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responsibility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32초

사회복지관 조직풍토 인식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limates on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in Social Welfare Centers)

  • 김용민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329-363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기관의 조직풍토에 대한 지각 정도를 측정하고,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조직풍토 수준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570명의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사회복지관의 조직풍토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나타난 연구결과는 복지관의 풍토(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하고 관리하느냐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향상되기도 하며, 혹은 그렇지 못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직풍토는 궁극적으로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과도 연관된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사회복지관 실정에 맞는 긍정적인 조직풍토를 조성하고 관리하도록 사회복지사와 운영자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복지의식 연구 : 서울지역 기혼자를 중심으로 (Familism and Welfare Consciousness in Korea)

  • 양옥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229-256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인 대부분이 공유하고 있는 전통적 가치관이라고 알려진 가족주의 가치관이 한국인으로 하여금 복지제도와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을 갖게 하는데 어떤 관련이 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가족간의 결속력이 유난히 강하고 가족중심적인 사고가 모든 사회관계에서도 지배적으로 자리잡고 있는 한국사회에서의 가족주의 가치관은 다른 가치관이나 이념 및 의식을 구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가족이 그 구성원을 돌보고 양육, 부양하는 것을 당연한 의무와 책임으로 여기고 있는 가족주의적 사고가 복지의식을 형성하고 구체화하며, 복지국가 형태의 수준을 갖게 하는데 제한을 가한다는 비판의 소리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복지의식을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과의 관련성 속에서 재조명해보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분석을 위하여 서울지역의 기혼 여성과 남성을 체계적 층화표집과 할당표집으로 표본추출하였으며, 총 1,131명이 분석대상이 되었다. 분석결과 한국인의 복지의식은 가족주의 가치관과 많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제도에 관한 인식에서 가족주의 가치관은 부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주의 가치관이 낮은 집단에서 복지제도 인식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복지책임주체에 관해서는 가난한 사람과 노인영역에서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높은 경우 가족책임 성향도 높게, 그리고 장애인과 실업자의 경우에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낮은 경우 정부책임 성향을 높게 지적하였다. 그러나 복지정책 욕구에서만은 가족주의 가치관이 낮은 경우 정부책임 성향을 높게 지적하였다. 그러나 복지정책 욕구에서만은 가족주의 가치관의 관련성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족주의가 높은 집단에서조차 복지정책 욕구가 크게 보여졌다. 이 같은 결과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한국인들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주는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전통적 사고가 국가의 복지제공 의무를 회피하는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가족의 기능을 긍정적으로 강화하는 기제로 활용되어야 하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이는 한국인에 맞는 복지모형의 개발을 시사한다.

  • PDF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 인식에 따른 사업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요구 (Consumers' Nee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 서정희;전향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993-1008
    • /
    • 2011
  • An increase in interests in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ies, or ethical spending, starts from a recognition that the consumption of an individual does not stop with the individual, but also affects overall society. The recognition of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ies leads to deman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how social responsibility recognition affects consumers' nee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using college students. All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Windows 18.0 program in terms of frequency, Crobach's ${\alpha}$, factor analyses, paired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recognition level of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ies in college students was at an average level and the consumer's nee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ere higher than usual. Second, the grade level, military experience, and economic status of the college students changed their views on consumers' nee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Groups with higher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ies had higher consumer deman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ies affects the consumer's nee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부행동의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자아존중감과 복지책임주체 인식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Giving Behavior : focusing on Self-Esteem and Perceived Responsibility toward Social Welfare)

  • 박성택;김윤하;김태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151-160
    • /
    • 2017
  • 기부행동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정적 자원을 남과 공유함으로써 사회가 필요로 하는 자선과 복지 분야에 기여한다. 기부행동의 원동력에는 소득, 연령대, 성별, 종교, 교육수준, 주거지역, 조세정책 등과 같은 사회 인구학적 요소들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득수준을 포함하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 외에 자아존중감과 복지책임주체에 대한 인식 등의 요인을 중심으로 기부에 대한 참여 여부, 기부노력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한국복지패널조사자료를 바탕으로 통계적 분석을 시도한 결과, 소득과 자아존중감은 기부에의 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복지책임주체가 정부에 있다고 생각할수록 참여의도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득에 대한 기부액수 비율로 정의되는 기부노력은 소득만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소득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의 기부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이나 복지책임주체에 대한 인식은 기부노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 조직구조에 따른 책임은폐와 문제해결의 동학(動學): 국내 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일본의 약해간염 사고의 비교 (The Dynamics between Accountability Concealment and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 Governmental Structure: Comparison of Humidifier Disinfectant Case in Korea and Hepatitis C from Tainted Products in Japan)

  • 현승효;이민규;류화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4-450
    • /
    • 2020
  • Background: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incident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and incidents of mild hepatitis in Japan to highlight the differences in government response in the health care field in terms of "chain of responsibility". Methods: We examined whether the three mechanisms of action and the chain of responsibility hypothesis were applied to compare the cases of Korea and Japan. The incident of Japan occurred in 1987 in Misawa city, Aomori prefecture. In the 1990s, the safety of blood products increased dramatically. However, relief for infected victims was neglected. Green Cross did not notify the parties. In Korea, in the spring of 2011, a number of lung disease patients were accidentally admitted to a hospital in Seoul, and a female patient with respiratory failure symptoms expired.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nducted animal tests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sued an order for forced collection of humidifier disinfectants. Results: In the case of Japa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d to take responsibility for follow-up measures such as the investigation of the cause, so it was tied to a "chain of responsibility".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as free from the chain. Conclusio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cases of Japan and Korea, we confirmed that whether or not a government organization chooses to conceal responsibility depends on its past behavior, which is whether it is free from the chain of responsibility or not. Therefore, it was reaffirmed that an organization (ministry or department) free from the chain of responsibility must exist within the government.

The Current State and Determinants of Korean Baby-Boomers' Welfare Consciousness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93-200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 of variables influencing Korean baby-boomers' welfare consciousnes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8^{th}$ supplementary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in 2013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2,035 people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5 whose welfare panel data did not have missing values for the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when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ajor variables were analyzed, those showing a relatively high mean scor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baby-boomers' welfare consciousness were 'expansion of expenditure for public assistance' (mean 3.65, SD .557), 'expansion of expenditure for social insurance' (mean 3.53, SD .646), and 'expansion of expenditure for social services' (mean 3.26, SD .424). The mean score of the baby-boomers' overall welfare consciousness was relatively high as 3.45 (SD .428), advocating the expansion of welfare expenditure.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the baby-boomers' welfare 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explanatory power of 12.9%. I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variable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were gender (B=.100, t=2.573, p<.01), personal responsibility for poverty (B=-.151, t=-3.635, p<.01), social responsibility for poverty (B=.149, t=3.437, p<.001), and recipient's laziness (B=.251, t=6.578, p<.001). Based 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major relevant polici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Increasing Company Value

  • KANG, Sun-Kyung;JUNG, Ha-Yo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3권10호
    • /
    • pp.23-30
    • /
    • 2022
  • Purpose: The advantage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clude stronger recognition and reputation, which lead to a company's good public image, increased customer loyalty, operational cost saving, and employee reten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take a close look at the association between CSR and organization's valu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authors tried to obtain the high-quality textual data from mostly peer-reviewed journals using a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authors was to figure out adequate solutions from limited range of the current literature (only peer-reviewed research) regarding CSR and corporate value. Results: Our investigation indicates that CSR is essential to all businesses as it ensures they keep in touch with society, retaining top personnel, and achieving top financial success. Companies and organizations can engage in fou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ives to increase value, including environmental projects, charitable work, honest labor practices, and volunteer activity. Conclusions: An organizations should be involved in the community and consider how its actions affect the environment and society. Small or large businesses are expected to lead in developing a progressive CSR program that benefits people and the environment and continuously changes depending on the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책임성을 중심으로 본 남성들의 자녀양육 참여 (Study on Paternal Involvement in Responsibility of Child Rearing)

  • 유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45-61
    • /
    • 2017
  • 여성들의 경제활동 증가 및 생계부양 분담이 증가함에 따라 이제 남성들의 양육 참여는 필수불가결한 현상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연구는 여성이 항상 일차적 양육의 책임자인 현실에 문제제기 하면서 우리나라 남성들의 양육 참여를 책임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책임성이란 자녀를 위한 모든 사항에 대한 결정, 대비, 총괄하는 양육의 한 부분이다. 무엇보다 책임성은 성정치적 영역인 양육에서 진정한 양성 평등적 양육을 실현할 수 있는 지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 대기업에 재직하는 20-40대 남성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양육 중 책임성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 남성들은 책임성에 속하는 양육에는 상대적으로 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책임성에 속하는 양육에는 참여도가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성도 책임성을 중심으로 양육의 중심에 서야 한다는 필요성을 보임과 동시에, 관련 제도 및 정책에도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빈곤원인 인식, 정부신뢰, 복지의식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Poverty Cause, Trust in Government, and Welfare Perception :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 이진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71-280
    • /
    • 2021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빈곤원인 인식이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빈곤원인 인식과 복지의식간의 관계에서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부가조사를 최종 완료한 만 20세 이상 가구원 2,02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설명력(R2)의 변화량을 확인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원인 인식의 하위요인 중 개인책임론은 복지의식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인 반면, 사회구조책임론과 운명론은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정부신뢰는 복지의식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는 일부 검증되었다. 즉, 빈곤원인 인식의 하위 요인 중 개인책임론과 복지의식 간, 그리고 사회구조책임론과 복지인식 간의 영향 관계에서 정부신뢰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결과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복지의식 향상을 위해 빈곤원인에 대한 인식뿐 아니라 정부신뢰 등 사회적 자본의 강화가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점 및 의의,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패션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CSR 활동의 평가 - 지각된 적합성과 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or fashion company's sustainable management -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perceived fit and motivation -)

  • 주성래;정명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4호
    • /
    • pp.644-660
    • /
    • 2015
  •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fashion companies has become a crucial factor considering company image and awareness. Businesses have thus increased their CSR activities. However, few studies have shown clear and consistent resul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SR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the direct effect of CSR on trust and corporate reputation including its moderation by consumer's perceived fit and motivation. A total of 28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adult consumers in the fashion market with promotional leaflets for CSR activities as stimu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for CSR activitie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Social welfare responsibility, environment protection, economic responsibility, social regulation compliance, customer protection, and culture and arts support. Further social regulation compliance, and economic and social welfare responsibilities positively affected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Second, the main effect of perceived CSR activities and fit on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was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environment protection, and culture and arts support of CSR activities and fit were significant.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CSR activities and motivation on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ain effect was significant. Implications of how to manage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SR activities are off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