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plant typ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3초

산림습원 가치평가 요소와 유형 및 등급의 상관성 분석을 통한 산림습원 유형 구분 및 등급의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ypes and Grades of Forest Wetlan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Forest Wetland Evaluation Factors and Types)

  • 이종원;윤호근;이규송;안종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71-501
    • /
    • 2022
  • 본 연구는 산림습원의 가치평가 및 등급화로 인벤토리가 구축된 산림습원 455개소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산림습원 가치평가 항목인 식생 및 경관,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인문·사회경관 및 교란정도 4가지 카테고리의 23개 평가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가치평가의 개선을 통하여 향후 산림습원 보전 및 복원에 필요한 기준안을 마련하여 보전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고, 체계적인 모티터링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산림습원 유형 구분과 규모와 접근성은 양적 상관을 보였으나, 나머지 항목은 음의 상관이나 상관성이 없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산림습원 등급과는 음의 상관이나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중치가 부여된 4가지 상위 카테고리 요소와 아주 큰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가치평가 항목의 평가 기준치를 조정하거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항목을 추가하거나 가중치에 대한 오류가 있는 것으로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산림습원의 경우 생물다양성으로 인한 생태계서비스 기능이 가장 크므로 이를 고려하여 평가항목을 개선해야 한다. 따라서 고유성·희소성(15%), 야생동물서식지(15%), 식생 및 경관(35%),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30%) 그리고 인문·사회경관(5%) 5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해볼 수 있고,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가중치를 제안하는 바이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al Types and Biodiversity in the Sites of Geumgang Riparian Ecological Belts

  • Kang, Hyun-Ky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3-30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and the ecological items in five sites with a high level of artificial use intensity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Geumgang River riparian ecological belts. Methods: The sites were classified into forest type, cultivated land type and urbanized type in accordance with their respective locational types. Ecological items including plant ecology such as proportion, naturalization index and urbanization index of native species were analyzed and animal ecology such as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of wild birds, amphibians and reptiles, mammals, and butterflies and dragonflies, which are indicator insec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wild birds, butterflies and dragonflies found in all the subject lands were computed. Results: Among the plant ecological items, the ratio of native species in the forest type was higher than 90%, which was a satisfactory level, while the naturalization and urbanization indices were less than 10%.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anim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was reduced in the order of forest type, cultivated land type and urbanized type. A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the internal area of the planted area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otal of individuals. The area of grassland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dragonfly species and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thereby illustrating that wet grasslands have positive effects. The area of surrounding forests, as an external environ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urbanization index (UI) but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habitation of butterflies and the total number of species.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ed the need for more diversified special compositions including planted land, grassland, wetland, bodies of water and waterways within the subject land in the wetland ecological belt along with the need for surrounding forest location and preser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urchase and restoration of land for enhancement of wider biodiversity in the future.

대구지역 공.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Forested Wetland at Public and Private Forests in Daegu City)

  • 정혜란;김현지;최경;박광우;강동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69-84
    • /
    • 2012
  • 본 연구는 대구지역 공 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존가치가 있는 산림습원의 발굴 및 보전, 향후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FGIS를 이용하여 예상 지점을 도출하고, 산림습원의 보호를 위한 완충구역을 설정하였다. 산림습원으로 판별된 11개 지점을 층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63과 131속 148종 2아종 14변종 5품종으로 총 169분류군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산림습원의 종다양도는 관목층에서 1.5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균재도는 관목층에서 0.913로 가장 균일한 상태를 나타냈으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모두 0.3이하로 나타나 한 종이 우점하지 않고 층위별로 다수의 종이 공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완충구역은 습지의 종류, 지형 등을 고려하여 핵심지역 경계부로부터 20~50m로 설정하였다.

소규모 인공습지에서 습지형태에 따른 양이온 제거 효율의 변이 (Removal Efficiencies of Cations in Microcosm-scale Wetlands of Different types)

  • 강호정;송근예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권1호
    • /
    • pp.25-28
    • /
    • 2014
  • 습지를 건설하여 수질 개선의 목적으로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인공습지의 대표적인 형태인 연못형(Pond-type)과 소택지형 (Marsh-type)에서 제거되는 양이온의 처리 효율을 비교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코즘 규모로 건설된 인공습지에서 제거되는 양이온들의 처리 효율을 습지 형태 및 이온 별로 비교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양이온 중 $NH_4{^+}$, $K^+$, $Mg^{2+}$등은 높은 처리 효율을 보였고, 이는 습지의 식물에 의한 흡수, 토양 흡착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연못형 습지의 경우 오히려 $Ca^{2+}$의 방출이 관찰되었으나 그 정확한 기작은 파악할 수 없었다.

Analysis of Plant Species Community within Upland Wetlands at Mt. Ilgwang

  • Huh, Man-Ky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27-434
    • /
    • 2011
  •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full range of vegetation in a upland wetland (marshland) in Korea. Classified community types were used to describe vegetation at the marshland and adjacent areas. The communities contained 44 species of vascular plants and all species were identified into four plant community types. The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type and Lespedeza cyrtobotrya type had a high representation infacultative upland species (FU) and obligate upland species (OU), respectively. The monocot type was dominant in marshland by Miscanthuns saccharifloruc and contained 14 species. Together the three areas contained four species, with the strongest indicator species being Ranunculus acris var. nipponicus,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Hemerocallis fulva, and Miscanthuns sinensis var. purpurascens. Shannon-Weaver index of diversity also varied among the community types (F = 18.9, df = 2), with the types FU having significantly higher value (3.467) than the others (1.125 for type FW and 1.239 for type OU).

이산화탄소 증가가 습지토양의 탈질세균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levated $CO_2$ on Denitrifying Bacterial Community in a Wetland Soil)

  • 이승훈;김선영;강호정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4-247
    • /
    • 2004
  •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가 습지토양의 탈질세균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자연농도 (370 ppm)와 고농도 (740 ppm)의 이산화탄소조건의 습지생태계를 조성하여 110일 이상 배양한 후 토양 내 미생물 군집구조의 변화양상을 관찰하였다. 미생물 군집군조 분석은 탈질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중하나인 nitrite reductase의 유전자인 nirS 유전자를 대상으로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PCR 결과 모든 토양시료에서 nirS 유전자가 검출되었고, RFLP분석을 통해 자연농도의 이산화탄소조건에서 83개, 고농도 조건에서 95개의 phylotype을 획득하여 조성된 습지토양에서 탈질과정이 광범위하게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경우 모두 두 종류 (type 1과 type 2)의 phylotype의 우점하고 있었고, 고농도 조건의 탈질세균 군집의 풍부도가 저농도 조건에 비해 더 높고, phylotype의 종류가 현저하게 변화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습지토양의 탈질세균 군집이 매우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있고, 이산화탄소의 증가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상당히 안정적인 우점 개체군이 존재하고 있는 반면, 전체 phylotype의 약 60%는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함을 보여주었다.

GIS를 활용한 하구의 습지추정 및 변화추이 분석에 관한 연구 (Using GIS to Estimate Estuarine Wetlands in Three Major Estuaries and to Quantify Wetland Changes over the Last Century)

  • 노백호;이창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31
    • /
    • 2007
  • 하구습지는 육지생태계와 해양생태계가 만나는 전이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생태계에 비해 겨울철새를 비롯한 많은 생물종이 도래 서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하구습지에 대한 공간적 분포나 시간에 따른 하구습지 변동추이를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한강, 섬진강, 가화천의 하구습지를 파악하였으며, 이때 구한말 이후 일관되게 제작되는 국가기본지형도를 이용함으로서 표준화된 방법으로 하구습지의 시대별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특히 1910년대 제작된 고지형도와 1970년대, 그리고 2000년대에 제작된 지형도를 획득하여, 하구 내 갯벌, 습지, 모래에 대한 공간분포와 하구별 하구습지의 훼손실태를 파악하였다. 한강 및 영산강 하구와 같이 대하천 하구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습지면 적이 감소되었으나, 감소율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하구둑 건설과 영산강유역종합개발계획 등 각종 개발사업이 이루어진 영산강의 하구습지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한강 하구도 남북긴장 완화와 접경지역 개발지원에 따라 습지훼손이 심화되고 있다. 반면 하구둑이나 주변 개발사업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가화천은 하구습지의 훼손이 낮은 상태인데, 아직도 1910년대와 비슷한 형태의 갯벌과 갯골을 간직하고 있다.

  • PDF

장도의 식생 (Vegetation of Jangdo Island)

  • 최병기;김종원;김성열;임정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2-527
    • /
    • 2012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서단(西端)에 위치하는 장도(면적 $1.54km^2$)는 고층습원의 발달과 국가적 생물다양성 중점지역(hotspot)으로 주목받고 있는 생태지역(ecoregion)이다. 본 연구는 장도에 발달하고 있는 식물군락의 다양성을 규명하고, 보전생태학적 식생관리전략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장도 식생은 10개 상관형(physiognomic types)에 총 22개 단위식생(syntaxa: 3개 군집, 15개 군락, 4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현존 습지식생(actual wetland vegetation)은 갈대군강(Phragmitetea)과 벼군강(Orizetea)에 귀속되는 비교적 낮은 자연도(naturalness)의 식물군락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고층습원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의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가운데 구실잣밤나무-가는쇠고사리군집은 장도가 새로운 최북단 분포지(northernmost distribution sit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 및 국가 특산식생형(regional and nation-wide endemic vegetation type)으로 소사나무-흑산비비추군락을 특기하였으며, 토지적 지역식생형(regional edaphic vegetation type)으로 해안 절벽에서 섬향나무-밀사초군락이 기재되었다. 장도는 험준한 섬 지형에도 불구하고 집약적인 인간간섭(방목, 벌채, 산불, 개간 등)이 대부분의 식생형에서 종조성으로부터 밝혀졌다. 그러나 장도는 난온대 속에서의 높은 무상일수와 연평균 최대 안개 일수를 가지고 있는 지역생물기후 특성, 차별침식에 의하여 형성된 함몰 분지에서의 대수층 발달과 같은 토지적 수리수문체계를 반영하는 독특한 식생자원이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장도습지는 보전생태학적 관점에서 그 존재의 가치가 지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장도습지는 습지 지표면의 근본적인 수리수문 체계의 변질을 야기하는 인간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이에 대한 즉각적인 습지생태계관리 매뉴얼 구축이 요구되었다.

옥상녹화 식재기법에 따른 식생변화 - 이입식물을 중심으로 - (Rooftop Planting Methods and Invading Species)

  • 최희선;안동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5-47
    • /
    • 2004
  • In order to study changes in vegetation pursuant to rooftop revegetation plantation methods, plantation methods for rooftop revegetation were divided into two types through an analysis of recent trends. Then, Planted plants and invasive plants on sites where the planting methods were introduced were monitored. Planting methods were divided into mono-layer meadow cover type and multi-layer planting cover type. They showed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availability of wetland, the structure of vegetation layers, the planted species, and the material of mulch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onitoring the two sample sites for different plantation methods, the number of invasive plants was higher in multi-layer planting cover type and the ratio of naturalized plants was higher by 30% in average in mono-layer meadow cover type. The main reason for such a result is that the natural soil used in the multi-layer planting cover type likely contained some seeds. Moreover, it's harder for invasive plant seeds to germinate in volcanic rocks than in natural soil. Also, it is attributable to wetlands available in multi-layer planting cover type and diverse living environments created by multi-layer planting. The reason of the ratio of naturalized plants being higher by at least 10% in mono-layer meadow cover type is the character of naturalized plants being stronger in unfavorable conditions than nature plants are. Accordingly, the germination rate in the volcanic rock mulching has likely contributed in raising the introduction and germination of naturalized plants. The results showed that multi-layer planting cover type using wetland creation and nature soil can increase the number of invasive plants and lower the ratio of naturalized plants. However, since seeds contained in the natural soil can affect the growth of planted plants, this needs to be clarified, It was judged that mono-layer meadow cover type may affect more greatly on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invasive plants than on those of planted plants, Its potential adoption in highly urbanized areas was examined. By complementing with the mutual benefits of each plantation method, it appeared possible to shift to a rooftop revegetation system suitable to the site.

전남 동부지역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A Study on the Flora of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the Eastern Part of Jeonnam Province)

  • 이종원;안종빈;강신호;윤호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4-167
    • /
    • 2022
  • 본 연구는 전남동부지역에 위치한 우량산림습원을 대상으로 산림습원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기 위하여 식물상 및 식생 등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진행은 2020년 5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계절별로 각 1~2회씩 총 54회에 걸쳐실시하였다. 전남동부지역 우량산림습원의 관속식물은 93과 251속 336종 5아종 47변종 7품종 총 39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641종의 약 8.5%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에 출현한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과 벌개미취 등 6과 6속 7종 1변종 총 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한반도 특산식물 328분류군의 2.43%가 출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0과 12속 10종 1아종 1변종 총 1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멸종위기종(CR)은 해오라비난초 및 자주땅귀개 등이 관찰되었다. 위기종(EN)은 복사앵도나무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석회암지대에 주로 분포하는 종이기 때문에 식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취약종(VU)은 방울새란과 끈끈이주걱이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약관심종(LC)과 자료부족종(DD)는 이삭귀개, 뻐꾹나리 및 벗풀이 관찰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총 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V등급은 해오라비난초 및 자주땅귀개 등 4분류군으로 파악되었고, IV등급은 산황나무 및 가는잎개고사리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II등급은 천선과나무 및 좀작살나무 등 15분류이 나타났고, II등급은 꼬리조팝나무 및 닭의난초 등이 관찰되었다. I등급은 개미탑과 말오줌때 등 총 3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남동부지역 산림습원 내 침입외래식물은 주홍서나물, 개망초, 달맞이꽃 등 총 19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Naturalized Index)은 4.83%, 도시화지수(Urbanized Index)는 5.90%로 조사되었다. 전남동부지역 우량산림습원의 습지유형 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남 동부지역 산림습원은 절대육상식물이 61.4%로 가장 높게 도출되었고, 미분류 습지식물 19.1%, 임의습지식물 8.2%, 절대습지식물 4.6%, 임의육상식물 4.5%, 양생식물 2.3% 순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