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lness index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9초

피부건강 웰니스 프로그램이 웰니스지수 및 피부건강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kin Anti-Aging Wellness Program on Factors Related to Wellness Index and Skin Health)

  • 김현준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23-230
    • /
    • 2019
  • Purpose : Wellness tourism is defined as travel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health and well-being through physical, psychological, or spiritual activities.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comprehensive wellness program for health care for worker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llness and skin health effects of skin health programs in order to develop high-value health care servic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15 middle-aged women who understood the research and volunteered and participated in the two-day skin health wellness program. Participants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ir wellness index and skin health twic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llness index measures include comprehensive wellness, physical wellness, mental wellness, emotional wellness, social/cultural wellness, financial wellness, and environmental wellness. Skin health measurement items consisted of skin oil, skin water, skin pore, skin elasticity, skin wrinkle, and skin pigment. The skin wellness program included aerobic exercise, endurance exercise, functional food, cosmetics, herbal tea, massages, spa treatments, meditation, and marine leisure sports. The t-test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wellness index and skin health measurement item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 Among the wellness index items, the comprehensive wellness index (p<.05), mental wellness index (p<.05) and environmental wellness index (p<.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kin health items, skin oil (p<.05), skin elasticity (p<.01) and skin wrinkle (p<.01)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wellness, emotional wellness, social/cultural wellness, financial wellness, skin water, skin pore and skin pigment.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wo-day complex wellness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for some items of wellness index and skin health.

근로자를 위한 웰니스지표 개발 (Development of a Wellness Index for Workers)

  • 최문종;손창식;김진수;하영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9-7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ellness index for workers (WIW) and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WIW for assessing workers' wellness. Methods: The developmental process for the instrument include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a wellness model, generation of initial items,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preliminary study, extraction of final items, and psychometric testing.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4 experts from occupational health nursing and wellness disciplines. The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xamin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was examined with Cronbach's alpha. The participants were 494 workers from two workplaces. Results: Eighteen 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scale, and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five-factor model of wellness with acceptable model fit, and factors named as physical emotional social intellectual occupational wellness.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lso supported.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9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WIW i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comprehensively assess workers' wellness, and to provide basic directions for developing workplace wellness program.

한국형 웰니스 인덱스 원안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Korean Prototype of Wellness Index)

  • 이인숙;방경숙;김성재;이준아;조주현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84-9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Korean Prototype of Wellness Index (KP-WI)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health characteristics and wellness. Methods: The Wellness Index (WI) was translated into the primitive version of the KP-WI, considering the Koreans' culture and health behavior. It was administered to 223 service industrial employees at one workplace along with th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and Stress Questionnaire-Short Form. Data analyses included item-total correl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The primitive version was modified to KP-WI based on the item-total correlation. The items considered to lower the reliability of the KP-WI were eliminated. Cronbach's ${\alpha}$ for each subscale ranged from .857 to .939. Perceived stress and negative emotion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wellness measured by KP-WI (r=-.29, p<.001; r=-.27, p<.001). Positive emotion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wellness (r=.60, p<.001).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wellness indexes by developing a prototype and exploring the factors related to wellness.

웰니스 구성요소에 대한 융복합적 검증 웰니스 구성요소가 웰니스 상태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Wellness Components on Individuals' Wellness Status for Wellness Convergence Systems)

  • 최문종;이동하;강원석;하영미;김상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381-391
    • /
    • 2015
  • 현대사회에서 개인들은 건강에 대한 내적 생각을 수동적 형태에서 역동적, 적극적 상태로 생각의 전황을 이루고 있다. 이에 웰니스(wellness)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웰니스에 대한 연구는 개인의 웰니스 상태를 측정하는 지수(index)개발 정도로 한정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웰니스의 주요 구성요소인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직업적 웰니스가 직장인들의 웰니스 상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총 494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로 Partial Least Square(PLS)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5가지 웰니스 구성요소 모두 웰니스 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웰니스 융복합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LED 융합기술을 활용한 헬스테라피 제공 웰니스 감성공간 서비스 (Converging Ubiquitous Computing and LED Technologies for Wellness Emotional Space Service Providing Health Therapies)

  • 심재문;이희정;권오병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sup호
    • /
    • pp.123-138
    • /
    • 2012
  • Healthcare and wellness industries have become more promising as the interests on healthy living increase. Not only the medical care oriented services for the patients done by medical centers but also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healthgiving services for the people who are normal have been being stresse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healthgiving services should be executed in an agile and timely manner to maximize its effects. This paper aims to propose an emotion healing service spaces which are able to provide the normal people with psychological care services. To achieve the goals, we invented the tripot approach : the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for context-aware and intelligent estimation of psychological index, LED technology to implement emotional atmosphere and wellness healthcare technology. The proposed architecture has been implemented in an actual site.

안드로이드 기반 휘트니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 설계 (A Study on the Data Sharing Mechanism Design in Android-Based Fitness System)

  • 강희범;장재명;이종원;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4-616
    • /
    • 2015
  • 현재 U-Healthcare는 헬스, 치료중심의 건강관리 개념에서 향후 예방중심의 Wellness로 전문화 되고 있다. 그 중 Wellness는 U-Healthcare의 핵심 분야로 발전됨에 따라 휘트니스 시스템 분야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휘트니스 시스템에서는 트레이너와 사용자 간의 1:1 상담만이 가능했고, 트레이너의 수가 제한되어, 특정 시간대에 코칭을 받을 수 있는 사용자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개인이 받을 수 있는 코칭 시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휘트니스 시스템에서의 사용자의 BMI(Body Mass Index) 지수를 DB 테이블의 필드 값으로 그룹화 하여 관리하고, 트레이너가 BMI 지수가 상이한 다수의 사용자를 효율적으로 코칭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설계하고자 한다.

  • PDF

u-웰리스 환경을 위한 건강관리 전문가 키오스크 시스템 (A Health Management Expert Kiosk System for u-Wellness Environment)

  • 여현진;최학원;임광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451-453
    • /
    • 2014
  • 본 논문은 공용부 기반 건강관리 Kiosk 개발을 통한 생체정보 및 건강 설문을 수집하여 Wellness Index 및 Expert 판정시스템을 통해 건강상태를 판정하고, 판정결과를 바탕을 개인 맞춤형 운동 및 영양정보 등을 추천하는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시스템은 바이오 생체정보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건강 설문모델 및 Framework 과 Expert 판정 모델 및 Framework을 키오스크 시스템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건강관련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 PDF

셀프 라이프코칭 앱(App) 개발을 위한 앱의 웰니스 증진 효과에 대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Wellness-Enhancing Effect of an App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lf-Life Coaching App)

  • 김광용;김종완
    • 감성과학
    • /
    • 제26권4호
    • /
    • pp.15-28
    • /
    • 2023
  • 행복은 개인들이 추구하는 삶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행복 증진을 위해서 개인들이 스스로 자신의 웰니스를 점검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셀프 라이프코칭 앱의 웰니스 증진 효과에 대한 예비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총 36명의 참여자를 실험집단(1·2)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정하고, 실험집단에는 연구용 앱을 활용해 4주간 셀프 라이프코칭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실험처치 중 주간 피드백을 실험집단1에는 제공하고, 실험집단2에는 제공하지 않았다. 종속변인으로 노동자를 위한 웰니스 지수(WIW)와 한국형 웰니스 척도(KWS)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사전, 사후, 추후의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효과의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주간 피드백 유무에 따른 실험처치 효과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시간에 따른 웰니스 증진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실험처치가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가 선형적임을 확인하였다. 참여의견 조사 결과, 참여자의 84.2%가 이번 활동이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78.9%가 상용화된 앱이 있다면 1주 또는 2주에 한번 사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누구나 스스로 자신의 웰니스 증진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그 효과를 일정 부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형 웰니스 척도(KWS)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Wellness Scale)

  • 최경화;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2호
    • /
    • pp.127-170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삶의 중요 영역에서의 웰니스(wellness) 추구 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웰니스 척도개발을 위하여 문헌 검토, 전문가 인터뷰, 심층 인터뷰, 개방형 설문 1, 2차를 거쳐서 도출된 31개 요인, 182문항은 최종 10개 요인, 99문항으로 선정하였다. 한국의 일반 성인 351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 결과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10개 요인 58문항을 도출하였고, 각 요인에서 중요한 개념을 반영한 문항들을 일부 수정해서 10개 요인 63문항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66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본조사에서는 본 검사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체 표집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고, 또 다른 집단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10개 요인(일, 공동체, 가족, 타인, 경제력, 자아존중, 여가, 신체 건강, 영성, 자기 성장) 63문항을 도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모형적합도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도출된 웰니스 척도와 그 하위요인들이 실제로 웰니스를 측정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신적 웰빙 척도(K-MHC-SF)와 웰니스 지표(Wellness Index for Workers)를 사용하여 수렴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준거 관련 타당도 검증을 위해 주관적 행복감(Subjective Happiness Scale)과 삶의 만족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변인과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각 경로에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웰니스 척도의 '자아존중' 은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감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과정과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의의,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유방암 여성 환자의 림프부종에 대한 림프배액맛사지의 효과 (Effects of Decongestive Lymphatic Therapy for Lymphoedema in Women With Breast Cancer)

  • 오수연;김현아;정광조;김정선;조종관;유화승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4
    • /
    • 2007
  • Objective: We have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effects of lymphatic massage on lymphoedema in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 The patient who has in condition of lymphoedema after the breast cancer therapy is taken massages with aroma oil for 5 days. We measured the upper arm circumference and edema index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We also measure the edema index of normal arm to compare with the abnormal one. Results: We gave 4 patients the decongestive lymphatic therapy and now present the positive conclusion. 3cases of the 4 showed decrease of circumferences and edema index. It means that the edematous condition getting better during these therapy. Conclusion: Lymphatic massage with aroma therapy may have effectiveness on lymphoedema in breast cancer patients. but further advanced clinical trials are nee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