에서 저술된 "신농본초경"으로 이 효능은 그 이후 여러 의학서에서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오고 있다. 앞으로 고려인삼에 대한 역사적 기록물은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보존되어야 하며 이러한 서지학적 노력은 과학적 연구결과와 더불어 세계속에 고려인삼의 독창성을 알리고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산마늘의 지역적 변이와 종다양성 연구 (Population Structure and Genetic Diversity of Garlic in Korea by ISSR Marker)

  • 허만규;성정숙;최주수;정영기;류은주;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3-258
    • /
    • 2006
  • 마늘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마늘은 약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이다. 야생종과 재배종의 유전관계를 ISSR 마커로 조사하였다. 또 ISSR 분석으로 이들 종의 유전적 다양도와 집단구조를 실시하였다. 한국의 세 야생 집단은 분리되어 있고 패치 분포를 보이지만 재배종에 비해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ISS5R 마커로 야생종과 재배종의 계통관계는 잘 분리되었다. 비록 한국내 재배종 마늘이 산마늘에서 진화하였 다는 직접적 증거는 없지만 본 연구 결과 그런 가능성은 시사된다. 또한 야생종 산마늘 집단은 생식질 동정과 재배종 마늘의 진화과정에서 유익하게 쓰일 수 있다.

약침을 활용한 비만연구의 실험실적 및 임상적 연구동향 고찰 (Study of Experimentations and Clinical Trials' Trends for Obesity Treatment using Pharmacupuncture)

  • 김민우;송윤경;임형호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7-60
    • /
    • 2011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harmacupuncture for obesity treatment by reviewing the studies of pharmacupuncture experimentations and clinical trials. Methods We searched the papers with keywords of 'obesity' and 'pharmacupuncture' in the search site, RIS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OASIS),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Korean pharmacupuncture institute, the Korean academy of oriental rehabitation medicine and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Results 1. We reviewed 37 articles searched. 27 articles(73.0%) were animal experimentations, 5 articles(13.5%) were cell experimentations, 4 articles(10.8%) were clinical trials and 1 article(2.7%) was study analysis. 2. The herbs, using for animal experimentations, were atratylodes japonica, coix lachrymajobi, ephedra sinica, crataegus pinnatifida, wild ginseng and etc. Acupucture points were joksamni(ST36), zhongwan(CV12), gansoo(BL18), pungnyung(ST40), umnungchon(SP9), bisu(BL20), gokji (LI11), cheun-chu(ST25) and etc. 3. For cell experimentations, preadipocytes and adipocytes performed on cell cultures with using rats, 3T3-L1 preadipocytes and porcine skin including fat tissue were treated with fel ursi, bovis calculus, ephedrae herba, spirodelae herba, wild ginseng. 4. For clinical trials, Sangsik no.1, Bigiheo, ephedra, green tea and sweet bee venom were injected at the region where a lot of fat like zhongwan(CV12), xiawan(CV10), kwanwon(CV4), cheun-chu(ST25) and thigh. Conclusion Through animal and cell experimentations and clinical trials, the treatment of obesity using local acupuncture therapy was effective. For clinical use,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animal and cell experimentation and clinical trial's connection using one kind of herb and studies about more clinical trials and associated side effect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