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el width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6초

Rotary Mower의 제작과 그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Rotary Mower and Its Utilization.)

  • 최규홍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897-3920
    • /
    • 1975
  • Since the most of Korean dairy and cattle raising farms are too small to introduce western mechanized farm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e small size equipment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to develop a rotary mower as on attachment of 8 to 10 horse powertiller which is widely spread in rural area. It will not ony be helpfull for the farmers to harvesting hay grass but also desirable to increase the power tiller utility. The protto type rotary mower designed through the fundamental investigations, has been modified and improved through the field trials, and a series of field tests has been carried to investigate its performance and economic feasibility comparing with existing vailable harvesting equip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o increase the stability, two guide wheels are attached to both side of the protto type rotary mower. 2. To prevent the clinging of tall grasses, the vertical driving shafts are covered with cylindrical protectors. 3. The cutting height is adjustable in 8 steps from 2.5 to 20 centimeters by changing the length of guide wheel legs. 4. The practical Critical cutting speed were always higher than theoretical value in both case of single cutting blade and three when the cutting depth was 25 millimeter. 5. The peripheral speed of cutting blade was varied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engine speed, mean while the peripheral speed was adequate as it was changhed from 25 to 35 meter per second when the power tiller is operated in proper working ground speed. 6. The time requirement to harvest 10 a were 88.7, 54.6 and 41.4 minutes for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age of ground speed respectively, and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delivery, it was observed that operating with fourth stage of ground speed was not recomanendable when the grass height is taller than 90 centimeters. 7. The performance of rotary mower were 1.1-1.7, 1.4-4.0, 3.8-11.8 and 7.4-22.0 times of reciprocating mower, portable disc type cutter, hay scythe and ordinary sickle respectively. 8. When the slope exceeds, 20 degree the downward harvesting operation was impossible because of the excessive front end weight, while less than 5 degree of land slope did not effect in field operation. 9. Increased traveling spee caused higher cutting height and slight cutting failure, but seems not to effect to the gross yield, and the efficiency of cutting width were from 83 to 94 precent. 10. Tn rank of economy were rotary mower (3,2 stage operation), reciprocating mower, hay scythe, portable disc type cutter and sickle in order when the annul operation exdeeds 100 hour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vinced that the protto type rotary mower is good enough to the livestock farmers as a hay harvesting equipment because of its economy, hardiness in operating and its out standing performance and hopefully it will contribute to the extension of Korean livestock farming.

  • PDF

Nd-Fe-B-Co계 급냉리본과 Bond 자석의 자기적 성질 (Magenetic Properties of Nd-Fe-B-Co-based Melt-spun Ribbons an dTheir Bonded Magents)

  • 강계명;강기원;오영민;송진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5-184
    • /
    • 1993
  • Nd-Fe-B계에 Co와 Al을 첨가한 자석합금을 진공유도용해로에서 제조하여 이들 합금을 단롤법으로 melt-spun시켜 급냉리본을 얻었다. 제작된 급냉리본의 냉각속도에 따른 자기적 성질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최적의 급냉속도에서 제작된 리본을 파쇄하여 resin bond 자석을 제조하였으며, 이들 급냉리본 및 bond자석의 자기적 성질, 미세구조, 결정구조에 관하여 연구, 조사하였다. 이들 급냉리본의 자기적 성질은 급냉속도에 따라 크게 변하였으며 20m/sec전후에서 최적의 자기적 성질을 보였다. 이때의 급냉리본의 미세조직은 Nd-rich의 입계상이 미세한 N$d_2$F$e_14$B결정립을 둘러싼 cell 형의 구조였으며, 특히 Al이 2.1at%첨가된 리본시료에서는 iHc=15.5KOe, Br=7.8KG, (BH)max=8.5MGOe의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었다. 최적의 급냉속도에서 제작된 리본을 polyamide resin과 2.5wt%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성형, 결합시켜 제작한 bond자석에서 보다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유지시간이 8분인 경우 iHc=10.8KOe, Br=7.3KG, (BH)max=8.0MGOe의 값을 가졌다. 한편, 자구구조는 maze pattern이 주로 관찰되어 자화용이축인 C축이 배열되었으며 bond자석에서보다 hot-press 자석에서 자구폭이 보다 작았다.

  • PDF

응축형 복합레진 수복시 유동성 레진 이장이 변연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OWABLE RESIN LINING ON THE MARGINAL MICROLEAKAGE OF CONDENSABLE RESIN RESTORATION)

  • 문주훈;고근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1호
    • /
    • pp.16-2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rginal microleakage of condensable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according to flowable resin lining of internal cavity wall. The eighty extracted human molar teeth without caries and/or restorations are used The experimental teeth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groups of ten teeth each. Eighty caries-free extracted human mola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nventional class II cavities (box-shaped on mesial and distal surface, faciolingual width : 3mm, gingival wall depth : 1.5mm) were prepared 1mm below cementoenamel junction with a # 701 carbide bur. The teeth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then each group were subdivided into A & B group according to flowable resin & compomer lining ; Group 1-A : Tetric Ceram filling, Group 1-B : Tetric Flow lining and Tetric Ceram filling, Group 2-A Ariston pHc filling, Group 2-B : Tetric Flow lining and Ariston pHc filing, Group 3-A SureFil filling, Group 3-B : Dyract Flow lining and SureFil filling, Group 4-A : Pyramid filling, Group 4-B : Aeliteflo lining and Pyramid filling. To simulate as closely as possible the clinical situation during retoration placement, a "restoration template" was fabricated, and the condensable resin was filled using a three-sited light-curing incremental technique. All the materials used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the 100% humidity for 7 days prior to thermocycling (100 thermal cycles of 5~55$^{\circ}C$ water with a 30-second dwell time)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2% metyleneblue dye for 24 hours, and then embedded in transparent acrylic resin and sectioned mesiodistally with diamond wheel saw.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was scored under stereomicroscope ($\times$20)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Kruskal-Wallis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gingival margins of all the group, microleakage of subgroup B was less than subgroup A. 2. In the group 1, 2,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bgroup A and B (p<0.05), but in the group 3,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group 3-A (SureFil) and group 3-B (Dyract flow/SureFil) (p>0.05). 3. In the subgroup A and B,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all group except group 4 of subgroup A. From the results above, it was suggested that the cavity lining of flowable resin and flowable compomer in condensable resin restoration decrease microleakage at gingival margin, and does improve their ability to seal the gingival margin of class II preparation.

  • PDF

장애인 보호자 및 탑승자를 대상으로 한 장애인 복지차량 사용성 평가 연구 (Research of Usability Test on Disabled Welfare Vehicle for Guardians and Passengers of Disabled People)

  • 이근민;김동옥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141-161
    • /
    • 2016
  • 본 연구는 17명의 장애인 보호자 및 장애인 탑승자를 대상으로 레이(Ray)의 실험 복지차량 사용 시 문제점을 예측하여 개선하기 위한 연구로써, 실험 복지차량 이용 시 18개의 주요 사용성 평가항목을 통해 실제 소비자인 장애를 고려하기 위해 장애인 보호자 및 장애인 탑승자 관점에 기초한 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레이(Ray) 실험 복지차량의 만족도와 자기 소유차량 만족도 비교에서 장애인보호자군의 자가 소유차량만족도가 3.20점보다 실험복지차량 만족도가 3.88점으로 더 높았으며, 또한 장애인 탑승자군에서 장애인 자기소유차량만족도가 3.00점보다 실험 복지차량 만족도가 3.31점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 보호자 및 장애인 탑승자를 위한 실험복지차량이 이들의 장애특성에 대한 불편사항을 해소한 복지차량개발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장애인 보호자 및 장애인탑승자에게 적합한 복지차량을 개발하려면 조수석의 경우 수전동회전업시트가 필요하거나 아니면 차량 후석 슬로프를 통해 장애인을 수?전동 휠체어 탄 상태로 휠체어잠금장치, 휠체어 안전벨트, 휠체어 안전 손잡이, 하이루프 등이 차량 설계부터 장애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셋째, 후석 슬로프의 경우 차량의 전고높이(하이루프)와 수동 및 전동휠체어의 전폭을 고려하여야 하며, 휠체어 잠금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휠체어를 안전하게 고정하여 견인할 수 있는 전동장치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동슬라이드업시트와 후석 슬로프는 휠체어 장애인과 고령자 등 대상자에 맞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로 평면곡선부에서 동적궤도이탈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굴절차량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Dynamic Offtracking Model on Horizontal Curve Sections (Based on Articulated Vehicles))

  • 최재성;김우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5-128
    • /
    • 2002
  • 도로의 평면곡선부는 선형 설계시 직선부와 달리 여러 가지 요소를 추가적으로 고려하며 확폭의 문제도 이중의 하나이다. 확폭은 차량 뒷바퀴가 앞바퀴의 궤적을 따라 주행하지 않고 이탈하는 궤도이탈(offtracking)현상 때문에 발생하고, 곡선부 설계시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야 운전자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대형차량 운행이 빈번한 산업도로나. 곡선반경이 작은 산악지역 간선도로의 경우 궤도이탈현상으로 인해 곡선부 사고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확폭 필요성이 강조된다. 본 연구에서는 굴절차량 궤도이탈모형 이론 및 확폭 설치 기준에 관련된 국내외 연구 결과를 비교·검토하여 도로의 기하구조와 차량의 속도를 감안한 현실적인 동적 궤도이탈모형(Dynamic Offtracking Model)을 개발하여 이 모형을 이용한 확폭량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어진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견인차와 피견인차의 동적 거동에 편경사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궤도이탈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동적 궤도이탈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새로운 확폭량 산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실제 궤도 이탈량과 확폭량을 산정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곡선부 확폭 설치기준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무경운(無耕耘) 파종기용(播種機用) 구체기(溝切器)의 견인특성(牽引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Tr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eed Furrow Opener for No-till Planter)

  • 나우정
    • 농업과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149-157
    • /
    • 1978
  • 동력경운기용(動力耕耘機用) 두류(豆類)의 무경운(無耕耘) 파종기(播種機)에 부착(附着)하여 사용(使用)하는 구절기중(溝切器中)에서 소요색인력(所要索引力)이 작고 구절작업정도(溝切作業精度)가 양호(良好)한 구절기(溝切器)의 개발(開發)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爲)하여 구동식(驅動式) 토조(土槽)에 인공토양(人工土壤)을 채우고 원판형(圓板型) 및 호우형(型) 구절기(溝切器)의 소요색인력(所要索引力)과 이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인자(因子)들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코자 실내모형(室內模型)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원판형(圓板型) 구절기(溝切器)에 대(對)하여 직경별(直徑別)로 조립각(組立角)을 $8^{\circ}$$16^{\circ}$, 경심(耕深)을 3cm와 6cm로 변화(變化)시키년서 2.75cm/sec의 속도(速度)로 색인력(索引力)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원판(圓板)의 직경(直徑)이 약(約) 28cm인 경우(境遇)에 색인력(索引力)이 최소(最少)로 나타났고, 직경(直徑)이 이보다 크거나 작은때는 색인력(索引力)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으며 비저항(比抵抗)도 대체(大體)로 비슷한 경향(傾向)이었으나 원판(圓板)의 직경(直徑)이 약(約) 30cm일 때 최소(最少)로 나타났다. 종자파종(種子播種)의 심도조절(深度調節)을 목적(目的)으로 작구심(作溝深)(3cm 및 6cm)과 색인력(索引力)과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경심(徑深)과 색인력(索引力)과의 관계(關係)는 거의 직선적(直線的)인 변화(變化)를 나타냈으며 색인력(索引力)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인자중(因子中)에서 경심(耕深)의 영향(影響)이 가장 컸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조립각(組立角) 및 주행속도(走行速度)에 별(別) 영향(影響)없이 경심(耕深) 3cm 및 6cm 공(共)히 색인력(索引力)은 직경(直徑) 약(約) 28cm에서, 비저항(比抵抗)은 약(約) 30cm에서 최소(最少)의 값을 나타내었다. 파종기(播種機)의 작업성능(作業性能)과 관계(關係)가 갚은 주행속도(走行速度) 및 파건(播巾)의 조절(調節)을 목적(目的)으로 원판(圓板)의 조립각(組立角)과 주행속도(走行速度)가 색인력(索引力)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했던 바, 조립각(組立角)과 주행속도(走行速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모두 색인력(索引力)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나 색인력(索引力)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주행속도(走行速度)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원판형(圓板型) 구절기(溝切器)와 호우형(型) 구절기(溝切器)를 비교(比較)하기 위(爲)하여 쐐기각(角)이 $16^{\circ}$이고 리프트각(角)이 $20^{\circ}$인 호우형(型) 구절기(溝切器)와 조건(條件)이 비슷한 조립각(組立角) $16^{\circ}$의 원판형(圓板型) 구절기(溝切器)의 색인특성(索引特性)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직경(直徑) 30cm인 원판형(圓板型)의 경우(境遇)는 비저항(比抵抗)이 $0.35{\sim}0.5kg/cm^2$인데 비(比)해 호우형(型)의 경우(境遇)는 $0.71{\sim}1.02kg/cm^2$로 나타나 호우형(型)의 색인비저항(索引比抵抗)이 평균(平均) 2배정도(倍程度) 크게 나타났고 작구상태(作溝狀態)도 원판형(圓板型)의 경우(境遇)보다 불량(不良)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