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y broth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1초

MRS 및 유청 배지에서 Lactobacillus helveticus ATCC 55163의 생육 특성과 효모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Yeast Extract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helveticus ATCC 55163 in MRS and Whey Broth)

  • 윤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52-357
    • /
    • 2006
  • Lactobacillus helveticus ATCC 55163을 MRS 및 6%, 12% 유청 배지와 각각에 효모 추출물을 1% 첨가한 유청 배지에서 배양하여 흡광도, pH, 총 산도 값을 측정하므로서 생육특성을 분석하였다. MRS 및 유청 배지에서의 대수기는 $3{\sim}21$시간으로 나타났고, 유청 배지에서의 pH는 $3{\sim}24$시간에 급격한 감소현상을, 총 산도 값은 이 시간대에 급격히 증가하는 반비례 현상을 보였다. 같은 시간대에 12% 유청 배지에 효모추출물을 1% 첨가하였을 때 다른 시험구보다 높은 생균수, 낮은 pH 값과 높은 총 산도 값을 보여 유청 농도와 효모 추출물이 균의 증식에 영향을 주었다.

Whey 배지에서의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L. acidophilus KCCM 32820 and P. freudenreichii KCCM 31227 in Whey Broth)

  • 이정훈;차욱진;백현동;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1호
    • /
    • pp.1-6
    • /
    • 2006
  • 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과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MRS, RCM, MRS와 RCM 합성배지 및 whey broth에 배양하여 OD(Optical Density), pH, 총산도, 생균수 등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L. acidophilus KCCM 32820을 NRS 배지에서 배양시 균 증식, 총산도 값의 증가율 및 pH 저하율은 9-21시간에 가장 컸으며,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RCM 배지에서 배양시에는 균의 증식, 총산도 값의 증가율 및 pH 저하율은 24-60시간에 가장 컸다. 또한 합성배지에서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pH와 총산도 변화는 18-54시간에 가장 높았다. When broth에서는 L. acidophilus KCCM 32820이 P. freudenreichii KCCH 31227보다 균의 성장이 좋았으며, 두 균 모두 6%보다 12% whey broth에서, 고압증기멸균보다 저온살균한 whey broth에서 높은 균수를 나타냈고, 저온살균한 12% whey broth에서 증식이 가장 높았다.

Whey 배지의 살균방법 및 yeast extract 첨가가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ey Broth's Sterilization Method and Yeast Extrac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

  • 이정훈;윤미숙;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6-11
    • /
    • 2007
  •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whey 배지에서 배양시 whey 배지의 살균방법 즉, 고압증기멸균(121$^{\circ}C$, 15분), 저온살균(60$^{\circ}C$, 30분) 방법과 배양액에 yeast extract를 0.5, 1% 첨가하였을 때 생균수와 총산도를 측정하여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6% whey 배지보다는 12% whey 배지에서, yeast extract 0.5% 보다는 1.0% 첨가 시 생균수가 높았고, 12% whey 배지에 yeast extract를 1.0% 첨가하고 저온살균하였을 때 배양 72시간에 7.5${\times}10^7$ cfu/ml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총산도는 12% whey 배지에 yeast extract를 1.0% 첨가하여 저온살균하였을 때 5.2로 가장 높았다. 배양 72시간 동안 생균수와 총산도의 증가는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의 생성은 고온살균보다 저온살균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유청배지에 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과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로 혼합배양시 유기산 생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by Fermentation with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 and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 in Whey Broth)

  • 이정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5-61
    • /
    • 2007
  •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성장곡선 및 5%와 10% 유청 배지를 고압증기멸균 및 저온살균하여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혼합배양시 생성되는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 양을 측정하였다. L. acidophilus KCCM 32820의 대수기는 $6\sim21$시간,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대수기는 $36\sim108$시간으로 나타났다. 혼합배양시 propionic acid의 생성량은 5% 유청 배지보다는 10% 유청 배지에서, 고압증기 멸균보다는 저온살균에서 많은 양이 생성되었다. Propionic acid의 최대 생산량은 10% 유청 배지를 저온살균하였을 때 배양 120시간에 7.88 mg/mL이었다. Acetic acid도 5%보다는 10% 유청 배지에서 높은 생성량을 나타냈고 그 생성량은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ropionic acid 생성량의 $2:1\sim3:1$이었다.

  • PDF

Leuconostoc mesenteroides CJNU 0147 and Lactobacillus casei CJNU 0588 Improve Growth of a Bifidobacterium lactis Strain in Co-cultures

  • Eom, Ji-Eun;Moon, Gi-S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86-389
    • /
    • 2011
  •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at fermented whey produc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CJNU 0147 or Lactobacillus casei CJNU 0588 display bifidogenic growth stimulator (BGS) activity. The present study sought to determine if the strain itself can improve the growth of bifidobacteria in co-cultures. In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RCM), both strains stimulated the growth of a Bifidobacterium lactis strain during the exponential phase and also stimulated the growth during almost all growth phases in whey broth. Fermented whey containing viable Leu. mesenteroides CJNU 0147 and L. casei CJNU 0588 cells maintained viability of the B. lactis strain stored at $10^{\circ}C$ in MRS broth. Viable cell count of the B. lactis strain without the fermented whey was decreased to 5.6 log cfu/mL after 15 days, whereas that of the strain with the fermented whey was slightly increased to 7.1 log cfu/mL as compared with initial viable cell count of 6.9 log cfu/mL.

순물의 Lactobacillus acidophilus 배지로서으 이용 및 생육균주의 내산성과 내담즙산성 (Utilization of Soybean Curd Whey as a Medium for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Acid-and Bile-tolerance of Cultured Strains)

  • 정수현;서형주;이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72-877
    • /
    • 1997
  • Soybean curd whey(SCW) containing plenty of nutrients is the discarded by-product in soybean curd processing. To test the potential utilization of SCW as a medium for the cultivation of Lactobacilus acidophilu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CW, as well as the growth, acid production, acid-tolerance, and bile-tolerance of L. acidophilus in SCW-based media were investigated. Sucrose and stachyose, the main free sugars of SCW, were 0.42% and 0.41%, respectively. SCW contained 36.1mg/L of total free amino acids. L. acidophilus KFRI 150 showed lower cell growth and acid production in SCW than those in MRS broth. In optimized SCW-based medium supplemented with 1.0% glucose, 0.5% yeast extract, and 0.2% $K_{2}HPO_{4}$, the growth and acid production of L. acidophilus KFRI 150 increased by twice against those in SCW. In optimized SCW-based medium, the viable counts of four L. acidophilus strains were mostly at the level of $10^{9}$/ml, which is similar to those in MRS broth. Each acid-tolerance and biletolerance of four L. acidophilus strains cultured in optimized SCW-based medium and MRS broth showed no dist-inguishable difference.

  • PDF

순물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액의 항균활성 평가 (Antimicrobial Effect of the Submerged Culture of Sparassis crispa in Soybean Curd Whey)

  • 이은지;김지은;박민주;박동철;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120
    • /
    • 2013
  •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여 얻어진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액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순물에 glucose 2%를 첨가하여 10일 배양한 꽃송이 버섯 배양액은 pH 6.91, 균사체 함량은 17.76 g/L로 나타났으나, 제한 배지에서 10일 배양 후 분석한 결과, pH 3.26, 균사체 함량은 3.45 g/L로 측정되었다. 또한 순물을 이용한 버섯 배양액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511.85 mg%, 타이로신 59.6 mg%, 환원당 188.44 mg%이며, 베타글루칸 함량은 10.64%로 나타났다. 순물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 배양액의 항균활성 평가를 위해 8 종의 유해세균에 대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disk diffusion method로 항균효과를 검색하였다. B. cereus, St. aureus,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 균주는 0.13 mg/disc에서 6.28 mg/disc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배양액을 $85^{\circ}C$에서 15분, $100^{\circ}C$에서 5분간 열처리 후에도 항균 활성에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한외여과법을 이용하여 3 kDa 이하의 저분자 물질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B. cereus는 34.3 mm, St. aureus는 29.3 mm, L monocytogenes는 23.7 mm, S. typhimurium는 16.7 mm로 생육 억제 환을 보였다. 미세희석법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항균물질의 최소저해농도(MIC)는 B. cereus 2.6 mg/mL, St. aureus, L. monocytogenes 12.6 mg/mL, S. typhimurium 62.8 m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꽃송이 버섯 배양액의 항균물질은 열과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에 안정한 저분자 물질인 것으로 나타나 천연 항균 소재로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

Aspergillus niger를 이용한 유청으로부터 구연산의 생산에 있어서 온도와 pH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 on the Production of Citric Acid from Cheese Whey by Aspergillus niger)

  • 이정훈;윤현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383-385
    • /
    • 1999
  • Cheese 제조시 부산물로 생성되는 whey를 배지로 사용하여 Aspergillus niger를 이용하여 citric acid를 생산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 중 중요한 요인인 온도와 pH의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5일간 27, 30, 33, $36^{\circ}C$와 pH 2, 3, 4, 5에서 각각 배양하면서 소비된 lactose의 양과 생산된 citric acid의 양을 측정하였다. 생산된 citric acid의 최대 농도는 33.9 g/l(구연산 생산에 쓰여진 유당을 기준으로 할 때 68.26%)이었으며, shaking speed는 citric acid 생산에 직접 영향을 주기보다는 pellet 형성시 그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 온도가 $33^{\circ}C$, pH는 3일때 가장 많은 양의 citric acid가 생산되었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로 혼합 배양한 Whey 발효물이 빵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Fermented Whey Produced by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 Effect on Quality Properties of Bread)

  • 윤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9-114
    • /
    • 2005
  • [ $10\%$ ] 유청배지에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Propionibacterium freudereichii를 혼합 배양할 때 유청 발효물 중의 생균수의 변화, 유당 소모량, 프로피온산과 초산생성량 등을 측정하였고, 유청 발효물을 식빵 제조에 일정량 첨가하여 식빵의 부피, 조직감, 보존성 등을 분석하였다. 4일 배양동안 L. acidophilus의 생균수는 배양 36시간에 $2.4\ties10^9$ cfu/mL, P. freudenreichii는 배양 96시간에 $9.42\times10^8$ cfu/mL로 최대값을 나타냈고 L. acidophilus가 P. freudenreichii보다 빠르게 증식하였다. 유당의 소모율은 $87.5\%$이었고, 4일 배양 후 프로피온산은 18.5g/L, 초산은 4.8g/L 생성되었으며 그 비율은 3.8:1이었다. 식빵의 부피는 유청 발효물을 많이 첨가할수록 작았으나 조직감은 유청 발효물이 많이 첨가될수록 낮은 경도 값으로 부드럽게 나타났으며, 보존성은 유청 발효물을 $10\%$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하여 2일 이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duction of Bone Broth Powder with Spray Drying Using Three Different Carrier Agents

  • Haluk, Ergezer;Yeliz, Kara;Orhan, Ozunl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273-1285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ome physicochemical (proximate composition, pH and $a_w$ values) and reconstitution (wettability, dispersibility and solubility index (SI)) properties of spray-dried bone broth powder (BBP) along with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different carrier agents. Subsequently, the powdered products were stored to determine the storage stability (pH, lipid oxidation, color, browning index) for 3 mon at $-18^{\circ}C$. For this purpose, firstly marrow-containing bones (Os femur and Os humerus) have been boiled to get the bone broth. Three different emulsions were respectively prepared (1) 20% maltodextrin (MD) added BBP, (2) 20% whey powder isolate (WPI) added BBP and (3) 10% MD and 10% WPI added BBP and the emulsions were dried using a spray-dryer with $185^{\circ}C$ inlet and $95^{\circ}C$ outlet temperature.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reconstitution properties of BBP were found statistically different (p<0.05) depending on the use of different carrier agents. MD added BBP showed uniform and smooth morphology. The color, browning index,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pH values of BBP significantly changed (p<0.05) during storage. In conclusion, both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d storage period analyses showed that the most suitable encapsulation material in the production of the bone broth powder is 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