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ting agent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5초

증량제의 종류가 Polyoxyethylene Octylphenyl Ether를 포함한 토양습윤제의 상토내 잔류성, 상토의 수분보유 및 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riers on Residue of Wetting Agent Containing Polyoxyethylene Octylphenyl Ether, Initial Wetting and Water Movement in Container Media)

  • 최종명;민경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6호
    • /
    • pp.839-844
    • /
    • 2000
  • Polyoxyethylene octylphenyl ether[$C_8H_{17}O$ $(C_2H_4O)_{10}H$, POE]를 polyoxyethylene+polypropyleneoxide tridecylether(1:1, w/w, CM-1)와 혼합한 토양습윤제를 조제할 때 증량제의 종류에 따라 상토 내에서의 토양습윤제의 농도변화, 초기 습윤화, 상토 내에서의 수분이동 및 상토의 수분상실에 미치는 영향들을 조사하였다. 비석을 증량제로 조제된 POE+CM-1의 POE 잔류정도는 실험한 8주 동안 질석이 증량제로 이용된 처리보다 높았다. POE+CM-1이 혼합된 처리들은 증량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포트당 510mL의 수분을 보유하여 AquaGro 처리의 490mL나 무처리구의 410mL보다 실험한 8주 동안 더 많은 토양수를 보유하였다. 증발에 의한 수 분상실에서는 비석을 증량제로 이용한 POE+CM-1과 AquaGro 처리가 질석을 증량제로 이용한 POE+CM-1나 대조구보다 더 빠르게 건조되었다. AquaGro 혼합처리구에서 증량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POE+CM-1이 혼합된 처리들보다 상토 내에서의 수분이동이 빠르게 일어났으며, 단위시간당 상토 안으로 침투하는 수분량도 많았다. 질석을 증량제로 조제된 POE+CM-1의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상토의 보수성, 증발량, 토양수의 이동속도 및 상토 내로 침투하는 수분량이 증가되었다.

  • PDF

탄화수소계 배합세정제에서의 세정성 영향인자 연구 (Influencing Factors on Cleaning Ability in the Formulated Hydrocarbon-based Cleaning Agents)

  • 정용우;이호열;배재흠
    • 청정기술
    • /
    • 제13권2호
    • /
    • pp.143-15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플러스, 솔더, 그리스와 같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하기 위하여 글리콜 에테르계, 파라핀계 및 실록산계 물질을 배합한 탄화수소계 세정제를 제조하고 습윤지수, 아닐린점 그리고 용해도 매개변수 등의 세정성능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화수소계 세정제의 배합은 단일물질의 물성에 기초하여 제조되었다. 제조된 세정제의 습윤지수와 아닐린 점은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용해도 매개변수는 Hansen의 추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럭스, 솔더, 그리스의 오염물을 사용하여 세정제의 세정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배합 세정제의 세정성능이 플럭스, 솔더, 그리스의 오염물 세정에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오염물에 따라 세정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다르게 나타났다. 플럭스 세정에서는 플럭스($21.3MPa^{1/2}$)와 유사한 용해도 매개변수의 MC($20.3MPa^{1/2}$), DF-1($24.2MPa^{1/2}$), DF-2($21.5MPa^{1/2}$)세정제가 3분 이내에 100%의 세정효율을 보였다. 그리고 솔더 세정에서는 -$20^{\circ}C$ 이하의 아닐린점인 CFC-113, MC, 1,1,1-TCE가 높은 세정효율을 보였다. 그리스 세정에서는 그리스의 용해도 매개변수($15.0{\sim}17.0\;MPa^{1/2}$)와 가장 유사한 DG-1 세정제($16.2\;MPa^{1/2}$)와 DG-2 세정제($15.5\;MPa^{1/2}$)의 세정효율이 비교적 저조하였고 습윤지수가 크고 아닐린 점이 낮은 CFC-113과 MC가 세정효율이 우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플럭스, 솔더, 그리스의 오염물을 세정하기 위해 글리콜 에테르계, 파라핀계 및 실록산계 물질을 알맞게 배합하여 CFC-113, MC, 1,1,1-TCE와 같은 규제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탄화수소계 세정제를 개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습유지수, 아닐린점, 용해도 매개변수 등과 같은 세정성 영향을 검토하여 비수계 세정제의 세정성능을 예측하고 세정제의 배합에 적용할 수 있었다.

  • PDF

Efficacy of various cleansing techniques on dentin wettability and its influence on shear bond strength of a resin luting agent

  • Munirathinam, Dilipkumar;Mohanaj, Dhivya;Beganam, Mohammed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3호
    • /
    • pp.139-145
    • /
    • 2012
  • PURPOSE.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of resin luting agent to dentin surfaces cleansed with different agents like pumice, ultrasonic scaler with chlorhexidine gluconate, EDTA and the influence of these cleansing methods on wetting properties of the dentin by Axisymmetric drop Shape Analysis - Contact Diameter technique (ADSA-CD). MATERIALS AND METHODS. Forty coronal portions of human third molar were prepared until dentin was exposed.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and Group B. Provisional restorations made with autopolymerizing resin were luted to dentin surface with zinc oxide eugenol in Group A and with freegenol cement in Group B.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room temperature for 24 hrs and provisional cements were mechanically removed with explorer and rinsed with water and cleansed using various methods (Control-air-water spray, Pumice prophylaxis, Ultrasonic scaler with 0.2% Chlorhexidine gluconate, 17% EDTA). Contact angl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o assess wettability of various cleansing agents using the ADSA-CD technique. Bond strength of a resin luting agent bonded to the cleansed surface was assessed using Instron testing machine and the mode of failure noted. SEM was done to assess the surface cleanliness.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Tukey HSD tests (${\alpha}$=.05). RESULTS. Specimens treated with EDTA show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nd the lowest contact angle for both groups. SEM showed that EDTA wa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to remove the smear layer. Also, mode of failure seen was predominantly cohesive for both EDTA and pumice prophylaxis. CONCLUSION. EDTA was the most effective dentin cleansing agent among the compared groups.

계면활성제와 소포제가 실리콘 고무인상재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tant and Anti-foaming Agent on the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 Impression Material)

  • 김경남;조리라;오영일;강승경;정경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6권2호
    • /
    • pp.102-110
    • /
    • 2001
  • Nonylphenoxy poly(ethylene) ethanol homologues, caster oil poly(ethylene) ethanol homo-logues 및 sodium perfluoroalkyl carboxylates의 세 가지 종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고무인상재의 젖음성 향상 연구를 수행한 결과 불소 관능기가 도입된 sodium perfluoroalkyl carboxylates 계면활성제의 경우 다른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고무인상재의 초기 표면에너지 값은 유사했으나 평형상태에 이른 후의 표면에너지 값이 낮아 치아와의 젖음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소가스의 발생을 억제시키고 미세부 재현성을 높이기 위해 소포제를 사용한 결과 젖음성이 향상된 sodium perfluoroalkyl carboxylates를 포함한 조성에 소포제를 첨가할 경우 인열물성이 약 40% 이상 증가하였는데, 이는 소포제가 고무인상재 내부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수소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포제는 고무인상재의 표면특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인상재 내부에 발생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억제 혹은 제거하여 고무 인상재의 기계적물성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친환경성 석회 도료의 개발 및 특성 연구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s of Environment-friendly Lime Paint)

  • 황대주;김호성;이승관;최문관;김환;이종대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7-52
    • /
    • 2009
  • Lime paint surpassing others in execution efficiency, anti-bacterial, anti-mold and small quantity emission of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characteristics was developed using a limestone as raw materials. The lime paint prepared by mixing slaked lime($37{\sim}40\;wt%$), PVA:EVA(9 wt%:1 wt%), talc(23 wt%), $TiO_2$(14 wt%), zeolite (3 wt%), antifoaming agent(5 wt%), wetting agent (5 wt%) was indicated over 99.8% of anti-bacterial and anti-mold characteristics. Also, the environment-friendly function of the lime paint was confirmed by detection of small amount of TVOCs($0.01\;mg/m^2h$) and formaldehyde($0.008\;mg/m^2h$). Execution efficiency, economy-and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of this lime paint can make up for defects of established paints. And, it also presents the advantage of a limestone as high value added materials.

Physical Properties of Graphite Nanofiber Filled Nylon6 Composites

  • Park, Eun-Ha;Joo, Hyeok-Jong
    • Carbon letters
    • /
    • 제7권2호
    • /
    • pp.87-96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filled Nylon6 composites resin with nano-sized carbon black particle and graphite nanofibers prepared by melt extrusion method. In improving adhesions between resin and fillers, the surface of the carbon filler materials were chemically modified by thermo-oxidative treatments and followed by treatments of silane coupling agen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rate of crystallization increased with increases in filler concentration which would act as nuclei for crystallization. The silane treatments on the filler materials showed effect of reduction in crystallization temperature, possibly from enhancement in wetting property of the surface of the filler materials. Percolation transition phenomenon at which the volume resistivity was sharply decreased was observed above 9 wt% of carbon black and above 6 wt% of graphite nanofiber. The graphite nanofibers contributed to more effectively in an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carbon black did, on the other hand, the silane coupling agent negatively affected to the electrical conductivity due to the insulating property of the silane.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phenomenon, was observed as usual in other composites, that is, temperature increase results conductivity increase. The dispersity of the fillers were excellently approached by melt extrusion of co-rotational twin screw type and it could be illustrated by X-ray diffraction and SEM.

  • PDF

살균제 Propineb의 제조 공정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Preparation Condition of Fungicide Propineb)

  • 신희관;우제완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72-279
    • /
    • 2004
  • 1,2-Diaminopropane을 출발물질로 하는 원예용 살균제 propineb의 제조공정을 최적화하였다. 독성 부 반응물인 1,2-propylenethiourea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전이 촉매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product의 수율과 순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phosphonium 염계 상전이 촉매인 tetraphenylphosphonium bromide를 사용한 경우 생성물의 순도 96%, 수율 95% 및 부반응물 함량 1.7%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propineb의 현수성과 수화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AES를 수화성 계면활성제로, APS를 현수성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최적 조건은 AES $3.1\sim4.0%$, APS $4.0\sim5.0%$이었다.

BDG 농도변화에 따른 용수의 목분 침투특성 연구 (A Study for Characteristics of Water that Penetrates Wood Flour due to Changes of Concentration of BDG)

  • 공일천;박일규;임경범;이동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74-79
    • /
    • 2013
  • As the feature of fire, it is hard for deep-seated fire to spread to the deeper site, and it also has danger for being re-ignited cause of recontacting with oxygen after being put off. Now it is ruled in the certification criteria of wetting agent used for extinguishing deep-seated fire that the criteria for surface tension is below 33[mN/m] in Korea. For figuring out how much water for fire-fighiting can permeate into combustibles, in this research, the permeating performance is analyzed by measuring the speed of permeating and transmission quantity released after that, by pouring solution whose surface tension is changed by adjusting concentration of surfactant BDG(Butyl Di Glycol) in column From this result, it is can be determined that transmission quantity becomes less and wet area goes wider as surface tension is lower, and it is also able to be analyzed as quantity of absorbed liquid and wet area is increased because fluid permeates into the core.

감온 Microcapsule염료를 이용한 Laminated Split Leather Film 공정 연구 (A Study of laminated split leather Process using Thermally Sensitive Color-change(Microcapsule))

  • 이상헌;이상철;신은철;김원주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100-100
    • /
    • 2012
  • 상품성이 떨어지는 B, C급의 Split leather에 감온 기능성 Film을 부착하고, Film 부착 공정에서 유성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한 친환경적인 고급 Laminated split leather를 제조 하였다.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감온 Microcapsule 염료를 이용한 Film의 색도, Touch감과 신장 등의 최적조건을 찾는 실험으로서 수성 PU 접착제, Wetting&levelling agent, 증점제, 감온 microcapsule 염료를 상온에서 혼합하여 Film을 제조한 다음 수성 PU 접착제와 Urethane용 경화제를 혼합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가죽에 부착시켰다. 감온 microcapsule자체의 색도가 떨어지므로 두 번 코팅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점을 보완 하였으며, 감온 microcapsule 염료의 함량에 따른 물성 평가를 하였고, 감온 microcapsule 염료를 이용한 Film 공정을 확립 하였다.

  • PDF

가교시간에 따른 고분자 재료의 트래킹성과 자외선 열화특성 (Tracking Resistance and UV Degradation Property of Polymeric Insulating Materials by Cross-Link Time)

  • 천종욱;이운용;조한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7-450
    • /
    • 2002
  • Recently polymeric insulators and arresters are being used for outdoor high voltage applications. Polymeric insulators for transmission line have significant advantages over porcelain and glass insulators, especially for ultra-high voltage(UHV) transmission lines. Their advantages are light weight, vandalism resistance and hydrophobicity. Polymeric insulator kind are a relatively new technology, but their expected life is still unknown. In this paper, the material property for polymer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and EPBM is investigated by cross-link time and the relation between tracking resistance and W resistance is analyzed by IEC 60587 and W aging experi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