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ting agent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8초

카르복시메칠 셀룰로오스 성분이 포함된 인공누액이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rtificial Tear Containing Carboxymethyl Cellulose Component on Physical Properties of Hydrogel Contact lens)

  • 조선아;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7-463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에 미치는 카르복시메칠 셀룰로오스나트륨을 포함한 인공누액의 영향을 다양한 조건에서 분석 하였다. 방법: 렌즈 재료로 사용되는 NVP(N-vinyl-2-pyrrolidone) 및 MMA(methyl methacrylate)를 가교제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사용하여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공중합 하였으며, 개시제로는 azobisiobutyonitrile을 사용하였다. 또한 제조된 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함수율, 굴절률, 접촉각 그리고 분광투과율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기본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26.61% ~ 48.58%, 굴절률 1.422~1.455 그리고 분광투과율의 경우 80.8%~91.4%로 나타났으며 접촉각은 $33.93^{\circ}{\sim}65.70^{\circ}$의 범위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된 콘택트렌즈를 인공누액에 침지시킨 후 측정한 물리적 특성은 함수율 24.46%~48.25%, 굴절률 1.422~1.457 또한 분광투과율의 경우 77.0%~91.0%로 나타났으며 접촉각은 $37.25^{\circ}{\sim}77.33^{\circ}$의 범위로 나타났다. 수화시간에 따른 물성 변화는 굴절률의 증가, 함수율의 감소, 광투과율 감소 및 접촉각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카르복시메칠 셀룰로오스나트륨을 포함한 인공누액은 친수성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함수율, 굴절률, 접촉각 그리고 광투과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판 문화재 보존처리를 위한 강화처리제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Consolidating Materials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Woodblock)

  • 조상윤;박정혜;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6-17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목판 문화재의 보존처리를 위해 열화된 소나무를 이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Dammar, Beeswax, Paraloid B-72, 아교, H.P.C 처리제 적용에 따른 시험편의 중량변화와 수축률, 색 변화, 침투확산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목재 본래의 색을 유지하며 재질 강화에 효과적인 처리제로 Dammar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 결과를 토대로 목판 문화재와 손상 상태가 유사하며 목판 문화재의 주요수종과 유사한 열화된 산공재 수종을 이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Dammar의 적용농도 및 처리 방법을 알아보고자 Dammar 농도별(2%, 5%) 도포와 Dammar 농도별(10%, 15%) 함침을 진행하였으며 중량변화, 침투확산 특성 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목재 본연의 색을 유지하면서 재질 강화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Dammar 2% 도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충해 및 열화가 심한 목판 문화재의 강화처리에는 Dammar 2% 도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액정 세척용 수계 세정제의 배합성분과 혼합비에 따른 성능 변화 (A Study on the Performance Variations of Liquid-crystal Aqueous Cleaning Agents with their Formulating Components and Mixing Ratios)

  • 정재용;이민재;배재흠
    • 청정기술
    • /
    • 제16권2호
    • /
    • pp.103-116
    • /
    • 2010
  • 평면 판넬 디스플레이(FPD)산업 중 액정표시장치(LCD) panel 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대형화와 생산은 해마다 증가하고 생산기술은 향상되고 있다. FPD의 제조공정은 고도의 청정성이 요구되는 공정으로 제조공정 중 세정공정이 30~40%를 차지할 정도로 기술적 생산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 중 액정주입 후 잔류하는 액정은 미세갭에 잔류하여 제거하기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대체세정제의 원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glycol ether계 용제, glycol dimethyl ether계 용제, 그리고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우수한 세정력, 린스력, 침투력을 갖고 배선에 영향을 주는 이온함량을 최소화한 수계세정제를 개발하여 액정주입 후에 사용되는 panel의 액정 세척에 적용해 보았다. 이에 따라 배합성분들의 혼합비에 따른 세정제의 물성, 세정 효율 및 헹굼성을 측정하여 보았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배합세정제는 기존의 세정제보다 높은 습윤지수와 높은 운점을 보였다. 그리고 세정제의 주용제의 구조변화와 오염물로서 액정의 종류에 따라 세정효율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최적의 배합세정제는 기존의 세정제에 비하여 동등이상의 세정력을 보여주었고 헹굼성능도 훨씬 우수하였다.

계면활성제 무첨가 세정제의 배합 및 물성/세정성 평가 연구 (A Study on Formulation of Surfactant-free Aqueous Cleaning agents and Evaluation of Their Physical Properties and Cleaning Ability)

  • 이재령;윤희근;이민재;배재흠;배수정;이호열;김종희
    • 청정기술
    • /
    • 제19권3호
    • /
    • pp.219-22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계면활성제에 의한 수계 세정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친환경적이고 계면활성제가 없는 수계세정제 개발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자 부품 세정대상의 주 오염물인 플럭스(flux)에 대해 용해력이 있고 수용성인 propylene glycol과 propylene glycol alkyl ether계 용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여러 첨가제를 가하여 수계 surfactant-free 세정제 S-1, S-2를 배합하였고, 이들 개발세정제와 비교대상의 수계 surfactant-free 수입 세정제의 물성을 측정하여 세정성능을 예측하고 오염물인 플럭스와 솔더(flux and solder) 대하여 중량법을 이용한 초음파 세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비교대상 세정제인 수입세정제 V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배합세정제 S-1과 S-2의 세정제와 전반적으로 비슷한 결과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대상 세정제 V와 배합세정제 모두 원액을 희석함에 따라 pH가 저하되다가 다시 상승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습윤지수값은 세정능력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양한 초음파 주파수(28, 45, 100 kHz)를 사용한 세정성 평가 실험 결과에서 솔더(solder)의 세정은 주파수 45 kHz에서 세정 성능이 가장 좋게 나타났고 플럭스(flux)의 세정 성능 결과는 실험 대상의 모든 세정제가 주파수 28 kHz에서 세정 성능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희석하지 않은 원액세정제의 플럭스 및 솔더(flux and solder) 세정의 경우 배합세정제 S-1, S-2 모두 수입세정제 V보다 빠른 세정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수입세정제 V의 권장 사용농도인 25%에서는 수입 세정제 V가 배합세정제 보다 초기 세정효율이 좋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를 가지고 판단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배합세정제 S-1, S-2는 충분히 산업현장의 플럭스 및 솔더(flux and solder) 세정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대두의 세균성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acterial Diseases of Soybean)

  • 조용섭;유연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7-53
    • /
    • 1977
  • 1. 소규모접종시험을 위해서는 wire brush 접종 또는 다침접종법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포장에서의 대규모시험을 위해서는 전착제를 첨가한 세균현탁액의 살포가 좋았다. 2. 조사지역내에서의 발견된 병은 세균성 점무늬병과 세균성 불마름병 뿐이었고 담배 불마름병균에 의한 피해는 발견할 수 없었다. 3. 병원균은 이병조직속에서 겨울철인 경우 실내에서 6개월까지 생존할 수 있었고 냉장고 속에서는 10개월이상 존재했으며 토양속에서는 불마름병균이 4일, 점무늬병균이 30일간 생존하였다. 4. 종자표면에 부착된 세균은 전염원으로서 중요하지 않았으나 실험실내의 배양기 상에서는 종자의 발아를 억제했다.

  • PDF

Soybean Oil-degrading Bacterial Cultures as a Potential for Control of Green Peach Aphids (Myzus persicae)

  • Kim, Seul-Ki;Kim, Seo-Ri;Choi, Min-Seok;Park, Chang-Eon;Kim, Young-Cheol;Kim, Kil-Yong;Whang, Kyung-Sook;Oh, Kyung-Taek;Kim, In-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0호
    • /
    • pp.1700-1703
    • /
    • 2007
  • Microorganisms capable of degrading crude oil were isolated and grown in soybean oil as a sole carbon source. The microbial cultures were used to control green peach aphids in vitro. Approximately 60% mortality of aphids was observed when the cultures were applied alone onto aphids. To examine the cultures as a pesticide formulation mixture, the cultures were combined with a low dose of the insecticide imidacloprid (one-fourth dose of recommended field-application rate) and applied onto aphids. The cultures enhanced significantly the insecticidal effectiveness of imidacloprid, which was higher than imidacloprid alone applied at the low dose. The isolated microorganisms exhibited high emulsifying index values and decreased surface tension values after being grown in soybean oil media. GC/MS analyses showed that microorganisms degraded soybean oil to fatty acids. The cultures were suggested to play the roles of wetting, spreading, and sticking agent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imidacloprid.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control of aphids by using oil-degrading microbial cultures.

Investigating the Au-Cu thick layers Electrodeposition Rate with Pulsed Current by Optimization of the Operation Condition

  • Babaei, Hamid;Khosravi, Morteza;Sovizi, Mohamad Reza;Khorramie, Saeid Abedini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172-179
    • /
    • 2020
  • The impact of effective parameters on the electrodeposition rate optimization of Au-Cu alloy at high thicknesses on the silver substrate was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After ensuring the formation of gold alloy deposits with the desired and standard percentage of gold with the cartage of 18K and other standard karats that should be observed in the manufacturing of the gold and jewelry artifacts, comparing the rate of gold-copper deposition by direct and pulsed current was done. The rate of deposition with pulse curr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direct current. In this process, the duty cycle parameter was effectively optimized by the "one factor at a time" method to achieve maximum deposition rate. Particular parameters in this work were direct and pulse current densities, bath temperature, concentration of gold and cyanide ions in electrolyte, pH, agitation and wetting agent additiv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surface chemical analysis system (EDS)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 of deposition on the cross-sections of the formed lay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u-Cu alloy layer formed with concentrations of 6gr·L-1 Au, 55gr·L-1 Cu, 24 gr·L-1 KCN and 1 ml·L-1 Lauryl dimethyl amine oxide (LDAO) in the 0.6 mA·cm-2 average current density and 30% duty cycle, had 0.841 ㎛·min-1 Which was the highest deposition rate. The use of electrodeposition of pure and alloy gold thick layers as a production method can reduce the use of gold metal in the production of hallow gold artifacts, create sophisticated and unique models, and diversify production by maintaining standard karats, hardness, thickness and mechanical strength. This will not only make the process economical, it will also provide significant added value to the gold artifacts. By pulsating of currents and increasing the duty cycle means reducing the pulse off-time, and if the pulse off-time becomes too short, the electric double layer would not have sufficient growth time, and its thickness decreases. These results show the effect of pulsed current on increasing the electrodeposition rate of Au-Cu alloy confirming the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pulsed current on increasing the deposition rate of Au-Cu alloy.

MACRO-SHEAR BOND STRENGTH AND MICRO-SHEAR BOND STRENGTH OF CEROMER BONDED TO METAL ALLOY AND FIBER REINFORCED COMPOSITE

  • Park Hyung-Yoon;Cho Lee-Ra;Cho Kyung-Mo;Park Chan-Jin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54-663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According to the fracture pattern in several reports, fractures most frequently occur in the interface between the ceromer and the substructure. Purpose. The aim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compare the macro shear bond strength and microshear bond strength of a ceromer bonded to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FRC) as well as metal alloys. Material and methods. Ten of the following substructures, type II gold alloy, Co-Cr alloy, Ni-Cr alloy, and FRC (Vectris) substructures with a 12 mm in diameter, were imbedded in acrylic resin and ground with 400, and 1, 000-grit sandpaper. The metal primer and wetting agent were applied to the sandblasted bonding area of the metal specimens and the FRC specimens, respectively. The ceromer was placed onto a 6 mm diameter and 3 mm height mold in the macro-shear test and 1 mm diameter and 2 mm height mold in the micro-shear test, and then polymerized. The macro- and micro-shear bond strength were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a micro-shear tester, respectively. The macro- and micro-shear strength were analyzed with ANOVA and a post-hoc Scheffe adjustment ($\alpha$ = .05). The fracture surfaces of the crowns were then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o determine the mode of failure. Chi-square 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failure mode. Results. The macro-shear strength and the micro-shear strength differed significantly with the types of substructure (P<.001). Although the ceromer/FRC group showed the highest macroand micro-shear strength, the micro-shear strengt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se metal alloy groups. The base metal alloy substructure groups showed the lowest mean macro-shear strength. However, the gold alloy substructure group exhibited the least micro-shear strength. The micro-shear strength was higher than the macro-shear strength excluding the gold alloy substructure group. Adhesive failure was most frequent type of fracture in the ceromer specimens bonded to the gold alloys. Cohesive failure at the ceromer layer was more common in the base metals and FRC substructures. Conclusion. The Vectris substructure had higher shear strength than the other substructures. Although the shear strength of the ceromer bonded to the base metals was lower than that of the gold alloy, the micro-shear strength of the base metals were superior to that of the gold alloy.

마스크 팩 시트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Mask Sheets)

  • 장혜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87-798
    • /
    • 2017
  •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시트 타입 마스크 팩의 재질에 따른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정제수와 1.3-propanediol, 1.3-butylene glycol, Glycerine, Hyaruronic acid와 같은 수용성 성분과 Cyclomethicone, Dimethicone, Phytosqualane, Caprylic Capryl Triglyceride, Grape seed oil, Macadamia Nut oil 오일을 비롯한 다양한 오일의 흡유력을 살펴 본 결과 정제수를 제외한 모든 수용성 성분들은 점도가 커질수록 흡습능력이 커졌고 오일의 경우엔 모든 오일의 점도에 비례하여 흡유 능력이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마스크 시트의 종류는 초산 발효 바이오셀룰로오스가 수용성 습윤제나 모든 오일에 있어서 500~1,000 배 이상의 함습, 함유 능력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표면 구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5,000배 이상 확대한 사진에서 보이는 미세한 망상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망상 구조는 단면에서도 잘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함습, 함유 능력을 우수하게 하며 다량 함유된 수용성 성분과 오일은 시간 경과에 따라 배출 또한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또한 각 마스크 시트는 소재에 따라 그 특성을 보여주고 있기에 피부에 좋은 역할을 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의 제조에 기초 연구로 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