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state

검색결과 635건 처리시간 0.025초

복지국가의 사회복지비 지출 변화$(1982{\sim}1992)$에 관한 실증적 연구 : Fuller-Battese Model을 이용한 분석 (A Study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s$(1982{\sim}1992)$ of Welfare States : An Analysis Using Fuller-Battese Model)

  • 강철희;김교성;김영범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2권
    • /
    • pp.7-40
    • /
    • 2000
  •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1982{\sim}1992)$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s of 12 welfare states. This paper focuses on two questions. First, to what extent have there been changes in social welfare expenditure (total social welfare expenditures, income support expenditures, social service expenditures) of 12 welfare states? Second, what are the causes of the changes in social welfare expenditures? Using Comparative Welfare States Data Set by Stephens(1997) an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by OECD (1999),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wo questions. Fuller-Battese model, a data analysis method in pooled cross-sectional time-series analysis, is adopted to identify variables predicting social welfare expenditure changes. This paper analyzes the predictors separately according to the types of welfare states by Esping-Andersen (1990). Predictors are different by the types of welfare states; thus, economic variables such as GDP and financial deficiency have effec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s of Liberal and Corporatist welfare states. while they have no effects in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s. Political variables has effec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s of Corporatist welfare states, not of Liberal and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s. Demographic variables has effec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s of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s rather than Liberal and Corporatist welfare states. This paper provides an additional knowledge about social welfare expenditure changes of 12 welfare states and discusse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 in Korea.

  • PDF

민주화 이후 정치행위자들의 의료민영화 및 의료공공성 관련 정치적 행위 분석 (Analysis of political conducts of the political players on privitization of healthcare service and public healthcare service after the democratization)

  • 이수연;손승혜;이귀옥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1호
    • /
    • pp.291-315
    • /
    • 2016
  • 본 논문은 민주화 이후 정치행위자들의 의료민영화 및 의료공공성 관련 정치적 행위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3년부터 2012년까지 주요 일간신문을 활용하여 내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민주화 이후에도 정당이 국민의 요구를 수렴하여 주도적으로 정책을 결정해 나가지 못하였으며 정당은 보수적인 성향이 강하였고 일관된 정책적 이념지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민주화 이후 공공의료 이슈에서 시민운동의 역할이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역할에 비해서는 작았다. 시민대중운동의 공공의료 발전에 대한 기여도가 대통령과 경제부처의 민영화에 대한 영향력을 상쇄할 정도는 아니었다. 셋째, 민주화 이후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 모두에서 공공의료 발전과 민영화가 함께 진행되었다. 민주화 이후 복지국가의 성격이 질적으로 변화했다고 보기 어려우나 정권별 대통령의 이념성향, 복지부의 역량, 민영화 주도 부처의 종류의 차이에 따라 복지국가 발전 정도가 달랐다.

국가-시민사회 복지파트너십에서 시민사회단체의 역할 : 세 가지 이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Retheorising Civil Society in State-Civil Society Partnership in Welfare : A Critical Review of the Partnership Literature)

  • 김수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1호
    • /
    • pp.267-302
    • /
    • 2013
  • 최근 들어,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집행하는 데 있어서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협업을 표방하는 파트너십이 전세계적인 추세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제 3섹터, 비영리단체, NGO로 불리는 시민사회단체는 국가의 경직성과 시장의 이윤추구가 갖는 한계를 넘어 공공서비스를 전달하기에 가장 적합한 행위자로 주목받고 있다. 이 같은 시민사회의 공공정책 주류화 현상은 기존의 시민사회 개념에 대한 재정립을 요구한다. 근대사회에서 시민사회단체는 국가와 시장에 대한 비판기능을 수행하는 자발적 결사체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시민사회의 독자성와 자율성을 지향하는 전통 시민사회 이론은 탈경계, 혼종성, 상호의존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다원주의 시대의 시민사회를 설명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가-시민사회 파트너십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규범적 전망 제시나 개별 사례연구에 머물러 있고, 파트너십 체계에서 시민사회의 위치를 종합적으로 이론화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민관파트너십 시대에 시민사회의 역할에 이론화를 시도했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논문은 시민사회 고전이론을 (1) 토크빌 중심의 기능주의/자유주의적 전통(견제와 균형자로서의 시민사회), (2) 맑스, 알튀세르, 푸코를 필두로 한 갈등주의/(후기)구조주의적 전통(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로서의 시민사회), (3) 그람시, 하버마스에서 출발한 갈등주의/비판이론적 전통(헤게모니 투쟁의 장으로서의 시민사회)으로 나누고, 각 전통의 특성과 공통점을 일별했다. 이어서 본 연구는 본격적으로 국가-시민사회 복지파트너십 관련 동서양의 문헌과 논쟁들을 포괄적으로 검토하면서, 파트너십에서 시민사회의 위치와 정체성을 해석하는 시각을 다음 세 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주류적 관점(민주적 파트너로서의 시민사회); (2) 비판적 관점(그림자 정부로서의 시민사회); (3) 대안적 관점(지속적 미시저항의 장으로서의 시민사회)이 그것이다. 또한 각 관점의 대표학자와 주요개념, 한계와 특성을 분석하고, 위 이론적 관점과 시민사회 고전이론 사이의 연결점을 짚어보았다. 이와 같은 복지파트너십 문헌들의 이론화 작업을 통해 향후 민관파트너십의 정치역학을 관찰하고자 하는 후속연구들에 참고가 될 만한 분석틀을 제공하고자 했다.

농촌지역 노인 복지시설의 현황과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State and the Utilization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rural area)

  • 최삼배;이동숙;윤충열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22-31
    • /
    • 2003
  • The project to improve the structure of village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ince 1960's. Also, with the rural exodus and the aged population in a rural area during the rapid change of social structure in our country, the old people's problem in a rural area became a problem beyond the welfare of the old age. Moreover, as the role of old people who established their position as the subject of social & economic activities in a rural area gradually increases, an attention to problems related on old people also increases. Especially, the leisure life of old people can be an important factor on the type of leisure life of old people in a cultural village and the demands for facilities for old people by studying the present situation of facilities for old people and the actual situation of their use in a welfare center.

  • PDF

Political Economy of Immigration and Fiscal Sustainability

  • HUR, JINWOO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4권1호
    • /
    • pp.1-47
    • /
    • 2022
  • This paper introduces a politico-economic model with a welfare state and immigration. In this model, policies on taxes and immigration are determined through a plurality voting system. While many studies of fiscal implications of immigration argue that relaxing immigration policies can substitute for tax reforms in an aging economy, I show that the democratic voting procedure can dampen the effect of relaxing immigration policies as desired policy reforms are not always implemented by the winner of an election. This political economy results in three types of social welfare losses. First, the skill composition is not balanced at a socially efficient level because workers are motivated to maximize their wages. Second, older retirees implement excessive taxes to maximize the size of the welfare state. Third, the volume of immigration is lower than the optimal level given the incentive by young workers to regain political power in the future.

The Effects of Watching a Virtual Reality (VR) Forest Video on Stress Reduction in Adults

  • Hong, Sungjun;Joung, Dawou;Lee, Jeongdo;Kim, Da-Young;Kim, Soojin;Park, Bum-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09-319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tching a virtual reality (VR) forest video on stress reduction in adults.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n artificial climate chamber where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tion were controlled. To cause stress in subjects, the subjects were asked to multiply two digit numbers by one digit numbers for two minutes. The subjects then watched a VR forest video for five minutes. During the experiment,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heart rate (HR) of subjects were continuously measured for evaluating their physiological state. After measuring the baseline and watching a VR forest video, their psychological state was evaluated using the profile of mood state (POMS),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 an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The results of physiological evaluation after watching a VR forest video showed a decrease in the stress index and HR, an increase in the activity of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normal to normal RR intervals (SDNN).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assessment confirmed that watching a VR forest video induced "comfort", "natural", and "soothed" feelings in subjects. In addition, watching a VR forest video decreased "tension-anxiety (T-A)", "depression-dejection (D)", "anger-hostility (A-H)", "fatigue (F)", "total mood disturbance (TMD)", and increased "vigor (V)" compared to the base line, and decreased "negative affect" and increased "positive a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atching a VR forest video decreases adults' stress index, stabilizes physiological state,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sta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providing forest welfare services to people in the blind spots of forest welfare, and can lay a foundation for the adoption of VR, one of th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forestry.

보편주의 복지정책에 관한 헌법 가치적 고찰 (A Study on the Universal Welfare Polices in terms of Constitutional Value Order)

  • 양석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79-87
    • /
    • 2014
  • 복지정책에 있어서 그 수혜자의 범위를 어떻게 정할 것인지의 문제 즉 보편주의와 선별주의의 문제는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오고 있는 쟁점사안이다. 이러한 논의는 복지정책을 국가가 정책으로 채택하면 당연히 정당성과 합법성을 갖는 입법재량 또는 정책재량의 문제로만 보았기에 주로 정치적 또는 정책적 선택의 대상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복지의 문제는 헌법의 사회국가이념에 근거하는 헌법 가치적 문제라는 점에서 이에 기초한 논의가 필요함에 틀림없다. 이에 본 논문은 헌법 상 사회국가이념에 기초하여 복지정책의 방향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선별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보편주의를 예외적으로 가미하는 선별적 보편주의를 채택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나아가 구체적으로 사회국가의 본질인 개인의 실질적 자율성 보장과 사회개선이라는 두 가지 기준을 선별주의 또는 보편주의 복지정책을 선택하기 위한 구별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즉 모든 개인에게 개성에 부합하는 자율적 생활이 가능한 상태를 보장하기 위한 일에는 선별주의가 채택되어야 하며, 정의로운 사회질서를 형성하기 위해 사회전체를 개선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경우에는 재정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보편주의 또는 선별주의를 채택할 수 있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The Current State and Determinants of Korean Baby-Boomers' Welfare Consciousness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93-200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 of variables influencing Korean baby-boomers' welfare consciousnes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8^{th}$ supplementary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in 2013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2,035 people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5 whose welfare panel data did not have missing values for the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when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ajor variables were analyzed, those showing a relatively high mean scor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baby-boomers' welfare consciousness were 'expansion of expenditure for public assistance' (mean 3.65, SD .557), 'expansion of expenditure for social insurance' (mean 3.53, SD .646), and 'expansion of expenditure for social services' (mean 3.26, SD .424). The mean score of the baby-boomers' overall welfare consciousness was relatively high as 3.45 (SD .428), advocating the expansion of welfare expenditure.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the baby-boomers' welfare 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explanatory power of 12.9%. I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variable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were gender (B=.100, t=2.573, p<.01), personal responsibility for poverty (B=-.151, t=-3.635, p<.01), social responsibility for poverty (B=.149, t=3.437, p<.001), and recipient's laziness (B=.251, t=6.578, p<.001). Based 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major relevant policies.

광주광역시 도심 외 지역 저소득층 주거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sidential State and Improvement of Low-Income Brackets in the Outside of Gwang-ju)

  • 최우람;한석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8
    • /
    • 2013
  • The housing policy of Korea has been pushed with a focus on the middle-class. This contributed to alleviate the absolute lack problem of housing, but this program for the housing policy of low-income brackets is also true as insufficient attention. Thanks to Bulk supply-oriented housing policy, the rising penetration of housing and living conditions are improving as a whole, but low-income housing problem has been exacerbated by a relativ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will solve the residential housing problem of low-income brackets by expanding welfare programs, but the quality of existing housing issues and the alternative policy are regarded as insufficient. Homeless households in Korea are still nearly 400 million, Housing costs higher than income weighted for buying a home and rent payments of low-income bracket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concept of low-income housing welfare and housing policy changes. This paper is aimed to present the basic data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sidential status of low-income brackets.

복지태도의 세대 간 균열 연구: 연령효과와 분리된 코호트 효과와 그 요인의 분석 (A Study of the Generational Cleavage in Welfare Attitudes: Differentiating Cohort Effect from Age Effect and Finding Its Factors)

  • 조남경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2호
    • /
    • pp.245-275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을 포함한 10개국을 대상으로 지난 20년간 복지태도의 변화를 추적하고, 그러한 변화에 세대효과가 작용하고 있는지, 세대효과를 다시 연령효과와 코호트 효과로 분리하였을 때 복지태도에 대한 코호트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코호트 효과의 배경요인으로서 세대 간 가치관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는지를 살펴 복지태도의 동학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세계가치관조사의 데이터를 통해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의 국가에서 지난 20년간 친복지의 태도가 강화되고 있고, 밀레니얼/Y세대는 이전 세대들보다 더 강력한 국가복지의 지지자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세대효과는 연령효과보다는 코호트 효과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코호트 효과의 배경으로서의 세대 간 가치관 차이는 일반적인 가정과는 달리 단절적이고 급격한 차이를 나타내는 세대는 없이, 과거 세대로부터 최근 세대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양상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복지태도에 대한 코호트 효과는 적어도 가까운 미래까지는 국가복지의 강화 방향으로 작용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특이하게도 한국의 복지태도는 10개국 중 가장 높은 소득격차 선호와 가장 높은 정부 복지책임 확대 선호를 나타내는 모순성을 보여, 많은 연구들이 지적해 온 한국 복지태도의 비일관성과 비계급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러한 모순성은 특히 한국의 밀레니얼/Y세대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데, 이는 비교 대상 국가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현상으로, 한편으로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도 없이 무한 경쟁에 내몰려왔던 우리 청년층이 경쟁과 차별을 내면화한 모습을 드러내었고, 다른 한편 향후에도 우리 복지태도가 복지 확대를 위한 우군으로 작용하기는 어려움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