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at gluten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8초

Genomic and evolutionary analysis with gluten proteins of major food crops in the Triticeae tribe

  • Kim, Sang Heon;Seo, Yong We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86-86
    • /
    • 2017
  • Prolamins are the main seed storage proteins in cereals. Gluten proteins seem to be prolamins because their primary structure have the meaningful quantity of proline and glutamine amino acid residues. Gluten proteins are found in crops such as wheat (Triticum aestivum), barley (Hordeum vulgare), and rye (Secale cereale) which are major food crops in the Triticeae tribe. Glutenin and gliadin, hordein, and secalin are typical gluten proteins found in wheat, barley, and rye, respectively. Gluten affect grain quality so that many researches, such as isolation or characterization of their genes, have been carried out. To improve the quality of grains in the Triticeae trib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within their gluten proteins and their evolutionary changes. The sequences of nucleotides and amino acids of gluten protein including glutenins, gliadins, hordeins, and secalins were retrieved from NCBI (https://www.ncbi.nlm.nih.gov/) and Uniprot (http://www.uniprot.org/). The sequence analysis and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gluten proteins were performed with various website tool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gluten proteins were grouped with their homology and were mostly corresponded with the previous reports. However, some genes were moved, duplicated, or disappeared as evolutionary process. The obtained data will encourage the breeding programs of wheat, barley, rye, and other crops in the Triticeae tribe.

  • PDF

Apparent Amino Acid and Energy Digestibilities of Common Feed Ingredients fo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Lee, Sang-Min;Seo, Joo-Young;Choi, Kyoung-Hyun;Kim, Kyoung-Duck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9-95
    • /
    • 2008
  • Flounder were fed a reference diet and test diets containing various feed ingredients: mackerel fish meal, meat meal, soybean meal, wheat flour, wheat gluten, corn gluten meal and brewer's yeast. Apparent digestibility was determined using a reference diet with 0.5% chromic oxide indicator and test diets contained 70% reference diet and 30% of the feed ingredient being evaluated. Apparent digestibility coefficients for amino acid and energy in the reference and test diets were determined, and digestibility coefficients for the test ingredients were calculated based on differences in the digestibility of test diets relative to the reference diet. The fish averaging 300 g were held in 2000 L tanks at a density of 20 fish per tank. Feces were collected from three replicate groups of fish using a fecal collection column attached to fish rearing tank. Apparent total amino acids digestibilities(90-95%) of mackerel fish meal, soybean meal, wheat gluten, corn gluten meal and brewer's yeast were higher than those of meat meal and wheat flour(P<0.05). Apparent energy digestibilities(86-98%) of mackerel fish meal, meat meal, soybean meal, wheat gluten and corn gluten meal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ose of wheat flour and brewer's yeast.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nutrient and energy utilization for flounder.

활성글루텐이 1차발효 후 냉동한 생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tal Wheat Glute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Dough Frozen after 1st Fermentation)

  • 최두리;이정훈;윤여창;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5-60
    • /
    • 2005
  • 활성글루텐을 0, 2, 4% 첨가하여 제조한 냉동생지를 8주간 냉동보존하면서 1주 단위로 생지의 효모균수와 냉동생지를 해동 발효 굽기로 제품을 제조하였다. 냉동자당기간에 따른 생지의 효모 생존율과 제품의 비용적, 부피, 조직감, 관능검사 등을 분석하였다. 생지의 효모균수은 냉동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활성글루텐 4% 첨가한 생지에서 저장 8주에 $4.4{\times}10^{6}\;cfu/g$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제품의 비용적과 부피는 활성글루텐을 4% 첨가한 냉동생지가 컸고, 조직감은 저장 4주까지는 활성글루텐을 첨가하지 않은 냉동생지가 더 부드러웠으며, 관능검사는 활성글루텐 4% 첨가한 냉동생지가 높은 점수를 얻어 1차 발효 후 냉동생지 제조에 활성글루텐 4% 첨가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맥글루텐과 스팀 처리가 새우 사료의 수중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heat gluten and Steaming Treatment on Water Stability of Extruded Shrimp Feed)

  • 김재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2-288
    • /
    • 2004
  • 본 연구는 새우사료의 수중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스팀처리도 하지 않고 글루텐도 함유하지 않은 비교시험 사료와 스팀 처리만 한 사료 그리고 소맥글루텐을 첨가하고 압출 성형한 후 스팀 처리한 사료, 세 가지 종류의 새우 사료를 제조하였다. 소맥글루텐을 새우사료에 4% (w/w) 가량 첨가하고 압출 성형한 다음 5분간 스팀 처리를 한 사료는 48시간이 지난 수중 안정성이 1로서, 소맥글루텐을 첨가하지 않고 스팀 처리도 하지 않은 비교 시험 사료의 4에 비해 수중 안정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대하 사육 시험에서도 체중 증가율과 사료 효율이 각각 237%, 16.7%로서 비교 시험 사료의 151%, 12.8%보다 그 수치가 크게 증가하였다. 소맥글루텐의 첨가량과 스팀 처리 시간을 변화시켜 본 결과 소맥글루텐 첨가량을 4∼8%(w/w), 스팀 처리시간은 5∼10분으로 하는 것이 새우사료의 수중 안정성 개선에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양조용 원료대체에 관한 연구(제4보) 소맥글루텐의 이용 (Studies on the Substitution of Raw Material for Soy Sauce Part IV. Use of Wheat gluten)

  • 이제문;안순복;김유삼;홍윤명;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9-93
    • /
    • 1974
  • 간장의 원료중 콩을 전분공장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소맥글루텐으로 대체하는데 있어 원료배합비에 따른 국중 효순 생산량의 변화를 검토하고 제국조건을 결정한 뒤 원료총량 6kg의 규모로 담금하여 숙성중 제 성분의 변화를 분석 검토하고 이의 관능검사를 하였다. 소맥글루텐으로 탈지대두의 60% 대체하므로써 원료 총량에대해 소맥글루텐의 함량이 30% 되게 이용하므로써 성분상으로나 관능면에서 기존 간장에 뒤지지 않는 양질의 간장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산수량은 100%, 제국기간은 3일국이 적당하다. 총 질소함량은 소맥글루텐의 증량과 더불어 증가하나 60% 대체(총원료의 30%) 했을 때 원료중 총질소 이용도가 가장 높은데, 이는 제국중 국중 효소생산량도 이때 가장 높았던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는 1971년도 과학기술처 조사연구용역계약에 의거 이루워졌으며 현재 이 결과의 일부를 공업용으로 이용되고있다. 이에 대하여 과학기술처에 사의를 표합니다.

  • PDF

Vital Wheat Gluten 의 제조 (Vital Wheat Gluten by Hot Air Drying)

  • 서홍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
    • /
    • 1973
  • Wet gluten 에 salt 및 소량의 산(酸)을 가하여 상압하(常壓下)에서 $6^{\circ}C$로 열풍건조하여 vital gluten 을 제조하였다. 이때 salt 및 산(酸)은 gluten의 점착성을 저하시켜 표면적을 크게하고 열내성(熱耐性)이 생기게 하여 건조를 쉽게 하였다. 1) Salt 농도는 높을수록 glulen의 건조가 용이하나, quality 는 저하되었다 salt 는 $5{\sim}10%$가 좋을 것같다. 2) Salt 외에 HCI을 0.12%첨가한 결과 건조 시간은 거의 반으로 단축되었고, glulen의 질(質)은 저하되지 않았다. 3) 산(酸)은 hydrochloric, acetic, phosphoric, lactic acid 중(中)에서 hydrochloric acid 건조 시간을 가장 적게 하였으며 질(質)은 별 차이 없으므로 hydrochloric acid 첨가가 가장 좋았다.

  • PDF

효소 분해에 의한 밀가루의 항원성 저감화 (Reduction of Allergenicity of Wheat Flour by Enzyme Hydrolysis)

  • 박주연;안정엽;홍희옥;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2-157
    • /
    • 2004
  • 효소에 의한 단백질 분해로 우리 밀의 저 알레르겐화를 시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금강밀에서 gluten fraction을 추출하여 동물 실험을 통하여 경구 섭취된 gluten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하였다. Gluten fraction은 UTH buffer로 추출하여 10-50kDa 사이의 분자량에서 여러 밴드가 확인된 분획을 얻었으며 약 25 kDa, 34 kDa 그리고 45 kDa 부근의 밴드가 주요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구 투여로 유도된 gluten에 대한 항체는 ELISA와 western blot의 항원-항체 반응을 실시하여 anti-gluten lgG, IgE를 확인하였다. 또한 경구 투여의 투여 시간 경과에 따라 항체가는 상승하였다. 추출된 gluten fraction은 bromelain, papain, ficin 그리고 b.p. protease 각 효소의 최적 pH와 온도에서 가수 분해하여 gluten fraction의 알레르겐 저감화를 시도하였다. 효소 분해 후 gluten fraction의 저분자화 정도는 anti-gluten 하체에 대한 ELISA를 실시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bromelain, papain, ficin의 경우보다 b.p. protease을 처리한 경우가 ELISA value를 크게 저하시켰다. 이것은 gluten fraction이 b.p protease 효소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항체가 인식하는 amino acid 서열 (epitope)이 분해되었음을 나타낸 것이다. 마지막으로 b.p. protease의 분해능력을 1mg, 2mg, 3mg/10mL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검토한 결과 첨가량에 따른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금강밀의 gluten fraction 10mL에 b.p protease 1mg으로 4시간 처리하여 단백질을 분해하여 우리밀의 항원성 저하 가능성이 탐색되었다.

밀전분의 유리전이와 호화 및 노화에 대한 sucrose와 글루텐의 영향 (Effect of Sucrose and Gluten on Glass Transiti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Wheat Starch)

  • 장재권;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88-293
    • /
    • 2004
  • 전분, 단백질, 지방, 당류 등의 복잡한 다성분계로 구성된 전분질식품의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전체 수분함량 50%의 동일한 조건에서 밀전분과 sucrose와 글루텐을 모델계로 하여 전분의 유리전이와 호화 및 노화현상을 연구하였다. Sucrose나 글루텐은 밀전분에 대한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밀전분의 유리전이온도($T_G$)를 감소시켰으며 sucrose는 밀전분의 호화온도($T_G$)와 호화엔탈피값(${\Delta}H_G$)을 증가시켰다. 글루텐을 포함한 시료들은 글루텐을 포함하지 않은 시료들보다 낮은 $T_G$${\triangle}H_G$값을 나타내었다. 저장온도 $4^{\circ}C$에서 4주간 저장한 밀전분겔 시료들 중 sucrose와 글루텐을 포함하지 않는 밀전분겔은 4주의 저장기간 동안 재결정이 계속된 반면 밀전분-sucrose계와 밀전분-sucrose-글루텐계는 1주의 저장기간에 거의 재결정이 완료되었다. 저장온도 $32^{\circ}C$에서 모든 전분겔 시료들은 저장기간 1주의 저장기간에서 재결정 발생속도가 컸으며 4주의 저장기간까지 느린 속도이지만 계속적으로 재결정이 발생하였으며 밀전분에 대해 sucrose와 글루텐의 첨가비가 가장 높았던 1 :0.5 :0.12의 밀전분-sucrose-글루텐계의 노화된 정도가 가장 적었다. DSC로 측정한 노화의 결과들은 폴리머재결정원리에서의 결정의 핵형성율과 핵성장율이 노화 endotherm의 peak 폭(${\delta}T$)과 peak온도($T_R$)로 전환된다는 실험적 결과로부터 노화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였다.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and co-products from barley, corn, and wheat produced in South-East Asia or Australia

  • Natalia S. Fanelli;Leidy J. Torres-Mendoza;Jerubella J. Abelilla;Hans H. Stein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1호
    • /
    • pp.105-115
    • /
    • 2024
  • Objective: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and co-products from barley, corn, and wheat produced in South-East Asia or Australia, an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production area or production methods can impac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wheat co-products. Methods: Samples included seven barley grains, two malt barley rootlets, one corn gluten feed, one corn gluten meal, one corn bran, eight wheat brans, one wheat mill mix, and four wheat pollards. All samples were analyzed for dry matter, gross energy, nitrogen, amino acids (AA), acid hydrolyzed ether extract, ash, minerals, starch, and insoluble dietary fiber and soluble dietary fiber. Malt barley rootlets and wheat co-products were also analyzed for sugars. Results: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malt barley rootlets, and corn co-products were in general similar across countries. Wheat pollard had greater (p<0.05) concentrations of tryptophan, magnesium, and potassium compared with wheat bran, whereas wheat bran had greater (p<0.05) concentration of copper than wheat pollar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between wheat bran produced in Australia and wheat bran produced in Thailand. Conclusion: Intact barley contains more starch, but fewer AA, than grain co-products. There were only few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wheat bran and wheat pollard, indicating that the two ingredients are similar, but with different names. However, corn gluten meal contains more protein and less fiber than corn bran.

Growt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in Response to Elevated Temperature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Korean Bread Wheat

  • Chuloh Cho;Han-Yong Jeong;Yulim Kim;Jinhee Park;Chon-Sik Kang;Jong-Min Ko;Ji-Young Sh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4-124
    • /
    • 2022
  • Wheat (Triticum aestivum L.) is the major staple foods and is in increasing demand in the world. The elevated temperature due to changes in climat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s a major factor affecting wheat development and grain quality. The optimal temperature range for winter wheat is between 15~25℃,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of wheat according to the elevated temperature. This study presents the effect of elevated temperature on the yield and quality of two Korean bread wheat (Baekkang and Jokyoung) in a temperature gradient tunnel (TGT). Two bread wheat cultivars were grown in TGT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i.e. TO control (near ambient temperature), T1 control+1℃, T2 control+2℃, T3 control+3℃. The period from sowing to heading stage has accelerated, while the growth properties including culm length, spike length and number of spike, have not changed by elevated temperature. On the contrary, the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grain yield was reduced under T3 condition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condition. In addition, the. The grain filling rate and grain maturity also accelerated by elevated temperature (T3). The elevating temperature has led to increasing protein and gluten contents, whereas causing reduction of total starch content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reduced expression of starch synthesis genes and increased gliadin synthesis or gluten metabolism genes during late grain filling period.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levated temperature (T3) leads to reduction in grain yield regulating number of grains/spike, whereas increasing the gluten content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starch and gliadin-related genes or gluten metabolism process genes expression. Our results should be provide a useful physiological information for the heat stress response of whea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