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at grain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27초

DEVELOPMENT AND TESTING OF MEDIUM CAPACITY GRAIN FLOUR SEPARATOR

  • Kachru, Rajinder-P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966-978
    • /
    • 1993
  • A power operated 90.5 hp electric motor) grain flour separator was designed and developed for separation of grain (wheat, corn, chickpea and soybean) flour into various fractions based on the size of the particles of the product. The separator agitating mechanism, feed control, cylindrical separator unit and an eccentric mechanism. The machine was tested for wheat ( variety ; Sujata) flour separation into four fractions, viz ; semolina, Gr-I and II, flour (coarse) and white (fine) flour. Wheat samples (6.8% m.c., db) were first pearled by CIAE pearler for 15.8% bran removal . The pearled wheat grains were then milled for semolina by a burre mill. The product and machine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at different capacities varying from 24 kg/h to 143 kg/h. It was found that 76 kg/h capacity gave reasonably best results in terms of purity and recovery of semolina vis-a-vis the market product. The energy requirement of the machine at no-load was found to be 230 W and at load c nditions, it varied between 36.3-6.4 KJ per kg of fead seperation. The macine could be used by small flour millers small/medium size traders and retailers and other processors for making available various flour products of different particle size in the market for ready use of the consumers.

  • PDF

재배 환경조건이 소맥품질에 미치는 영향 I. 지역별 수량성과 품질과의 관계 (Influence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Wheat Quality I. Relationship between Grain Yield and Quality of the Wheat as related to Cultivated Locations)

  • 류인수;장학길;안완식;송현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9-64
    • /
    • 1977
  • 우리나라에서의 소맥 수량성과 품질의 지역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9개 품종을 8개 지역에 공시한 국장시험에서 종실수량 및 소맥분의 단백질 함량과 침전가를 검토하여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품종 및 지역별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국적으로 본 종실수량과 m$^2$당 수수는 고도의 정상관$(r=0.53^{**})$을 보였다. 2. 품종별 전국 평균수량에서는 400kg/10a 이상의 품종은 조광, Bezostaya, Kitakamikomugi등 이었고 300~400kg/10a의 품종은 원광, 영광, Roussalka, Centurk등 이었으며 300kg/10a 이하의 품종은 Atlas 66, NE 701132이었다. 3. 지역별 수량에서 청주 이북의 4개소 평균수량은 275kg/10a이었고 유성 이남의 4개소 평균수량은 449 kg/10a로 남부지역에서 높았다. 4.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종실내 단백질함량과 침전가는 각각 8.9~12.6%, 32~58cc 및 9.0~11.4%, 38~56cc의 범위에 있었고 일반적으로 북부 재배지역에서 단백질 함량 및 침전가가 높았다. 5. 종실내 단백질 함량과 침전가는 고도의 정의 상관$(r=0.66^{**})$이 있었고 종실수량과 단백질 함량 및 침전가 간에는 각각 $-0.49^{**}$$0.39^{**}$의 부상관이 있었다. 6. 비침전가는 경질 소맥인 Centurk 및 NE 701132 품종에서 높은 반면 조광, Roussalka등의 연질 품종계열들에서는 낮은 경향을 보여 비침전가는 단백질의 질의 평가와 경연질 소맥분류의 좋은 지표가 되었다. 7. 비침전가에 의한 경연질 소맥의 분류기준은 비침전가 4이하는 연질소맥으로, 5이상은 경질소맥으로 그리고 4~5는 중간질 소맥으로 볼 수 있었다.

  • PDF

다양한 곡류의 Sourdough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Sourdough Using Various Grain Flours)

  • 이경숙;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4-279
    • /
    • 2015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sourdough to various grain flours in bread, specifically, in regards to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ead dough, sensory evaluation, and bread storage. As the incubation time of sourdough increased, the total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Viable yeast counts of sourdough increased consistently until the third day, while lactic acid bacteria counts increased until the second day. The weight of breads containing sourdough made with rye flour, strong flour, and Korean wheat flour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However, the height,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control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s with sourdough made with various grain flours. The pH of breads containing sourdough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while the total titratable acidity and moisture conten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In analyzing the visible mold colony during the five days of storage at $30^{\circ}C$, mold growth in breads containing sourdough made of Korean wheat flour, barely flour, and rye flour was retarded. In the color measurement, the L values of the control and bread containing sourdough made with barley flour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after five days. The a value of bread containing sourdough made of rye flour was higher, and the b values of breads containing sourdough made of Korean wheat flour, barley flour and rye flour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after five days. The hardness of breads containing sourdough increased as storage time increased, where as breads containing sourdough made of Korean wheat flour, Korean whole wheat flour, and rye flour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control group. Sensory evaluation scores in terms of after swallowing,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of bread containing sourdough made of Korean wheat flour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환경 변동에 따른 경ㆍ연질 소맥의 등숙 및 품질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ain Filling and Quality Changes of Hard and Soft Wheat Grown under th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 함영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7권
    • /
    • pp.1-44
    • /
    • 1974
  • 본연구는 1972년에 수원에서 그리고 1973년에는 다시 수원, 매리 및 이리 광주의 3개 지역에서 경질 소맥인 NB 68513, Caprock와 중간질 소맥인 영광, 연질 소맥인 수계 169호를 공시하여 시비량 및 재배시기를 각각 3수준의 처리를 두어 등숙 및 품질의 변화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한편 1973년 및 1974년에는 수원에서 중간질 소맥인 영광과 경질 소맥인 NB 68513을 공시하고 온실에서 온도, 습도 및 일사량을 달리하여 이들이 소맥의 등숙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추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맥립의 등숙: 1) 1립중의 변이폭은 대립종이 소립종에 비하여 크고, 립중별 소맥립의 분포는 대립종이 평균치에 가까이 분포된 율이 높았고, 소립종은 넓은 분산을 보였다. 2) 립중의 증가에 미치는 립장, 립후 및 립폭의 영향의 정도는 립장보다 립후와 립폭이 컸다. 3) 등숙 시기별 립중의 변화에 있어서 영광은 개화후 14일부터 35일까지, NB 68513은 14일부터 28일까지에 급증하였고, 대립종인 영광은 소립종인 NB68513에 비하여 등숙기간이 길었으며 배란비율도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4) 1000립중은 대체로 저온에서보다 고온에서, 다습보다 건조한 공중습도 조건에서 가벼웠고, 저온이나 고온에서라도 다습 조건하에서는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서광의 영향은 저온에서보다 고온에서 컸으며, 다습한 경우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등숙기간중 온도, 습도 및 서광의 영향은 소립종인 NB 68513보다 대립종인 영광에서 컸으며, 1000립중의 증감과 등숙일수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6) 1000립중과 1$\ell$중은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무거워졌으나, 보비와 다비구간에는 그 증가율이 비교적 낮았고, 조숙재배는 만파재배보다 무거웠으며, 이와 같은 경향은 수원에서 현저하였고 광주 및 이리에서는 미미하였다. 2. 제분성: 7) 동일 품종에서 1000립중이 무겁게 나타난 저온다습 조건 및 조숙재배가 고온, 건조, 조건 및 만파재배에 비하여 제분율이 높았고, 지역간 차이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8) 제분율은 영광이 가장 높고 수계 169호가 가장 낮았으며, 경질 소립종인 Caprock, NB 68513은 연질 소립종인 수계 169호보다 높았다. 9) 회분 함량은 지역, 시비량 및 재배시기에 따른 차이는 작았고, 품종간 차이는 컸으며, NB 68513 및 Caprock는 영광 및 수계 169호보다 현저히 높았다. 3. 단백질 함량: 10) 단백질 함량은 1000립중이 가벼웠든 고온, 건조 및 서광 조건에서 저온, 다습 조건에서보다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영광에서 현저하고 NB 68513에서 적었다. 11) 종질의 단백질 함량은 개화후 1~2주일 사이에 높았는데, 이는 배란에 대한 배와 종피의 비율이 크기 때문이었고,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배, 종피의 영향은 감소되며, 달서 단백질 함량도 감소되었으나 개화후 3~4주부터는 다시 단백질함량이 증가되어 개화후 7주에 최대에 달하였다. 등숙 중기(개화후 3~4주) 이후의 단백질함량 증가는 대체로 1000립중의 증가와 비슷하였으나, 성숙된 종실의 단백질 함량의 증감은 등숙기간의 장단의 영향보다는 역일상에 따른 기상적 환경, 특히 기온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였다. 12) 소맥분의 단백질 함량은 종실의 단백질 함량의 변화와 같아서 이 양자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13) 단백질 함량은 각 품종 모두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또 재배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수원에서는 광주, 이리에서보다 그 경향이 현저하였다. 14) 품종별로 존 단백질 함량은 영광, NB 68513 및 Caprock은 비슷하였으며 비교적 높았고, 수계 169호는 낮았는데 이 품종은 재배법에 따른 단백질 함량의 변이도 적었다. 15) 단위 면적당 단백질 수량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재배시기가 빠를수록 높은 경향이었고, 조숙재배에서는 질소질 비료의 이용율이 높았으며, 영광은 시비량 증가에 따른 단백질 수량 증가가 비교적 컸다. 4.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16) Sedimentation value는 저온, 다습, 소비 조건에서보다 고온, 건조, 다비 조건에서 컸고, NB 68513 및 Caprock는 그 경향이 현저하였는데 영광 및 수계 169호는 뚜렷하지 않았었고, 광주, 이리보다는 수원에서 Sedimentation value의 변이가 컸다. Sedimentation value의 증감은 단백질 함량의 증감과 관계가 깊으나, 다습조건에서는 Sedimentation value가 감소되었다. 한편 Sedimentation value는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성숙기에 최대에 달하였다. 17) Pelshenke value는 재배방법 및 지역 간의 차이가 Sedimentation value의 경우와 대체로 같은 경향을 보였다. 18) Mixing time은 NB 68513이 4~6분, Caprock가 5~7분 소요되었으며, 영광 및 수계 169호는 NB 68513 및 Caprock보다 지역 및 재배법에 따른 변이가 컸다. Mixing height와 Mixing area는 NB 68513 및 Caprock에서 컸고 영광 및 수계 169호에서는 작았으며, 재배방법에 따른 변이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지역에 따른 차이는 이리, 광주에서 낮고 수원에서 높았다. 19) NB 68513 및 Caprock의 품질에 있어서 제분성은 고온, 건조 조건, 또는 다비, 만파재배에서 떨어졌으나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양호하여 제빵 적성이 좋고, 조숙재배는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소 불량하였으나 제분성이 높고 단위 면적당 단백질 수량인 높은 경향이었다. 지역간에서 보면 이리, 광주보다는 수원이 NB 68513 및 Caprock의 재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상호관계: 20) 제분율 및 회분함량과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과는 직접적인 상관이 없었으며, 1000립중이 가벼운 것이 단백질 함량이 높았고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도 양호하였다. 21) NB 68513 및 Caprock에 있어서 단백질 함량과 Sedimentation value, Pelshenke value 및 mixing height와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 분의 Gluten strength도 강하고 따라서 제빵 적성도 양호하였다. 영광 및 수계 169호에 있어서는 단백질 함량과 Sedimentation value와는 정의 상관이 있으나 Pelshenke value와 Mixing height와는 상관이 없었다. 따라서 단백질 함량 증가에 따라 Gluten strength 양자와 연결됨이 크고, Pelshenke value와 Mixogram은 Gluten strength와 연관됨으로 경질과 연질의 품종 구분에는 Mixogram, Pelshenke value의 검정이 유리하고, Sedimentation valuer검정은 같은 품종내에서 재배법 차이에 따른 품질 평가에 알맞은 것으로 보았다.

  • PDF

The whole wheat effect and refined with E-selectin polymorphism on breast cancer

  • Zakariya, Bilal Fadil;Almohaidi, Asmaa M. Salih;Simsek, Secil Akilli;Kamal, Areege Mustafa;Al-Dabbagh, Wijdan H.;Al-Waysi, Safaa A.
    • 분석과학
    • /
    • 제35권4호
    • /
    • pp.161-168
    • /
    • 2022
  • Wheat is rich in sources of fiber, oligosaccharides, and resistant starch, simple carbohydrates which may have a protective role against carcinoma. Additionally, Whole wheat/bran as well includes contains phytochemicals such as flavonoids, lignans, folate, phytosterols, phenolic acids, and tocols. The above phytochemicals suitable forms antioxidant and cholesterol-reducing activities. Phytoestrogens are regarded as especially essential in the preventative measures of hormonally dependent malignancies such as breast cancer (BC). In this study lowered BC risk has been associated with whole grain/bran consumption with an odds ratio (OR=0.24 and 95 %CI=0.10-0.56). Wheat/bran appears to have a reliable protective impact against BC. While intake of white bread has been associated with a high risk of BC (OR=2.63 and CI 95 %=1.07-6.48). Also, the E-Selectin (SEL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rs5353 A/G and rs932307 C/T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anger sequences approach. There wa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genotypes (rs5353 GG+AG) and (rs932307 TT+CT) with rate consumption of wheat-white/bread and these genotypes were more frequent in patients had BC in comparison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0.03) (P=0.01), respectively. The genotypes (GG+AG) frequency of the rs5353 polymorphism and (TT+CT) genotypes of the rs932307 polymorphism in the present study had a high risk of cancer with (OR=3.05), (OR=4.17) respectively. While these genotypes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rate of whole grain consumption in patients and control. Therefore, the type of wheat may associate with increased incidence of disease-related with type of Polymorphism because some present genotypes of SNPs showed high (OR) which may refer to their positive associated with disease, the white wheat consumption may active the risky association between SNPs and BC.

밀 품질평가 현황과 검사제도 (Current Wheat Quality Criteria and Inspection Systems of Major Wheat Producing Countries)

  • 이춘기;남중현;강문석;구본철;김재철;박광근;박문웅;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63-94
    • /
    • 2002
  • On the purpose to suggest an advanced scheme in assessing the domestic wheat quality, this paper reviewed the inspection systems of wheat in major wheat producing countries as well as the quality criteria which are being used in wheat grading and classification. Most wheat producing countries are adopting both classifications of class and grade to provide an objective evaluation and an official certification to their wheat. There are two main purposes in the wheat classification. The first objectives of classification is to match the wheat with market requirements to maximize market opportunities and returns to growers. The second is to ensure that payments to glowers aye made on the basis of the quality and condition of the grain delivered. Wheat classes has been assign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cultivation area, seed-coat color, kernel and varietal characteristics that are distinctive. Most reputable wheat marketers also employ a similar approach, whereby varieties of a particular type are grouped together, designed by seed coat colour, grain hardness, physical dough properties, and sometimes more precise specification such as starch quality, all of which are genetically inherited characteristics. This classification in simplistic terms is the categorization of a wheat variety into a commercial type or style of wheat that is recognizable for its end use capabilities. All varieties registered in a class are required to have a similar end-use performance that the shipment be consistent in processing quality, cargo to cargo and year to year, Grain inspectors have historically determined wheat classes according to visual kerne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wheat varieties. As well, any new wheat variety must not conflict with the visual distinguishability rule that is used to separate wheats of different classes. Some varieties may possess characteristics of two or more classes. Therefore, knowledge of distinct varietal characteristics is necessary in making class determinations. The grading system sets maximum tolerance levels for a range of characteristics that ensure functionality and freedom from deleterious factors. Tests for the grading of wheat include such factors as plumpness, soundness, cleanliness, purity of type and general condition. Plumpness is measured by test weight. Soundness is indicated by the absence or presence of musty, sour or commercially objectionable foreign odors and by the percentage of damaged kernels that ave present in the wheat. Cleanliness is measured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f foreign material after dockage has been removed. Purity of class is measured by classification of wheats in the test sample and by limitation for admixtures of different classes of wheat. Moisture does not influence the numerical grade. However, it is determined on all shipments and reported on the official certificate. U.S. wheat is divided into eight classes based on color, kernel Hardness and varietal characteristics. The classes are Durum, Hard Red Spring, Hard Red Winter, Soft Red Winter, Hard White, soft White, Unclassed and Mixed. Among them, Hard Red Spring wheat, Durum wheat, and Soft White wheat are further divided into three subclasses, respectively. Each class or subclass is divided into five U.S. numerical grades and U.S. Sample grade. Special grades are provided to emphasize special qualities or conditions affecting the value of wheat and are added to and made a part of the grade designation. Canadian wheat is also divided into fourteen classes based on cultivation area, color, kernel hardness and varietal characteristics. The classes have 2-5 numerical grades, a feed grade and sample grades depending on class and grading tolerance. The Canadian grading system is based mainly on visual evaluation, and it works based on the kernel visual distinguishability concept. The Australian wheat is classified based on geographical and quality differentiation. The wheat grown in Australia is predominantly white grained. There are commonly up to 20 different segregations of wheat in a given season. Each variety grown is assigned a category and a growing areas. The state governments in Australia, in cooperation with the Australian Wheat Board(AWB), issue receival standards and dockage schedules annually that list grade specifications and tolerances for Australian wheat. AWB is managing "Golden Rewards" which is designed to provide pricing accuracy and market signals for Australia's grain growers. Continuous payment scales for protein content from 6 to 16% and screenings levels from 0 to 10% based on varietal classification are presented by the Golden Rewards, and the active payment scales and prices can change with market movements.movements.

국산밀 제분부산물을 첨가한 고식이섬유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Fiber Breads Added with Domestic Wheat Bran)

  • 이영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23-328
    • /
    • 2003
  • 국산밀의 제분시 생성되는 밀기울(총 식이섬유 42%)을 밀가루에 $0{\sim}30%4 첨가함에 따라 반죽과 yeast 발효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식이섬유빵의 소재로 활용하였다. 밀가루에 첨가하는 국내산 밀기울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amylograph 최고점도와 set back은 감소하였으며, mixograph에 의한 반죽의 리을로지 특성에서 peak height는 증가한 반면에 mixing time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밀기울의 첨가는 빵의 부피를 현저히 낮추고 crumb grain, 텍스쳐 등 관능특성에서 빵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기울의 첨가에 의해 빵은 L 값이 감소하여 어두워졌으며, crumb의 a 와 b값은 증가하여 적색과 황색의 색조를 부여하였다. 빵의 부피와 관능검사 측정 결과에 따라 국내산 밀기울의 적정 첨가수준은 약 15%까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15% 밀기울 첨가빵은 대조구 빵에 비해 경도가 2배 이상 높았으며 $5^{\circ}C$$25^{\circ}C$에 5일간 저장실험에서 저장 $2{\sim}3$일에 급격한 경도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지역 및 파종기 차이가 소맥의 등숙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ion and Sowing Date on Grain- filling and Quality in Wheat)

  • 류용환;하용웅;최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68-373
    • /
    • 1983
  • 본 시험은 1978년부터 1979년까지 2개년간 수원과 광주에서 소맥 “조광”을 공시하여 파종기를 달리하였을 때 등숙기간중 립중의 경시적인 증가양상과 품질의 변이에 관하여 등숙기간별로 추적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지역간에는 수원에서 파종기차이에서는 적기파종에서 빨랐으나 년차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출수까지의 일수는 지역 및 파종기에 따라 변이가 비교적 커서 수원에서 225-207일, 광주는 192-176일이 소요되었다. 2. 등숙전기의 립중은 광주에서 보다 수원에서 무거웠으나 최종 립중은 반대로 광주에서 높았다. 3. 등숙일수는 년차변이가 커서 수원에서 적기파종한 경우는 43-49일, 광주는 44-51일이었으며 만기파종은 동일지역내에서 적기파종에 비해 1-4일이 단축되었다. 4. 제분율은 지역간에는 광주에서, 파종기간에는 적기파종에서 다소 높았으며 등숙일수에 따라서는 등숙이 진전됨에 의해 증가하여 만기파종에서는 출수후 45일에 최대가 되었으나 적기파종에서는 45일이후까지 경미한 증가경향을 보였다. 5. 단백질함량과 심전가는 제분율과는 반대로 고온하에서 등숙이 이루어진 북부지방에서, 파종기에 따라서는 만기파종에서 높았으며 등숙기간별로는 일양적인 경향이 없었다.

  • PDF

Evaluation of Bread Baking Quality of Korean Winter Wheat over Years and Locations

  • Hong, Byung-Hee;Park, Chul-Soo;Baik, Byung-K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3-20
    • /
    • 2002
  • Bread baking parameters and relationships between bread baking properties and flour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for two years, 1997 and 1998, and at two locations, Suwon and Deokso, with Korean winter wheat cultivars and lines. Among the bread baking parameters, lightness of crumb grain showed differences between year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ough mixing time, bread loaf volume, crumb grain score or firmness. Keumkangmil, Suwon 278 and Tapdongmil showed higher bread loaf volume, good structure of crumb grain and softer crumb firmness. However, compared to commercial flours for baking, cultivar means averaged over years and locations of nineteen Korean winter wheats showed poor bread baking quality because of low protein content and unsuitable protein quality. Protein content and flour swelling volume showed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 bread baking parameters than other flour characteristics. Friabilin-absence lines showed softer crumb firmness than those of friabilin-presence 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