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at cultivars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초

Quality characteristics of Tteokbokki (Rice Cake) depending on cultivars and particle sizes of dry-milling rice flour

  • Song, Eun-Ju;Choi, So-Ra;Song, Young-Eun;Lee, In-Sok;Lee, Ki-Kw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76-276
    • /
    • 2017
  • This study was examined to establish a conditions for producing Tteokbokki using dry-milling rice flour which can save manpower and labor time. Since the cost of producing rice flour milled in a wet condition is 500 to 700 won/kg, which is more than twice as much as that of 300 won wheat flour, it is necessary to directly make rice flour from raw rice. The dry-milling rice flour used in the experiment was produced by Air mill (Nara machinary co. ltd., Tokyo, Japan) from 5 rice cultivars (Samkwang, Dasan-1, Boramchan, Seolgaeng, Hanareum-2), which were cultivated in A-san in 2015 year. Their particle sizes were 50, 100 and $150{\mu}m$ for each cultivar, respectively. A control was a wet-milled rice flour milled with a roll mill after the rice was soaked in water for 4 hours. The moisture content of dry-milling rice flour based on cultivars was 11 ~ 12%, and added water up to 50~55% of dry-milling rice flour weight. The RVA characteristic of peak viscosity was the highest in Dasan-1 and Hanareum-2, the lowest in Seolgaeng. The setback value used as an indicator of aging was the highest in Dasan-1, therefore Dasan-1 was expected to be quick solidification, resulting in the low tendency of sensory evaluation. The damaged starch was high in Dasan-1 and Boramchan (p<0.05) compared to others. The Hunter color L were no significant among cultivars and b value increased in all cultivars of dry-milling rice flour compared with control. The hardness of dry-milling rice flou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especially Dasan-1 and Hanareum-2 were the highest. Based on the sensory evaluation, the best cultivars were Boramchan, Hanareum-2 and Samkwang. The overall preference of dry-milling rice flour was good in particle size of 50~100um.

  • PDF

Characteristics of Biochemical Markers and Whole-Wheat Flours Using Small-Scaled Sampling Methods in Korean Wheats

  • Park Chul Soo;Kim Yang-Kil;Han Ouk-Kyu;Lee Mi Ja;Park Jong-Chul;Seo Jae-Hwan;Hwang Jong-Jin;Kim Jung-Gon;Kim Tae Wa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46-355
    • /
    • 2005
  •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biochemical markers' and small-sample methods using whole-wheat flours for screening in early generation in Korean wheat breeding system, 74 Korean wheats, including cultivars, local breeding lines and experimental lines, were analyzed. Seed storage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of grains were evaluated. Biochemical makers, including granule bound starch synthase (GBSS), high molecular weigh glutenin subunits (HMW-GS) and friabilin were also evaluated by using one-dimensional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ith a single kernel. The small­sample methods, including modified SDS-sedimentation test (MST), micro-alkaline water retention capacity (AWRC) and whole-wheat flour swelling volume (WSV) were also tested in this study. Protein content, MST and AWRC was $11.0 - 15.8\%$, 2.7 - 26.2 ml and $71.9 - 109.7\%$, respectively. Apparent and total amylose content and WSV was $20.6 - 25.0\%$, $26.1 - 32.4\%$ and 9.0 - 16.9 ml, respectively.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ST and AWRC (r=0.592, P<0.001), but Korean whea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tein content, amylose content and small-sample methods. In the biochemical markers, Korean wheats contained all three GBSS encoded by Wx loci, except for Suwon 252. Korean wheats showed the high frequency ($58.1\%$) of 1Dx2.2 + 1Dy12 subunits of HMW-GS. Friabilin band was present in 46 lines ($62.2\%$) and absent in 28 lines ($37.8\%$). Friabilin-absence lines showed the higher MST (14.9 ml) and AWRC ($92.1\%$) value than friabilin-presence lines (8.5 ml and $82.4\%$, respectively).

RH-531 처리가 맥류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H-531 Treatments on Growth, Yields and Quality in Barley and Wheat)

  • 강병화;조재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0권
    • /
    • pp.87-94
    • /
    • 1975
  • 생장조절제인 RH-531이 맥류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맥의 부흥(장간종), 수원 16005(중간종) 수원 18호(단간종)와 소맥의 장광(장간종), 남광(중간종), 수원 8005(단간종)을 공시하여 1972년 10월∼1973년 6월에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실험농장에서 처리시기(무처리, 4월 5일, 4월 17일, 4월 28일)와 처리농도(200ppm, 400ppm)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와 성숙기는 대, 소맥 전품종에서 처리시기가 늦을수록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늦어졌으나 변이폭은 1∼2일에 불과하였다. (2) RH-531처리에 으하여 대맥의 포장복상이 감소되는 정도는 시기별로는 4월 17일(절간신장기)처리에서 가장 컸고, 농도별로는 200ppm보다 400ppm에서 컸다. (3) 소맥의 수원 8005를 제외한 전공시품종에서 RH-531의 4월 5일 및 4월 17일 처리이후에 신장하는 엽은 직립하고 엽색도 짙어졌다. (4) 대, 소맥 전품종에서 지엽의 신장개시이전에 처리한 경우에는 지엽장돠 지엽폭이 감소하였다. (5) 추수장은 대, 소맥 전품종에서 모두처리시기가 높을수록 감소경향이 컸다. (6) 간장은 대, 소맥 전품종에서 4월 17일 (절간신장기)처리의 경우에 가장 감소하였고,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장간인 품종일수록 감소정도가 컸다. 절간장은 초기처리(4월 5일)에서는 하위절간이 짧아졌고, 후기처리(4월 28일)에서는 하위절간이 짧아졌다. (7) 수장은 대, 소맥 전품종에서 4월 5일 및 4월 17일 처리에서 가장 짧아졌고, 4월 28일 처리에서는 큰 감소가 없었다. (8) 도복지수는 대, 소맥 전품종에서 처리에 의하여 간장과 같은 경향으로 감소하였다. (9) 등숙율은 대, 소맥 전품종에서 처리시기가 늦을수록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저하하였으며, 10a당 수량은 대맥의 부흥 수원 16005는 4월 17일 처리에서 가장 감소하였고, 대맥의 수원 18호와 소맥의 3품종은 4월 28일 처리에서 가장 감소되었는데,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수량의 감소경향이 컸다. (10) 종실의 단백질함량은 대, 소맥 전품종에서 처리에 의하여 수량이 감소할수록 높아졌다. (11) 대, 소맥 각품종의 각형질에 미치는 RH-531처리의 영향은 처리농도보다 처리시기에 더욱 지배되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 PDF

맥류미성숙 종자와 초기생육과의 관계 (Growth of Seedling from Immature Kernel Harvested at Different Days after Flowering in Rye, Triticale, Wheat and Oat Cultivars)

  • 황종진;하용웅;연규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8-195
    • /
    • 1987
  • 입당호밀, 두루호밀, 신기호밀(트리티케일), 그루밀, 메귀리 등 5개 품종에 대하여 미성숙종자의 초기 생육(27일간)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5년 10월부터 1987년 2월까지 수원지방에서 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성숙 종자의 천립중은 성숙기까지 계속 증가를 나타냈는데 (r=0.9000 이상), 입당호밀과 두루호밀은 개화후 35 일 (각각 6월 19일, 6월 24 일), 신기호밀, 그루밀, 메귀리 등은 개화후 30일 (각각 6월 29일, 6월 19일, 7월 9 일)에 천립중이 거의 최대에 달하였다. 2. 미성숙 종자의 발아율은 종자의 천립중 증가와는 상관이 높지 않았으며, 메귀리에서 개화후 5일에 49 %의 발아를 보였고 개화후 10 일부터는 94% 이상을 보였다. 기타 품종들도 어느 일정 시기이후에는 90% 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3. 미성숙 종자에서 생육한 개체의 초장은 종실의 천립중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지만 신기호밀과 메귀리에서 개화후 20 일, 25 일, 30 일 (성숙기)에 수확한 종자의 유식물체간에 그루밀에서는 개화후 25일, 30 일 (성숙기) 간에 차이가 적었다. 4. 미성숙 종자에서 온 유식물체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종실의 천립중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신기호밀, 그루밀, 메귀리 등에서 개화후 25 일이나 30일에 수확한 종자의 유식물체들 간에 차이가 적었다. 5. 수원지방에서 청예용 종자로서 사용할 경우 입당호밀과 두루호밀은 개화후 35 일 (각각 6월 19일, 6월 24 일 ) 신기호밀, 그루밀, 메귀리 등은 개화후 25 일 (각각 6월 24 일, 6월 14 일, 7월 4 일) 에 수확하여도 청예수량이 크게 감소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PDF

밀 감수분열기 Mutagen 처리가 약배양에 있어서 염색체 변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utagen at Meiotic Stage on Wheat Ploidy in Anther Culture)

  • 박광근;강양순;하용웅;허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4-78
    • /
    • 1991
  • 밀 약배양에 있어서 Callus 유기, 식물체분화 및 분화식물체의 염색체 변이에 미치는 돌연변이 유기제의 처리 효과를 검토코자 감수 분열기 1 핵기 이삭에 X-ray는 4수준( 100, 200, 500, 1,000 rad) Ethyle Methane Sulphonate 는 3수준 ( 0.1, 0.2, 0.3M)으로 각각 처리하여 $C_{l7}$배지에서 callus를 유기시키고 1/2 MS 배지에서 식물체를 분화시켰다. 그 결과 callus 유기는 억제되었으나 식물체분화는 다소 높았으며 특히 약치상 후 61~80일째 장기치상된 약의 callus에서 식물체분화율이 높았다. 분화식물체의 염색체 변이는 반수체(n=3 x=21) 발생율이 증가되었고 n=20, n=21개의 염색체를 갖는 이수체가 발생되어 염색체 변이가 컸다.다.

  • PDF

Solid형 맥류의 줄기의 특성과 Solidness 변이 (Characteristics of Solid Culm and Solidness Variation in Winter Wheat and Triticale)

  • 강양순;하용웅;박광근;허화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01-505
    • /
    • 1991
  • Solid형 맥류의 사이레지 적성 판단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환경적 및 품종간 간의 특성과 solidness를 검토코자 포장과 온실에 추파하여 출수기에 각 절간중간부위 단면의 solidness 정도와 각 정간중의 공기 체적을 조사한 결과 1. Solid 맥류는 간벽이 두껍고 pith가 간의 내부로 차게 되어 절간중 공기 함유량이 줄어들어 Solidness가 증가되었다. 2. Solid 정도는 hollow 품종인 보통밀 원광이 14.6%, 트리티케일의 신기호밀이 15.0%인데 비하여 Solid 품종인 듀럼밀은 77.0-100%, 빵밀은 61.0-95.8%, 트리티케일은 18.7-37.0%로 맥종간 품종간 변이가 컸다. 3. 듀럼밀인 Golden ball의 solidness 정도는 포장 재배 조건에서보다 온실재배 조건에서 높았고 절위별로는 상위절 일수록 그리고 주간에서보다는 분벽지에서 각각 높았다. 4. 줄기당 함유 공기용량은 hollow품종인 신기호밀이 4.85ml인데 비하여 solid 품종들은 1.01-2.3ml로서 매우 낮아 사이레지 가공시 암착효율이나 유산 발효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enotype and Environment Effects on Gliadin Content and Polyphenol Oxidase Activity in Wheat

  • Seo, Yong-Weon;Park, Yong-Hack;Hong, Byung-Hee;Park, Moon-Woong;Nam, Jung-Hy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8-43
    • /
    • 2000
  • The environment in which a given genotype is grown may influence its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When varieties are $\times$ evaluated over numerous environments, a variety environment interaction usually is observed, but the relative magnitude of environmental(E), genetic(G), and G $\times$ E effects on quality is unclear. In order to determine relative contribution of genotype, environment, and G $\times$ E interaction to the variations observed in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18 Korean wheat cultivars and experimental lines were evaluated in two environments in 1998 and 1999.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grain quality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were also estimated. The analysis of variance for the optical density obtained by reaction bet- ween gliadin and anti-gliadin polyclonal antibody (AGPab) indicated that gliadin content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was significantly in- fluenced by environment and cultivar differenc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year and year $\times$ location were also found. The ratio of the variance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effects to the variances associated with genetic effect gave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 on gliadin content. The different protein content from same genotype grown in different environment might be associated with degree of storage protein accumulations.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ELISA and protein content, yield, ten spike weight, and ten spike number were detected.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year, location, cultivar and year $\times$ location. The variance in grain PPO activities among growing years appeared larger than the variation produced by the cultivar examined. This suggested that the growing environment contributed more to variability in grain PPO concentration.

  • PDF

한국산(韓國産) 밀의 Mixograph특성(特性)과 제(製)빵적성(適性)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Mixograph Properties and Bread Quality of Korean Wheat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 김창식;장학길;하덕모;윤주억;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3-227
    • /
    • 1984
  • $1980{\sim}1982$년의 3년간에 걸쳐 한국산(韓國産) 밀 166품종(品種) (또는 계통(系統))을 공시(供試)하여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 침전가(沈澱價), Mixograph 및 제(製)빵적성(適性)을 조사하여 각 특성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과 침전가(沈澱價) 또는 빵부피 및 침전가(沈澱價)와 빵부피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으며, 이와갚은 현상은 연차간(年次間)의 관계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 및 침전가(沈澱價)와 Mixograph흡수률(吸水率)은 정(正)의 유의관계(有意相關)이 있었으나 반죽시간이나 height와는 일정한 상관(相關)이 없었다. 각 품종(品種)의 반죽시간이나 height는 재배환경(栽培環境)이나 연차(年次)에 따라 변이(變異)가 있었으나 한 품종내(品種內)에서 Mixograph pattern은 환경(環境)이 달라도 품종고유(品種固有)의 모양을 보였다.

  • PDF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in Grain Extracts of Wheat, Barley, and Oat

  • Seo, Yong-Weon;Bu, So-Young;Jeon, Woong-Bae;Kim, Dong-Sub;Heo, Hwa-Yo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2-107
    • /
    • 2002
  • Cereal grains are rich in phenolic compounds that give beneficial effect in human health. Although several research works have been reported on the effects of phytochemicals of plant origin, such as fruits, vegetable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whole cereal grai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80% ethanolic extracts of cereal grains by testing the ability of the extracts to inhibit UV -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vitro using linoleic acid in comparison to well-known antioxidant such as ascorbic acid and tannic acid.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cereal grain (80% ethanolic extracts) investigated in this study varied from 2.1 mg/g (wheat cv. Olgeurumil) to 10.4 mg/g (barely cv. Seodunchalbori).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tal pheno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found. Whe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 investigated extracts were measured with application of same quantity of phenol compounds, oat grain extracts showed similar antioxidant activity of barely cultivars. However, barely extract appeared as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ctivity of inhibition of UV -induced lipid peroxidation. This indicated that factors such as phenolic compound composition and their individual antioxidant activity could playa crucial role in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cereal grains.

주요작물의 한발저항성에 관한 연구 제1보 맥류 유묘기의 수분부족이 초장, 유묘건물종, 엽침소, 상대팽압도, 단백질 및 환원당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Drought-Resistance of Major Food Crops I. Effect of Water Stress on the Plant Height, Seedling Dry Weight, Relative Turgidity, Protein and Reducing Sugar in Barley and Wheat Seedling Stage)

  • 최원열;민경수;김용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4-310
    • /
    • 1981
  • 맥류의 한발저항성 반응과 정도 그리고 생리학적 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발아 후 10일된 맥류 유묘기(본엽3매시)에 8일간 단수처리하여 초장 유묘건물중 엽녹소 상대팽압도 단백질 환원당의 변화를 조사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품종의 평균 감소율은 초장 14%, 유묘건물중 24%, 엽녹소 31%, 엽상대팽엽도 27%, 단백질 28%였으며 유일하게 환원당만은 대조구에 비하여 단수구가 4배나 증가하였다. 2. 유묘건물중 감소율을 품종별로 보면 호맥이 가장 낮고, 백동, 목포5005, 이조대맥이 가장 높았으며 또한 맥종별로는 호맥<소맥<대맥<라맥<이조대맥의 순이었다. 3. 엽녹소의 감소율이 가장 낮은 품종은 호맥, 청계밀, 을밀이었고 가장 높은 것은 밀양1002, 방사006, 향맥, 사천004였다. 4. 엽상대팽엽도의 감소율이 가장 낮은 품종(22-25%)은 호맥, 청계밀, 동보리 001였고 가장 높은것(30-33%)은 백동과 이조대맥이었다. 맥종별로 보면 호맥<소맥<라맥<대맥ㆍ이조대맥의 순이었다. 5. 단백질의 감소율을 보면 후광, 그루밀, 동보리 001, 목포5005가 가장 낮은 품종(14~17%)들 이었고 이조대맥이(40%) 가장 심하였으며 맥종별로 보면 소맥<호맥ㆍ대맥<근맥<이조대맥의 순이었다. 6. 환원당의 증가비는 호맥과 소맥이 4~5배였고 이맥과 이조대맥이 약 2배 증가되었다. 맥종별 증가를 보면 호맥<소맥<대맥<라맥<이조대맥의 순이었다. 7 한발저항성 과정에서 생리적 대사작용의 관점에서 볼 때 호맥<소맥<대맥<라맥<이조대맥의 순으로 한발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