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survey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4초

강원 횡성 및 제주지역 더덕밭 잡초발생양상 (Occurrence of Weed Flora in Codonopsis lanceolata Upland Fields of Gangwon-Hoengseong and Jeju Areas in Korea)

  • 송희근;김창석;이정란;서현아;최경미;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76-187
    • /
    • 2015
  • 강원 횡성 및 제주 지역의 더덕밭에 발생하는 잡초 발생상황을 파악하여 더덕밭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3회 조사하였다. 더덕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47과 207종으로 일년생잡초가 87종, 월년생잡초가 47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73종이었다. 잡초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에서 광엽잡초는 182종, 화본과잡초는 18종, 사초과잡초는 7종이었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는 쑥, 바랭이, 닭의장풀, 개여뀌, 돌피 등이었다. 더덕밭 발생잡초 중 외래잡초가 59종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하였으며, 개망초, 주홍서나물, 미국가막사리, 서양금혼초 등이 발생하였다. PCA 분석 결과, 강원 횡성 더덕밭의 잡초군락은 개망초군락, 털진득찰군락과 닭의장풀군락으로 분석되었으며, 제주 더덕밭의 잡초군락은 주홍서나물-참방동사니군락, 들개미자리군락, 새포아풀군락과 뽀리뱅이군락으로 분석되었다.

경상북도 지역 논 제초제의 농가 사용 실태 (Fact-finding Survey on The Use of Paddy Field Herbicides at Farmer's Level in Gyeongsangbuk-do Province)

  • 김상국;한윤열;신종희;김수용;원종건;김학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7-132
    • /
    • 2012
  • 경북지역에서 벼를 재배하는 214 농가를 대상으로 잡초발생 및 제초제 사용 설문조사를 2011년에 실시하였다. 대부분(96.2%)은 기계이앙을 실시하였으며, 이때 이앙시기는 5월 하순으로 전체 68.0%를 차지하였다. 경운 시기는 춘경 54.6%, 춘 추경 24.8%, 추경 15.0% 순이었다. 제초제 처리횟수는 2회 처리가 75%로 가장 많았으며 일발처리의 경우 이앙전 처리가 84.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회 이상 처리하는 제초제 체계처리의 경우, 첫 번째는 이앙 전 처리제를 살포한 후에 두 번째는 중기 제초제 처리한다는 농가가 57.5%로 가장 높았다. 경북지역에서 발생되는 잡초는 23종으로 설문대상자 827명(중복 응답자)의 20.8%가 첫 번째 우점잡초로 피를 선정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벗풀 10.4%, 물달개비 9.9%, 올미 9.7% 순이었다. 이들 잡초중 방제가 어려운 잡초는 올미 23.8%, 피 18.7%, 물달개비 18.2%, 벗풀 14.0% 순이었다.

관개수로 실태조사 기법에 대한 기초연구 (Assessment of Irrigation Canal Systems for Planning Maintenance Practices)

  • 홍성구;이용직;박재홍;김진택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5-48
    • /
    • 2002
  • Irrigation canal systems were evaluated based on documentations and field survey. Field survey was conducted for main canals using GPS, with respect to canal characteristics such as canal material, presence of weed, potential inflow of sediment, sedimentation, and so forth. Methodology described in this paper could be used for planning maintenance practices.

  • PDF

주요 외래잡초의 생태적 특성 및 방제에 관한 연구 1. 조사료 포장에 발생하는 주요 외래잡초의 분포 및 생태적 특성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Exotic Weeds 1.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otic weeds in forage crop field)

  • 박근제;윤세형;이종경;김영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7-102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weed distributions in 6 areas(Suwon, Seonghwan, Seosan, Taekwanryeong, Namwon and Yeongam) and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otic weeds from 1997 to 1999. Total 44 species in 15 families of exotic weds were observed in grassland and forage crop field. Among them 4 species in 1 family were monocotyledonous and 40 species in 14 families were dicotyledonous weeds. Most common species among exotic weed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Rumex acetosella, Rumex crispus. Chenopodium album, Abutilon theophrasti, Amaranthus retroflexus, Polygonum orientale etc. Inedible weeds with hairs, prickles, fetor or poison were Solanum carolinense Xanthium strumarium, Datura stramnium, Erechtites hieracifolia, Anthemis cotula, Phytolaca americana etc. The relative density of Phytolaca americana increased with decreament of soil pH and content of available phosphate, and that of Solanum carolinense increased with decreament of soil pH and increament of available phosphate. Most of exotic weed seeds germinated well under light condition with $25~30^{\circ}C$, and some of those were hard or dormant seed.

  • PDF

The Report on the Taxonomic Characters, Ecological Risk and Weed Risk Assessment of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which are Designated in Law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as Environmentally Harmful Species (III)

  • Kim, Tae-Hee;Yoon, ChangYoung;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3-248
    • /
    • 2021
  • We conducted a taxonomic study and agricultural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s of 41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16.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we carried out the field survey four tim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Mexico, and investigated specimens, literature, and other information including seed morphology, classification key, and habitat conditions. In this study, we reported the taxonomic characters, ecological risk, and weed risk assessment of 41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and suggested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11 species to contribute to establish solutions of regulation management for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 Spirodela punctata (G.Mey.) C.H.Thomps. (Araceae), Sagittaria graminea Michx. (Alismataceae), Elodea nuttallii (Planch.) H.St. John, Hydrocharis morsus-ranae L., Stratiotes aloides L. (Hydrocharitaceae), Eichhornia azurea (Swartz) Kunth, Monochoria hastata (L.) Solms (Pontederiaceae), Aegilops tauschii Coss. (Poaceae), Myriophyllum heterophyllum Michx. (Haloragaceae), Bunias orientalis L. (Brassicaceae), and Heracleum sosnowskyi Manden. (Apiaceae).

우리나라 사과원(園)의 잡초식생(雜草植生)에 관(關)한 분석(分析) (Weed Occurrence in Apple Orchard in Korea)

  • 정재식;이재석;최충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6
    • /
    • 1997
  • 1996년(年) 6월(月) 상순(上旬)에 우리나라의 사과 주산지(主産地)에서 14시군(市那) 25읍면(邑面)의 27조사구(調査區)를 선정(選定)하여 잡초발생(雜草發生) 상황(狀況)을 조사(調査)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사과원에서 발생(發生)되는 잡초(雜草)의 초종(草種)은 총(總) 23과(科) 69종(種)으로서 국화과 13종(種), 십자화과 10종(種), 마디풀과 9종(種), 화본과 6종(種) 등(等) 순(順)이었다. 2 잡초(雜草)의 생활사별(生活史別) 발생(發生) 초종수(草種數)는 1년생(年生) 44종(種)(64%), 다년생(多年生) 25종(種)(36%)으로 1년생(年生)이 우점(優占) 하였고, 형태별(形願別)로는 광엽잡초(廣葉雜草) 1년생(年生)이 39종(種), 다년생(多年生) 21종(種)으로 총(總) 60종(種)이 발생(發生)하여 87%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은 화본과 10%, 방동산이류 3% 순(順)으로 발생(發生)하였다. 3. 잡초(雜草)의 번식방법별(繁殖方法法別)는 종자(種子) 번식(繁殖)이 53종(種)(76%)으로 가장 많았고, 지하경(地下莖) 번식(繁殖) 7종(種)(10%), 종자(種子) 지하경(地下莖)과 종자(種子) 포복경(葡匐莖) 번식(繁殖)이 각각 3種(4%), 포자 지하경(地下莖)과 종자(種子) 괴경, 인경 주아로 번식(繁殖)하는 것이 각각(各各) 1종(種) 이었다. 4. 잡초(雜草)의 발생빈도(發生頻度)를 보면 명아주가 82%로 가장 높았고, 냉이 바랭이가 각각 74%, 속속이풀 67%, 둑새풀 망초 63%, 쇠비름 쇠별꽃 59%, 벼룩이자리 37%, 꽃마리 좀명아주 깨풀 씀바뀌 33% 등(等)의 순(順)으로 높아 이들 초종이 과수원(果樹園)에 널리 분포(分布) 발생(發生)하였다. 5. 지역별 주요 우점(優占) 초종은 경북중북부권(慶北中北部圈)에서 31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發生)하여 냉이 명아주 개갓냉이 속속이풀 망초 등의 순(順)으로 우점(優占)하였고, 충북권(忠北圈)은 35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發生)하여 망초 여뀌 둑새풀 벼룩이자리 꽃마리 등의 순(順)으로 우점(優占)하였다. 충남권(忠南圈)은 27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發生)하여 개갓냉이 개밀 냉이 쇠별꽃 왕포아풀 등의 순으로 각각 우점(優占)발생 하였으며, 전북권(全北圈)은 30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發生)하여 둑새풀 망초 속속이풀 꽃마리 명아주 등의 순으로 우점(優占)하였다. 대구권(大邱圈)은 28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發生)하여 속속이풀 바랭이 좀명아주 쇠비름 명아주 등의 순으로 우점(優占)하였으며, 경남권(慶南圈)은 26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發生)하여 명아주 속속이풀 개여뀌 바랭이 냉이 등의 순으로 우점(優占)하였다. 지역(地域)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으나, 대체로 명아주 속속이풀 망초 냉이 개갓냉이 둑새풀 바랭이 개밀 꽃마리 등의 순(順)으로 우점(優占) 발생(發生)하는 경향(傾向)이었다. 6. 주요(主要) 우점(優占) 초종(草種)의 발생(發生) 개체수(個體數)는, 둑새풀이 (우점도(優占度)15.1 %)로 가장 많았으며, 냉이(7.9%), 바랭이(7.8%), 여뀌(7.4%), 꽃마리(6.2%), 왕포아풀(5.1%) 등의 순(順)이 었고 이들중 1년생(年生) 잡초(雜草)의 우점도(優占度)가 61.6%로 다년생(多年生)보다 우점(優占) 하였으며, 과별(科別)로는 화본과 잡초(雜草)가 28.0%로 가장 높았다. 건물중(乾物重)은 명아주가(우점도(優占度)10.5%)로 가장 많았고 망초(8.4%), 둑새풀(8.2%), 속속이풀(6.7%), 개갓냉이(6.3%), 냉이(6.2%), 쇠별꽃(5.1%) 등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이중 1년생(年生) 잡초(雜草)의 우점도(優占度)가 47.2% 다년생(多年生)보다 높았고, 형태적으로는 십자화과 잡초(雜草)가 19.2%로 가장 높았다. 7. 총(總) 27조사구간(調査區間)의 평균(平均) 비유사성계수(非類似性係數)가 78.5%로 높은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 사과원에서 발생되는 잡초(雜草)의 초종(草種)은 지역(地域)에 따라 매우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서해안 간척답에 있어서 다년생잡초매자기 방제에 관한 연구 제 1 보 매자기의 분포 (Control of Perennial Weed Scirpus maritimus L. in Reclaimed Paddy Fields of West Seashore I. Distribution of S. maritimus)

  • 양환승;전재철;문영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0-63
    • /
    • 1978
  • 우리나라 서 . 남해안 간척지의 매자기 분포상황을 알기 위해서 전간척지 면적의 약 29%에 해당하는지역에 대해 설간 및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1. 매자기는 우리나라 중부의 경기도 강화군으로부터 남부인 전남의 양도, 고흥군에 이르기까지 전간척지에 분포되어 있다. 2. 전체 간척지의 평균 침입정도는 5 단계평가로 4.09에 이르고 있다. 3. 전체 조사지역중 73.04%가 평점 5및 4에 속하였다. 4. 전체 사사지역 어디에서나 매자기는 모내기 전과후 두차례에 걸쳐 발생하고 있었다.

  • PDF

Three Different Viruses Isolated from Typical Weed Plants that Grown Adjacent to Common Crop Fields

  • Kwon, Sun-Jung;Choi, Hong-Soo;Han, Jung-Heon;La, Yong-Joon;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297-305
    • /
    • 2000
  • Weeds are widely grown in the field and are infected by many viruses.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viruses infecting weeds in Korea. Virus-infected weed samples including Rorippa indica (L.) Hiern, R. islandica (Oed.) Bord, Crepidiastrum denticulatum (Houtt.) Pak & Kawanno,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Makino were collected in Kyonggi Province. These weeds were grown in the greenhouse and were isolated on 10 test plants. Several virus isolates were isolated fron infected tissues and were further studied by host range assay, serological test, electron microscopy (EM),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sequencing. Each isolated virus strain was mechanically transmitted to weeds and various hosts including Nicotiana spp., Brassica spp., Vigna unguiculata, Capsicum annuum, and Cucumis sativus and showed systemic mosaic, vein clearing, necrosis, mottle, malformation, chlorosis, and/or death of host plants in some cases. Each virus was then purified using infected leaves and observed by EM. From these results three virus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Turnip mosaic virus (TuMV), Broad bean wilt virus (BBWV), and Cucumber mosaic virus (CMV). RT-PCR using virus-specific oligonucleotide primers and the cloning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nucleotide sequences of coat proteins of the three viruses their amino acid sequence were deduced. The amino acid sequence homologies were about 92.7 to 99.7%, 96.2 to 97.7%, and 93.9 to 98.6% to other reported TuMV, BBWV, and CMV strain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y weeds may serve as primary inoculum source of diseases caused by TuMV, BBWV, CMV and that the management of these viral diseases can be achieved through weed control.

  • PDF

배수불량 농경지에서 토양수분별 연차간 잡초발생 군락 특성 (Yearly Variation of Ecological Traits of Weed Flora on Soils Having Different Drainage Property)

  • 황재복;윤을수;정기열;박창영;최영대;이용환;남민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1-48
    • /
    • 2011
  • 배수방법별 연차간 잡초발생 군락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함량은 배수불량지는 10.2~18.2%, 약간불량지는 11.8~14.3%이었고, 표토에서 10cm깊이까지 토양 3상 중에 기상은 배수불량지가 15.3%인데 비해 약간불량지는 19.8%로 높았다. 2009년도에 약간불량지에서는 16초종이 발생하였으며, 적산우점도는 뽀리뱅이(97.0%) > 망초(92.1%) > 갈퀴덩굴(35.3%) > 지칭개(28.4%) > 쑥(23.3%) 순이었다. 배수불량지에서는 12초종이 발생하였으며, 적산우점도가 뚝새풀(100%) > 벼룩나물(55.2%) > 뽀리뱅이(38.3%) > 물냉이(28.5%) > 망초(20.9%)이었다. 또 2010년도에 약간불량지에서는 14초종이 발생하였으며, 적산우점도는 벼룩나물(86.8%) > 뚝새풀(77.7%) > 자운영(68.7%) > 뽀리뱅이(46.3%) > 망초와 지칭개(35.6%) 순이었다. 배수불량지에서는 12초종이 발생하였으며, 적산우점도가 벼룩나물(93.7%) > 뚝새풀(78.6%) > 물냉이(31.3%) > 뽀리뱅이(30.4%) > 쑥(25.7%)이었다. 배수방법별 연차간 발생초종의 다양화 정도를 나타내는 Simpson 지수는 배수불량지가 0.18~0.23으로 약간불량지에서는 0.12~0.18에 비해 높아서 토양수분 함량이 높은 곳에서 특정 초종이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잡초의 다양성 지수는 2009년에는 43.0% 이었으나 2010년에는 74.2%로 연차간 차이가 많았다.

한국(韓國) 야생(野生) 잔디의 재배기술확립(栽培技術確立)을 위한 연구(硏究) - 제(第) 1 보(報) 주요잡초(主要雜草) 조사(調査) 및 방제법(方除法) 구명(究明)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ractices in Korean Turfgrass (Zoysia japonica Steud.) - 1. Survey of Major Weed Species Occurring in Korean Turfgrass and Their Control Methods)

  • 김길웅;김달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8-83
    • /
    • 1981
  • 한국(韓國)의 야생(野生)잔디가 재식(栽植)되에 있는 잔디밭을 대상(對象)으로 문제잡초구명(問題雜草究明) 및 잡초방제방법구명시험(雜草防除方法究明試驗)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l. 본(本) 조사지역(調査地域)에서 발생(發生)된 잡초종류(雜草種類)는 40여종(餘種)이었고 발생빈도(發生頻度) 및 발생량(發生量) 면(面)에서 크로바, 바랭이, 방동산이, 망초, 꽃다지 등이 문제(問題)의 잡초(雜草)로 구명(究明)되었다. 2. 경산(慶山) 칸트리클럽 주변(周邊)의 조사지점(調査地點)에서는 크로바, 바랭이, 꽃다지, 방동산이, 망초 등이 공존(共存)하는 군락형(群落型)으로 Simpson's Index가 0.306이었고 경북대(慶北大) 캠펴스내(內)의 조사지점(調査地點)에서는 Simpson's Index가 0.776으로 주로 크로바가 우점(優占)하는 군락형(群落型)을 보였다. 전체(全體)의 건물중(乾物重) 증가양상(增加樣相)에는 두 지역간(地域間)에 시간적(時間的) 차이(差異)는 있으나 유사(類似)하였다. 3. 크로바와 광엽잡초(廣葉雜草)가 우점(優占)하는 지역(地域)에 MCPP 3.4kg (a.i.)/ha를 2회(回) 처리(處理)는 경미한 약해(藥害)가 있기는 하나 84.1%의 높은 방제효과(方劑효果)를 나타냈으며 MCPP 2.2~2.8kg (a. i.)/ha 처리(處理)도 약해(藥害)는 전혀 없으며 높은 방제효과(方劑效果)를 나타냈다. 4. 2,4-D 성분량(成分量)으로 2.0kg/ha 처리(處理)는 MCPP 3.4kg (a.i.)/ha 에 준(準)한 방제효과(方劑效果)를 나타내지는 못하였으나 높은 방제율(防除率)을 보였으며 약해(藥害)를 고려(考慮)할 때 2,4-D 1.0kg (a.i.)/ha 정도면 광엽잡초방제(廣棄雜草防除)에 유효(有效)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