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ning effect

검색결과 666건 처리시간 0.023초

3-O-Cetyl-L-Ascorbic Acid의 미백 개선 효과 (Whitening Effect of 3-O-Cetyl-L-Ascorbic Acid)

  • 박창민;배지영;정민석;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1-96
    • /
    • 2011
  • 외부 자극에 대하여 개개인의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악화 원인으로는 콜라겐 섬유 감소, 탄력섬유 변성, 멜라닌 생성, 활성산소종 등이 있다. 이로 인한 피부탄력감소 및 기미, 잡티 등의 피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비타민 A, C 및 그 유도체들이 화장품에 적용되고 있지만 안정성의 문제점이 있어 새로운 유도체들의 합성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개선을 위한 화장품 원료로 비타민 C로부터 새롭게 합성된 3-o-cetyl-L-ascorbic acid (VCCE)의 미백 개선과 관련된 효능 효과를 평가하였다. VCCE의 in vitro 실험 결과 멜라닌의 합성을 $20\;{\mu}g/mL $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최대 44 % 억제시켰으며 세포 내 tyrosinase 발현을 저해하였다. 또한 인체적용시험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공 색소 침착을 유발한 후 8주 동안 피부 밝기를 측정한 결과 8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VCCE는 미백 개선을 위한 화장품 성분으로서 높은 응용 가치를 제시한다.

가미온청음(加味溫淸飮) 추출물이 항염증, 항산화 및 미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amioncheong-decoction Water-extract on Anti-inflammation, Anti-oxidation and Skin Whitening)

  • 최유진;노정두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117-126
    • /
    • 201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n analysis of the anti-inflammatory, anti-oxidative and skin whitening properties of Gamioncheong-decoctione(GMOCD) extract. Methods : GMOCD(96 g) and 2 L of distilled water were heated at $100^{\circ}C$ for four hours and then concentrated, frozen, freeze-dried,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nd filtered. The following analysis was completed: cell cytotoxic effect using MTT assay, oxidative products of NO by griess assay, concentration of prostaglandin $E_2(PGE_2)$ by commercially competitive enzyme immunoassay, and cytokines($IL-1{\beta}$, IL-6 and TNF-${\alpha}$) by Bio-Plex$^{(R)}$ Suspension Array System's Bio-Plex Pro$^{TM}$ mouse cytokine, chemokine, and growth factor assay. Anti-oxidative effect was measured using the DPPH method and skin whitening effect using tyrosinase inhibition assay. Results : GMOCD water-extract did not show any toxicity at all doses and cell viability was more than 90 % at all doses. GMOCD water-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at doses of 100, 200, $40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PGE_2$ production at doses of 200 and $400{\mu}g/ml$ and reduced the LPS-induced IL-$1{\beta}$, IL-6 and TNF-${\alpha}$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L-1{\beta}$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a dose of $400{\mu}g/ml$ and IL-6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doses of 200 and $400{\mu}g/m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bility had a skin whitening effect rate of more than 50%.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was appar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GMOCD water-extract suppressed NO and $PGE_2$ production and inhibited cytokines($IL-1{\beta}$, IL-6 and TNF-${\alpha}$). GMOCD also improv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bility. GMOCD water-extract increas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this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Chondroitin sulfate and Phelinus linteus mushroom : skin whitening

  • 하배진;황일영;이창훈;정영기;강환열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91-795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ew biomaterial to be used for skin whitening. The melanin elimination effect of chondroitin sulfate and phelinus linteus mushroom in rabbit back skin were evaluated. Rabbit dorsum was exposed to chronic UV irradiation(320nm) once daily for 30 days after initial melanin injection (100mg/kg). And then, chondroitin sulfate and phelinus linteus mushroom at dose of 0.7g for 30days were applied on the zone. The dorsal skin was histologically examined. Furthermore, we investigated free-radical extinction effect, antioxidation and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effects. The histological study indicated that chondroitin sulfate and phelinus linteus mushroom decreasd melanine pigment significantly. As a result, chondroitin sulfate and phelinus linteus mushroom have a remarkable effect on the skin whitening by melanin elimination.

  • PDF

Effect of Cordyceps militaris mycelia containing improved cordycepin on expression gene in the melanin biosynthesis pathway

  • Si Young Ha;Ji Young Jung;Jae-Kyung Yang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14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whitening effect of Cordyceps militaris, which is distributed in several countries worldwide,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and has various medical effects. To screen the efficacy of C. militaris, the inhibitory activity of tyrosinase, which was 66%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was measured. Thereafter, the survival rate of melanoma cells was measured, and ce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a concentration of 90% or more in which C. militaris was not toxic to cells. After measuring the inhibitory effect of TRP-1, TRP-2, tyrosinas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which are factors influencing melanin synthesis, C. militaris was found to decrease in all factors, with an expression level that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quercetin. This confirmed that C. militaris stimulated with LED has excellent whitening activity and can be used as a functional whitening cosmetics material.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활성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of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 유선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96-304
    • /
    • 2017
  • 구아바 잎 추출물이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세포 내 ROS 측정, B16F10 melanoma cell 에서의 세포 독성 및 자외선A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 시험관 내 tyrosinase 억제 효과,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높은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세포 내 ROS 활성 억제 측정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B16F10 melanoma cell에서의 세포 생존율이 모든 농도에서 98%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UVA로부터의 세포 보호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0%의 시험관 내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와 20%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되었다. 구아바 잎 추출물은 B16F10 melanoma cell에 대한 독성이 적고, 높은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통해 안전하고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진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방 기능성 입욕제 SP1과 SP2의 항산화, 항노화,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tiaging and Whitening Effects of Bathing Aid SP1 and SP2)

  • 정보경;박소정;김정수;한승헌;손경우;윤미영;이선경;이상재;김병주;권영규;채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37-84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athing aids as a strategic products to promote the medical tourism in Sancheong Jirisan Oriental medicinal herbs special district using medicinal herbs produced in Sancheong province,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bathing aids in vitro. We investigated the cytotoxicit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antiaging and whitening effects of Sanchung-PNU 1 (SP1) and Sanchung-PNU 2 (SP2) made with traditional medicinal herbs. The cytotoxicity activity was measured by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ssay. We measured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tyrosinase activity to prove the whitening effect, and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elastase activity to prove the anti-aging effect. Two proposed prescriptions, SP1 and SP2, showed not significant cytotoxicity but significant (p<0.001) improvement in anti-oxidation,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shows that these bathing aids have excellent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against elastase and tyrosinase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se bathing aids have a strong antioxidant, anti-aging, and whitening effect.

B16F10 세포에서의 오크라 추출물의 미백 활성 검증 (Whitening Effect of Abelmoschus esculentus on Melanoma Cells (B16F10))

  • 유단희;이인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85-492
    • /
    • 2021
  • 본 연구는 오크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tyrosinase의 효소 억제 활성으로 측정한 결과, 최종 농도인 1,000 ㎍/ml 농도에서 22.2%, 32.8%의 저해활성 효과를 보였다. 세포 차원에서 미백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오크라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melanoma cell (B16F10)에서 MTT assay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100 ㎍/ml 농도에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농도 이하에서 멜라닌 생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단백질 발현억제 효과를 5, 10, 50, 100 ㎍/ml의 농도에서 western blot으로 측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β-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오크라 열수 추출물은 100 ㎍/ml 농도에서 MITF, tyrosinase, TRP-1, TRP-2 인자들은 각각 88.1%, 24.8%, 62.2%, 42.9%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오크라 70% 에탄올 추출물은 100 ㎍/ml 농도에서 MITF, tyrosinase, TRP-1, TRP-2 인자들은 각각 65.3%, 58.3%, 66.2%, 65.3%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치아미백기의 활용 : 광역동 치료로서의 접근 (Application of Teeth Whitening LED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Approach)

  • 박초아;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0-7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악궁 전반적으로 조사가 가능한 미백 LED를 이용하여 우식원성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광역동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in vitro 연구이다. S. mutans를 각각 두가지 다른 단계의 상태로 배양하였다. Planktonic 상태와 Hydroxyapatite disk와 CDC biofilm reactor를 5일간 사용하여 동적인 바이오필름 상태를 형성하였다. 20 μM 로 희석한 erythrosine을 5분간 전처리한후 가정용 미백기와 진료실 미백기를 사용하여 각 15분씩 광조사를 시행하였다. 실험 종료 후 각 실험군의 Colony Forming Unit를 측정하였으며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를 이용하여 각 조건에 따른 광역동 치료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S. mutans에 대한 aPDT효과는 control군과 비교시에 각각 플랑크토닉상태와 동적인 바이오필름 상태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광역동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각각 p = 0.001, p = 0.002). 하지만 동적인 바이오필름 상태에서는 플랑크토닉 상태보다 광역동치료에 내성을 지녀 항미생물 효과가 떨어지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진료실용 미백 LED와 가정용 미백LED는 유사한 항미생물 효과를 나타냈다. 구강악궁 전반적 조사가 가능한 미백용 LED는 우식의 원인이 되는 S. mutans 바이오필름에 유의한 광역동 치료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는 치아 우식 예방으로의 광역동 치료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건칠의 항주름 효과와 미백효과 연구 (The effect of wrinkle care and whitening by Rhus verniciflua Stokes)

  • 안재형;김경준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4-133
    • /
    • 2016
  • Objectives : Recently, the demands for the effective and safe depigmentating and anti-aging agents of the skin have increased due to the medical, pharmaceutical and cosmetic reas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new materials from the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which inhibit the aging process of skin in vitro.Methods : Human dermis cell (HS68) was used to test the effect of Rhus verniciflua Stokes (RVS). 80% ethanol or water extracts were screen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elastase. Elastase inhibition effect was tested by microplate reader instrument. And MMP-1 suppression effect of RVS was tested by western blot. These cells were investigated the viability by MTS assay. And also the inhibition effect of tyrosinase by RVS was tested.Results : RVS (final concentrstion 1 ㎎/㎖ appeared over 30% of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So we are investigated anti wrinkle effects of Rhus verniciflua Stokes look through MMP-1 inhibition activity, also Extracts of RVS showed higher anti-tyrosinase activity than arbutin as final concentration 1 m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rbal medicines could be strong potential sources of inhibition of anti-aging and whitening effects for the skin.Colclusions : RVS was the best suppressor candidate of elastase activity among other control oriental drugs. It was found that RVS did not have toxicity to cells. We found proper concentration of RVS to treat in HS68 culture and investigated not only wrinkle care effect but also whitening effect of RVS.

진생베리 발효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Study on Cosmeceutical Activities from Fermented Ginseng Berry Extracts)

  • 김일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8-37
    • /
    • 2020
  • 진생베리는 진세노사이드 Re을 다량함유하고 있고 항염, 항암, 혈당강하 및 미백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Rhizopus Oligosporus 균주를 이용하여 진생베리 발효공정을 확립하였으며 진생베리 발효물에 대한 화장품 약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발효에 의한 인삼 베리 추출물의 전자 공여 능력은 1,000 ㎍/mL 농도에서 81%를 나타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1,000 ㎍/mL 농도에서 100.2%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 미백과 관련된 티로시나 아제 억제 효과는 1,000 ㎍ /mL 농도에서 57%였다. 피부 주름과 관련된 엘라스타제 억제효과는 1,000 ㎍/mL 농도에서 47%였다. 또한, 콜라게나제 억제 효과는 1,000 ㎍/mL 농도에서 33%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진생베리 발효물이 항염과 미백, 주름개선 효능을 가진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진생베리 발효물이 향우 항염 및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