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at bran flour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초

밀기울 첨가 반죽의 물리적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dded with Wheat Bran)

  • 김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125-1131
    • /
    • 1998
  •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were investigated in the dough added with 0, 10, 15, 20, 25 and 30% of wheat bran. The ratios of ash contents in wheat flour and wheat bran were 0.43% and 5.28%, respectively. The ratios of fiber contents in wheat flour and wheat bran were 0.18% and 11.86%, respectively. The farinograph water absorption was increased as the amount of wheat bran was increased. Both arrival time and development time of the dough added with wheat bran were longer than those of wheat flour. As the amount of wheat bran was increased, the weakness was increased. The extensograph showed that extensibility and resistance to extension of dough were decreased, while the ratio of resistance to extensibility(R/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 unt of wheat bran. The maximum viscosity by amylograph was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adding amount of wheat bran, while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was slightly increased with wheat bran.

  • PDF

국산밀 제분부산물을 첨가한 고식이섬유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Fiber Breads Added with Domestic Wheat Bran)

  • 이영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23-328
    • /
    • 2003
  • 국산밀의 제분시 생성되는 밀기울(총 식이섬유 42%)을 밀가루에 $0{\sim}30%4 첨가함에 따라 반죽과 yeast 발효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식이섬유빵의 소재로 활용하였다. 밀가루에 첨가하는 국내산 밀기울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amylograph 최고점도와 set back은 감소하였으며, mixograph에 의한 반죽의 리을로지 특성에서 peak height는 증가한 반면에 mixing time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밀기울의 첨가는 빵의 부피를 현저히 낮추고 crumb grain, 텍스쳐 등 관능특성에서 빵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기울의 첨가에 의해 빵은 L 값이 감소하여 어두워졌으며, crumb의 a 와 b값은 증가하여 적색과 황색의 색조를 부여하였다. 빵의 부피와 관능검사 측정 결과에 따라 국내산 밀기울의 적정 첨가수준은 약 15%까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15% 밀기울 첨가빵은 대조구 빵에 비해 경도가 2배 이상 높았으며 $5^{\circ}C$$25^{\circ}C$에 5일간 저장실험에서 저장 $2{\sim}3$일에 급격한 경도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이 밀가루의 호화 및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ce Bran Dietary Fiber Extract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Wheat Flour)

  • 김영수;하태열;이상효;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64-469
    • /
    • 1997
  •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이 밀가루의 호화 및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방법으로 열처리한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하여 호화 및 노화현상을 RVA와 DSC로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그결과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 첨가는 대조구에 비해 호화온도, 최고점도 및 최종점도를 증가시켰다.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들을 DSC로 측정했을 때 To, Tp 및 ${\triangle}H$값들은 탈지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노화시 나타난 endothermic peak는 호화시보다 약 $15{\sim}20^{\circ}C$ 낮은 온도에서 폭이 넓은 형태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뚜렷한 endothermic peak를 보였다.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들은 노화지연 효과를 보였으며, 5%와 10% 첨가시료들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Asp. usamii shirousamii $U_2$ 균의 국식배양에 의한 유기산 및 당화효소 생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ormation of Organic Acid and Saccharifing Amylase in Koji Culture by Asp. usamii shirousamii $U_2$)

  • 윤복현;박윤중;이석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27-132
    • /
    • 1974
  • Asp. usamii shirousamii $U_2$ 균의 국식 배양에 있어서 유기산 및 당화효소생성 조건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기산 생산은 밀가루 및 밀기울 배지의 경우 $30^{\circ}C$에서 3일간 배양시에 가장 좋았으며 당화효소력은 밀가루 배지의 경우 $35^{\circ}C$, 3일간 배양시에 가장 높았고 밀기울 배지는 $35^{\circ}C$, 2일간 배양시에 거의 최고 역가를 나타냈다. (2) 3일 배양의 경우 배지의 첨수량은 밀가루 배지에서는 60% 첨수일 때, 밀기울 배지에서는 50% 첨수일 때 유기산 생성이 가장 좋았으며 당화효소 생성은 밀가루, 밀기울의 어느 배지에서나 $90{\sim}100%$ 첨수에서 가장 좋았다. (3) 밀가루와 밀기울의 배지를 비교하여 볼 때 유기산의 생성은 밀가루 배지가 좋았으며 당화효소생성은 밀기울 배지에서 높았다. (4) 고구마 전분박과 밀가루를 동량으로 혼합했을 때 밀가루 단일배지보다 유기산 및 당화효소 생성이 높았으며 밀기울에 고구마전분박 첨가의 효과는 없었다. (5) 밀가루, 밀기울 단일배지에 비하여 고구마전분박 단일배지에서는 유기산 및 당화효소 생성이 극히 나빴다. (5) 60% 첨수의 밀가루배지에서 $30^{\circ}C$, 3일간 배양한 경우 생성유기산 중의 약 90%가 구연산이었다.

  • PDF

보리등겨 가루 첨가가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rley Bran Flour Addition on the Quality of Bread)

  • 최웅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46-750
    • /
    • 2005
  • 본 연구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된 보리등겨 가루를 빵 제조에 첨가하여 식이섬유가 강화된 빵을 개발 하고자 하였다. 빵의 일반성분은 보리등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조단백과 회분 등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색차는 빵의 내부와 외부에서 똑같이 보리등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색차가 대조구에 비해 어두워졌다. 식이섬유함량은 보리등겨 가루가 5% 첨가된 빵에서 대조구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빵의 texture특징으로 보리등겨 가루가 첨가될수록 빵이 단단해졌으며 빵의 부피가 감소되었다. 관능평가를 통해 5%의 보리등겨 가루 첨가구는 대조구인 밀가루만을 이용한 빵과 그 유의차가 크지 않았으나, 10%와 15%는 관능평가 점수가 낮아지는 것을 보여 주어 보리등겨를 첨가한 빵 제조시 보리등겨 가루의 첨가량은 5% 정도까지가 적정량임을 알 수 있었다.

막걸리의 제조를 위한 효소제의 개발연구 1 (Studies on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method of enzymic source for Maggerley(Korea wine) brewing(I))

  • 이성범;최경환;임동순;김덕치
    • 미생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59-166
    • /
    • 1969
  • It is necessry to develop and strengthen the activity of enzymic source which in low applied for maggerley brewing as an amylolytic and proteolytic starter, recently in this country the active and strong enzymic starter is required for the better brewing and to substitute another starch material for the present wheat flour. In this study, manufacturing method the strong enzymic source have been developed and established with use of raw wheat bran plus fungal strains of Rhizopus sp. and Aspergillus usamii the culture of starter. The results on experimental the activities of enzymic sources (stater) are as following ; 1. Method of making the enzymic source (starter) is to cultivate the strains of Asperguillus orzyae, Asp. kawachii, Asp usamii and Rhizopus sp. in the acid treated raw or heatboiled wheat bran. 2. The saccharogenic pwoer (S.P.) of enzymic source which consisted of raw bran plus fungi and cultured in it is generally stronger than those of heat-boiled bran plus fungi, the strongest power was shown in the culture of Rhizopus plus raw bran, and the next other is in mixture of Asp.usamii and Rhizopus on raw wheat bran. 3. The most strong alpha amylase activity was expressed in the plot of Asp.oryzae on heat-boiled wheat bran, the next was in the culture of Rhizopus nad Aspergillus usamii on raw wheatbran. 4. The most vigourous acidic proteinase activity was expressed in the micture of raw bran plus Asp. usamii and Rhizopus those were independentlu cu;tured before mixing for neutral proteinase activity, it was shown in the mixed culture of Asp. usamii and Rhizopus on raw wheat bran, the msot active alkaline proteinase activity of enzymic source was found in the plot of raw bran material. 5. For poly-preptidase activity in pH 6.5 it is found that the culture of Rhizopus and Asp.usamii on raw bran was most active among them of enzymic sources. 6. Generally, it is concluded that culture of fungi on acid treated raw wheat bran is stronger in its activity than those of heat boiled wheat bran, especially the culture of Rhizopus nad Asp.usamii on raw bran exhibited the most vigorous and non-polarized activity for all aspects, so it is considered to be most desirable enzymic stater in Korean Maggerley brewing and this would be able to substitute brewing material for the present wheat flour because of its strong and wide hand activity of amylolytic and proteolytic action.

  • PDF

미강 첨가에 따른 밀가루 반죽물성 및 제빵적성 (Dough Properties and Bread Qualities of Wheat Flour Supplemented with Rice Bran)

  • 장경희;변광인;박상하;강우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9-213
    • /
    • 2008
  • 제빵용 시판 강력분에 미강을 첨가한 기능성 식빵 제조를 위하여 미강의 첨가량을 변화시키면서 반죽에 대한 물성, 식빵의 저장성, 제빵적성 및 관능검사를 조사하였다. 제빵의 비용적은 미강 5%, 10% 첨가구에서 각각 5.2%, 0.7%의 증가를 보였으나 미강 20%,30% 첨가구의 경우는 각각 대조구의 83%, 65%에 상당하는 비용적을 나타내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강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저장성 실험에서 구운 직후의 빵 crumb의 경도는 대조구에서 19.0으로 가장 부드러운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저장 3일이 경과한 후에는 미강 5%첨가구가 가장 낮은 경도 값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대조구, 미강 10% 첨가구, 미강 20% 첨가구,미강 30% 첨가구의 순으로 경도 값이 증가하였다. 제빵에 있어서 반죽의 물성은 반죽의 작업성과 최종제품의 품질을 예상할 수 있는 척도로써 미강의 첨가가 증가할수록 반죽의 경도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반대로 미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죽의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pH에 있어서 미강의 첨가에 의해 pH은 대조구 보다 감소하였으나 미강 첨가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미강의 첨가에 의해 변화하는 빵 내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L값은 미강 첨가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의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구와 미강 5% 첨가구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외형과 향에서 미강 5% 첨가구 시료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감, 관능적 특성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5에서 10% 정도의 미강 첨가 식빵이 영양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DEVELOPMENT AND TESTING OF MEDIUM CAPACITY GRAIN FLOUR SEPARATOR

  • Kachru, Rajinder-P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966-978
    • /
    • 1993
  • A power operated 90.5 hp electric motor) grain flour separator was designed and developed for separation of grain (wheat, corn, chickpea and soybean) flour into various fractions based on the size of the particles of the product. The separator agitating mechanism, feed control, cylindrical separator unit and an eccentric mechanism. The machine was tested for wheat ( variety ; Sujata) flour separation into four fractions, viz ; semolina, Gr-I and II, flour (coarse) and white (fine) flour. Wheat samples (6.8% m.c., db) were first pearled by CIAE pearler for 15.8% bran removal . The pearled wheat grains were then milled for semolina by a burre mill. The product and machine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at different capacities varying from 24 kg/h to 143 kg/h. It was found that 76 kg/h capacity gave reasonably best results in terms of purity and recovery of semolina vis-a-vis the market product. The energy requirement of the machine at no-load was found to be 230 W and at load c nditions, it varied between 36.3-6.4 KJ per kg of fead seperation. The macine could be used by small flour millers small/medium size traders and retailers and other processors for making available various flour products of different particle size in the market for ready use of the consumers.

  • PDF

율무 청국장 분말과 밀겨 분말을 활용한 아메리칸 쿠키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merican Cookies Prepared with Job's Tears(Coix lachryma-jobi L.) Chungkukjang Powder and Wheat Bran Powder)

  • 이혜정;박희옥;장재선;김성수;한찬규;오재복;도완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5-93
    • /
    • 2011
  • Job's tears(Coix lachryma-jobi L.) chungkukjang powder and wheat bran powder were added to American cookies for practical use as healthy compounds. We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as ratios of 10%, 20%, 25% to the flour quantity) of Job's tears chungkukjang & wheat bran powder.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flavonoid content in Job's tears chungkukjang & wheat bran powder and cooki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b's tears chungkukjang & wheat bran powder American cookie were estimated in terms of bulk density, pH of the dough, spread ratio, color, texture profile analysis, proximate composition, and sensory evaluations. While the spread ratio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flavonoid content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pH, hardness and L value of the cook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Job's tears chungkukjang & wheat bran powder(p<0.01).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for the 10~20% Job's tears chungkukjang & wheat bran powder American cookie ranked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in texture andoverall preference. This suggests that Job's tears chungkukjang and wheat bran powder are good ingredient candidates for increasing consumer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cookies.

보리등겨 첨가 반죽의 물성변화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dded with Barley Bran)

  • 최웅규;유병혁;손동화;권대준;김미향;김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51-75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무기질과 식이섬유의 함량이 풍부한 보리등겨를 제빵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보리등겨 첨가 빵의 이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Farinogram 분석결과, 보리등겨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흡수율이 증가하였다. 반죽의 안정도는 보리등겨가 많이 첨가 될수록 감소되었고, 반죽 약화도 역시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더 커져서 글루텐 조직이 약화됨을 보여 주었다. Amylogram에서는 5% 첨가구까지는 큰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보리등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고점도는 감소하였다. Extensogram에서는 보리등겨 첨가량이 5%인 실험구까지는 그 유의차가 크지 않았으나, 15%까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신장도가 감소하여 신장성과 탄력성이 떨어져 반죽이 약하고 가스수용력이 나빠 제빵 적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리등겨 첨가 반죽의 반죽 직후와 2차 발효 후로 나누어 미세구조를 관찰하였을 때 보리등겨의 함량이 높아갈수록 그 구조가 거칠어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