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Hyang-Ok;Kim, Jin-Nam;Wee, Young-Jung;Ryu, Hwa-Won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I)
/
pp.319-323
/
2005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development of efficient culture methods for lactic acid fermentation of Lactobacillus sp. RKY2. The cell-recycle repeated batch fermentation using cheese whey and corn steep liquor as raw materials was tried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productivity of lactic acid. In addition, fermentation efficiencies could be considerably enhanced by cell-recycle continuous culture. Through the cell-recycle repeated batch fermentation, lactic acid productivity was maximized to 6.34 $g/L{\cdot}h,$ which corresponded to 6.2 times higher value than that of the batch fermentation. During the cell-recycle continuous fermentation, the last dry cell weight at the end of fermentation could be increased to 25.3 g/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id tolerance, bile acid tolerance, and fermentation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the presence of hydrolysates of whey protein concentrate. Kimchi isolates DK109, DK119, DK121, DK128, DK211, DK212, and DK215, which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p., and L. casei DK128 showed the highest acid and bile acid tolerance. To produce whey hydrolysates, enzymes were added to a 10% (w/v) whey protein concentrate (WPC) solution at 1:50 (w/v, protein). The viabilities of the DK strains were determined in the presence of low pH and bile salts. Then, yogurt was produced via fermentation with L. casei DK128, an isolate from Kimchi, in the presence of the following additives: CPP, WPC, and WPC hydrolysates (WPCH) generated by alcalase (A) or neutrase (N). The produced yogurts were subjected to various analyses, including viable cell counts (CFU/mL), pH, titratable activity, and sensory testing. After 8 h of fermentation, the pH and titratable activity values of all test samples were 4.2 and 0.9, respectively. The viable counts of LAB were $3.49{\times}10^8$, $5.72{\times}10^8$, $7.01{\times}10^8$, and $6.97{\times}10^8$, for the Control, CPP, A, and N sampl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y proteins have potential as dietary supplements in functional foods and that WPCH could be used in yogurt as a low-cost alternative to CPP.
The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in ethanol production from lactose, with increased ethanol tolerance, of a fusant yeast strain constructed by protoplast fus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Kluyveromyces fragilis were studied. The ethanol tolerance of this strain was increased to 8.0%, compared with the parent K. fragilis. During batch ethanol fermentation the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for this fusant yeast were an initial pH of 4.5, a culture temperature $30^\circ{C}$. stirring at 100 rpm without aeration in 10% lactose medium (supplied with 1.0% yeast extract). Using this fusant strain in whey fermentation to ethanol, maximum ethanol production reached 3.41% (w/v) (theoretical yield; 66.7%) after a 48 hour cultivation period.
The production of polyhydroxybutrate(PHB) by Alcaligenes eutrophus NCIB 11599 was studied in a synthetic medium from whey as a sole carbon source. Especially pH-effect was treated and compared in this study. At the end of fermentation (A) unadjusted to pH, the dry cell weight, PHB concentration, and PHB conversion rate were 10.3g/L, 3.1g/L, and 30%, respectively. At the end of fermentation (B) adjusted to $pH(7.0{\sim}7.5)$, the dry cell weight, PHB concentration, and PHB conversion rate were 12.5g/L, 4.8g/L, and 41%, respectively. PHB conversion rate was about 10% higher on the fermentation (B) than on the fermentation (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anufacture functional high protein fermented beverage, using whey protein concentrate (WPC) and Lactobacillus plantarum DK211 isolated from kimchi, and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resulting product. The fermented whey beverage (FWB) was formulated with whey protein concentrate 80 (WPC 80), skim milk powder, and sucrose; and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DK211 as single, or mixed with Lactococcus lactis R704, a commercial starter culture. The pH, titratable acidity, and viable cell counts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were evaluated. It was found that the mixed culture showed faster acid development than the single culture. The resulting FWB had high protein (9%) and low fat content (0.2%). Increased viscosity, an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observed after fermentation. A viable cell count of 109 CFU/mL in FWB was achieved within 10 h fermentation, and it remained throughout storage at 15℃ for 28 d. Sensory analysis was also conducted, and compared to that of a commercial protein drink. The sensory scores of FWB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mmercial protein drink in most attributes, except sourness. The sourness was highly related with the high lactic acid content produced during ferment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WPC and vegetable origin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might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high protein fermented beverag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nd organoleptic properties.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유청과 표고버섯을 혼합한 기능성 음료를 개발해 유청의 활용 범위를 높이고자, 유청과 표고버섯을 혼합하여 유산균 발효를 시킨 다음, 발효 전 후 성분 비교, 항산화 활성 평가 및 관능검사 등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고버섯 첨가량에 따른 pH 변화는 버섯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료구별 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도는 표고버섯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걸 확인하였다. 표고버섯 첨가 유청 발효액의 유산균수는 $10^{11}$까지 확인되어 유산균 음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발효 전 유청과 발효 후 유청 발효액의 단백질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지방 함량은 0.31%에서 0.63%로 발효 후 유청 발효액이 약 2배 정도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lactose의 경우, 발효 전 4.83%에서 발효 후 2.48~2.61%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발효 전 유청은 196.7 mg%였고, 발효 후 유청 발효액의 경우 260.16~462.16 mg%로 함량이 증가하였다. 발효 전 후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유산균 접종 후 즉시 측정한 값과 비교해, 발효 24시간째 측정한 값이 모든 시료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DPPH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발효한 시료가 발효 전 시료에 비해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발효 전 후 산화질소 생성량은 발효 후의 산화질소 생성량이 발효 전의 산화질소 생성량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청 발효액의 관능평가 결과는 색, 맛 및 종합기호도 항목에서는 1.0% 첨가구에서 4.7, 4.5 및 4.8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유청 발효액의 브랜딩을 통한 유청 음료의 관능평가 결과, 브랜딩 후 유청 음료는 7~8점 정도의 기호도를 보여 음료로써의 기호도 값을 확보하였다. 표고버섯향 첨가량에 따른 기호도를 보면 0.01% 첨가 시료구에서 모든 항목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Kim, Hyang-Ok;Wee, Young-Jung;Yun, Jong-Sun;Ryu, Hwa-Won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pp.181-185
/
2005
We investigated the fermentative production of lactic acid from cheese whey and corn steep liquor as cheap raw materials using Lactobacillus sp. RKY2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lactic acid. Lactic acid yields were obtained at more than 0.98 g/g from medium containing whey lactose. Lactic aid productivities and yields obtained from whey lactos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btained from pure lactose. The final concentration of lactic acid increased with increase, in whey lactose concentration, whereas the lactic acid productivity decreased probably due to substrate inhibition. The fermentation efficiencies were improved by addition of more corn steep liquor to the medium.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whey 배지에서 배양시 whey 배지의 살균방법 즉, 고압증기멸균(121$^{\circ}C$, 15분), 저온살균(60$^{\circ}C$, 30분) 방법과 배양액에 yeast extract를 0.5, 1% 첨가하였을 때 생균수와 총산도를 측정하여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6% whey 배지보다는 12% whey 배지에서, yeast extract 0.5% 보다는 1.0% 첨가 시 생균수가 높았고, 12% whey 배지에 yeast extract를 1.0% 첨가하고 저온살균하였을 때 배양 72시간에 7.5${\times}10^7$ cfu/ml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총산도는 12% whey 배지에 yeast extract를 1.0% 첨가하여 저온살균하였을 때 5.2로 가장 높았다. 배양 72시간 동안 생균수와 총산도의 증가는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의 생성은 고온살균보다 저온살균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농축유청으로부터 유청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을 조사하기 위해 역삼투장치(reverse osmosis system)를 사용하여 치즈유청 속의 유당을 농축한 수 $\beta$-D-glactosidase로 가수분해시켜 그 분해정도를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측정하였다. 유당의 가수분해 정도는 농축적 유청, 2배 농축 유청과 3배 농축 유청 순으로 가수분해되었고 일정량의 효소첨가에 의해 농축된 염이 $\beta$-D-Galactosidase에 대한 약간의 저해작용을 일으켰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