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service user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초

현장 진단 서비스 시장 공략을 위한 '무선 X-ray 디텍터'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remote X-ray detector design development for marketing in field diagnosis service)

  • 송성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6-205
    • /
    • 2017
  • 오늘날 의료분야의 서비스 디자인은 유 무형의 서비스 요소를 통합적으로 가시화하고 혁신적 해결책을 도출, 고객이 해당 서비스를 더 중요한 가치로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실용적 서비스 연구개발로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개인의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의료복지와 웰빙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어, 의료분야의 초점도 과거의 질병 질환에 대한 치료의 개념에서 예방 의료로 구심점이 이동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맞추어 최근 의료복지에 유비쿼터스 개념을 접목하여 건강진단 및 건강관리의 시간과 공간 제약을 대폭 줄인 홈헬스케어 시스템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헬스케어3.0 시대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와 사용자 니즈를 기반으로 한 제품 및 의료 환경 개선 요구가 증대하고 있어 그에 따라 사용자 중심 니즈와 요구가 반영된 현장 의료진단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장 의료진단 제품 중 하나인 '무선 X-ray 디텍터'를 연구 개발함에 있어 현장진단 제품에 적합한 소재와 외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된 제품을 개발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공공청사의 효율적 조성을 위한 건축디자인 기준 설정 연구 (Design Criteria for Effective Public Building Construction Process)

  • 김창신;동재욱;이화룡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43-5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reasonable method for effective public building construction process. Public building service administration is necessary to make efficient public building supply and demand program. As a result, current public building precess need four steps(organize public assets, various process, establish public building service administration, design criteria). 1. Planning phase : Participation of Private Experts is guaranteed to enhance public building's function such as welfare, entertainment. 2. Design Phase : Detailed design review makes efficient and user oriented public building. 3. Construction Phase : Public Architect solve various problems among the participator especially in case of government local building construction. In conclusion, well formulated design criteria and Public building service administration make public building efficient in various field.

병원정보화 평가를 위한 PRM 기반의 체계 개발 및 적용 (Evaluation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Performance Reference Model)

  • 채영문;조경원;김혜숙;박춘복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valuate performance of information system for on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information system. KPIs were collected for 181 users of information system (41 doctors, 104 nurses, and 11 medical supporting staffs, and 25 administrative staffs) from August 10 to 24, 20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verage performance score for input layer was 3.16; average performance score for process layer was 3.35; and average performance score for business layer was 3.57. Scores for input layer was lowest for nurses and scores for process and business layer were lowest for doctors. Results from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system qualit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curity significantly influenced management process but these factors excep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d user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roces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user satisfaction.

Establishing Application System of KOMPSAT-1

  • Choi, Gi-Hyuk;Lee, Joo-Hee;Paik, Hong-Yul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49-356
    • /
    • 1999
  • Korea Multi-Purpose Satellite-l (KOMPSAT-l) has been developed by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with the aid of TRW and will be launched on the December 21, 1999 at the Vandenberg Air Base in CA, U.S. Now, the satellite application group in KARI is preparing for the service with the KOMPSAT-l satellite data.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good service to the users, data application planning has to be established before launching satellite. To use satellite data effectively, KARI makes a plan for data policy, data price, mission planning, and commercializing strategy.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effective use of satellite data. For this purpose, KARI, first, made 60 user groups to use KOMPSAT-l data for public welfare and research sectors. These user groups include government, public corporations, institutes, and universities. KARI will offer the service to users through online using Internet. Secondly, KARI made a policy for the priority of KOMPSAT-l missions. These are classified by the mission priority, payloads, and operational states etc. Thirdly, KARI will make data policy and data price of KOMPSAT-l based on the basic master plan. Especially, data price will be determined at the KOMPSAT-l committee including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MOST). KARI is also trying to commercialize the data with the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to expand the use of KOMPSAT-l data in the industries sector. Afterward in this study, KARI will continue the improvement for the effective distribution of KOMPSAT-l data for all users.

노인복지시설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분석 은평구·강서구 노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user senior center Focused on senior welfare center Gangseo-gu & Eunpyong-gu)

  • 김석권;안홍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046-3052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및 다양한 노인복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이 지각한 노인복지관의 서비스 만족도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해당 복지센터의 허가를 받아 설문지를 배부하여 175부를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사용하였다. 성별에서는 남자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은 낮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학력은 초등학교 졸과 대학교 졸 이상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에서는 건강할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 달 용돈으로는 30-50만원 정도 사용하시는 어르신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기간으로는 1년 미만과 3년 이상 되신 어르신들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서는 강서구 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어르신들이 은평구 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어르신보다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 System for Visual Disabilities)

  • 장영건;차주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15-321
    • /
    • 2017
  • 이 연구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써 음성인식을 통한 스마트폰을 입력도구로 사용하였고, 출력도구는 방향 및 음성안내를 하면서도 주변 환경음을 인식할 수 있는 골전도 헤드셋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기존의 길안내용 스마트폰 앱과 달리 보행해야할 방향 정보를 착용한 헤드셋의 좌우 스테레오 음의 크기로 전달하며, 갈림길이나 휘어진 길에 대한 음성안내는 수 미터 전에 안내하여 시각장애인의 보행 속도에 적합하게 안내가 이루어지며, 역방향 보행이나 경로이탈을 즉시 경고하는 장점이 있다. 방향센서로 진행방향에 대한 동적 정밀도가 1.5도인 모션 트랙커를 사용하여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방향 정보를 취득할 수 있었다. GPS의 위치오차를 극복하기 위하여 위치오차에 견고한 경로계획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을 실험한 결과 실험 경로에서 평균 방향각 오차가 6.82도(표준 편차 5.98)로 비교적 안정하게 방향을 유도하여 목적지에 도달하였다.

노인돌보미바우처 정책집행분석 -선택과 경쟁은 실현되는가?- (A Policy Implementation Analysis on the Care Voucher for the Aged -Focusing on Choice and Competition-)

  • 양난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3호
    • /
    • pp.77-101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돌보미바우처 정책집행분석 사례연구로 일선 집행현장에서 바우처 논리인 소비자 선택과 제공자 경쟁이 실현되는지, 어떤 양상으로 실현되는지 분석하였다. 서울시 ${\bigcirc}{\bigcirc}$ 구를 조사지역으로 선정하여 4개 제공기관과 돌보미, 일선공무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일선집행과정을, 그리고 보건복지가족부, 사회서비스관리센터 등의 정책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정책설계와 운영을 조사하였다. 총 39명에 대한 심층인터뷰와 참여관찰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노인돌보미바우처 집행 일선에서는 정책설계에서 가정한 바우처 이용자의 제공기관 선택과 제공기관의 경쟁은 실현되고 있지 않았다. 일선공무원은 공급자지원방식에서와 마찬가지의 관행으로 이용자명단을 기관에 전달하고 제공기관은 '제공기관회의'를 구성하여 이용자를 나누고 있었다. 하지만, 이용자의 선택은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제공기관과 돌보미는 서비스 제공에서 이용자 중심성을 실현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 PDF

실물옵션이론을 이용한 전파자원 회수 및 재배치 정책 모형화에 관한 연구

  • 전일환;이정동;정종욱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5년도 제26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4-139
    • /
    • 2005
  • In the early stage, the radio communication industry was widely accepted as a monopoly industry, so it has been controled and managed by government. But the advanced technology in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dustry has led constant increase of demand and dramatic change of communication marke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frequency resource is to be short by market change due to wire-wireless integration. That is why the effort to utilize and manage limited frequency resource efficiently is being executed around the world. Not only newly developing and allocating the spectrum but also reallocating the existing spectrum important are, since transforming inefficiently used existing spectrum to new service can increase producer's surplus and social welfare. The economic approach to valuate the spectrum and spectrum usage right is necessar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ost based approach, and through this approach I expect active transaction of spectrum. In this paper the real option methodology is used for valuation of spectrum, considering spectrum user's option right based on future revenue. In detail, the matter of withdrawing and reallocating the existing analog radio broadcasting spectrum is evaluated in this paper, The digitalization of a broadcasting service is widely spreaded around the world in terms of technology and service utility, and analog TV broadcasting has already been decided to be transformed to digital TV broadcasting. It was planned to convert analog radio broadcasting to DAB service before adopting DMB service, but nowadays this issue is not on the table anymore. However if the increasing demand of digital voice and broadcasting service is considered, this kind of research to valuate a spectrum is needed urgent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when the redeployment of spectrum is done, social welfare will increases. The point of the reallocation time and value are suggested by the monte carlo simulation through ROVM. In this paper, I use real option to valuate the spectrum and provide the point of the reallocation time and reasonable guideline, and moreover, the suitable information of this paper is expected to reduce risk and loss in policy practice.

  • PDF

마이데이터 기반 교통약자 이동지원서비스 모델 (A Mobility Service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Based on MyData)

  • 최희석;이석형;박문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1호
    • /
    • pp.31-40
    • /
    • 2023
  •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이동지원 편의시설 확충, 특별교통수단 공급, 데이터·AI 기반으로 이동패턴 분석으로 대중교통 노선 계획 및 요금정책 수립 등 국내외에서는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 이용자인 교통약자 관점에서 필요한 상황에서 원하는 교통수단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기에는 여전히 서비스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정책과 서비스를 살펴보고, 교통약자 이동지원을 위한 마이데이터 기반 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제시한 서비스 모델에서는 교통약자가 개인별 상황에 따라 교통수단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국가 또는 지자체가 제공하는 교통복지 바우처 혜택을 동일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제시한 서비스 모델은 개인데이터를 안전하게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마이데이터 플랫폼, 마이데이터 기반으로 교통복지 수혜 대상자 인증, 서비스 이용 후 요금정산을 위한 결제 기능을 핵심 구성요소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한 서비스 모델을 구현하고 대전시의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실증서비스를 실시함으로써 이용자 관점에서의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일본 노인주거시설의 종류와 공급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Supply of Elderly Housing in Japan)

  • 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9-56
    • /
    • 2010
  • In Japan, a lot of elderly housing type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meet various needs of the older person and the change of social situations. Elderly housing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elderly housings for healthy older persons, elderly care homes for the healthy and elderly care facilities for the unhealthy. Elderly housings include public and private rental housings. Sometimes they can be designated only for the elderly. Elderly care homes for the healthy elderly include full fee charging elderly housing, elderly homes, low fee charging elderly homes and care houses. Elderly care facilities for the unhealthy elderly consist of full fee charging elderly care homes, group homes for the dementia, elderly health facilities, nursing homes, elderly hospitals, and so on. However "elderly care facilities" have been proved not to be efficient for the delivery of elderly welfare services nor satisfactory to the frail older person. Therefor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Normalization", daily services have been provided for the elderly in order that they can live at their own home in the community for themselves. As a result, Japan aims not only to reduce elderly welfare expenses but also to increase elderly users' satisfaction. Emphasis on non-institutionalization and in-home services, regional characterization, harmony between Hard and Soft, user oriented services, substantiality, universal design and so on are sought for the sake of those go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