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dge

검색결과 1,447건 처리시간 0.03초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권취강판 적재운송용 Wedge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urability of a Wedge for Transportation of Rolled Steel Plates Using FEM)

  • 곽이구;김홍건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8-335
    • /
    • 2009
  • In order to 1ransport the steel roll coil effectively and safely to the destination, the stability of the steel roll coil which induced the minimum movements during the 1ransportation was s1rongly required. The basic 1ransportation equipment for the steel roll coil such as the wedge is made of 100% imported wood known as the apitong. However, the material characteristic such as the rigidity has caused permanent damages to the steel roll coil and the damaged steel roll coils were not easily restorable. Thus it was unsuitable for other purposes. The introduction of new materials to manufacturing wedges which would have a good recovery performance and thus enable the wedge prevention or reduction to the steel roll coil or any other products during the 1ransportation is needed. Due to the fact that recovering damage of the coil is almost impossible, we have to find the new type of wedge that can substitute the apitong wedge. Therefore, we are going to develop a wedge that does not damage rolled steel coil and has better recovery and softness than existing apitong wedge.

  • PDF

쐐기형 쏘일 네일의 인발 거동 특성 (Pullout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he Wedge-shaped Soil Nail)

  • 김범주;이용준;윤용수;정민규;윤지남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079-1083
    • /
    • 2009
  • In this study, the pullout resistance characteristic of a wedge-shaped soil nail, made by attaching small steel sticks to the tip of a nail in a wedge shape, was investigated. It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overall pullout resistance capacity of the existing soil nail system, composed of nail and grout, by making the wedge provide additional pullout resistance. In order to evaluate the pullout resistance of the wedge shape-soil nail, field pullout tes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for the existing soil nail without the wedge. The fiel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pullout resistance capacity of the wedge-shaped soil nail was 50% larger than that of the existing soil nail without the wedge.

  • PDF

A Study on the Sliding Distance and the Proper Position of Supporter with respect to the Wedge Angle in the Wedge Type Rail Clamp

  • Han, Dong-Seop;Han, Geun-Jo;Lee, Seong-Wook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Asia Navigation Conference
    • /
    • pp.115-120
    • /
    • 2006
  • The rail clamp is the device to prevent the crane slips along rails from the wind blast as well as to locate a container crane in the set position in operating mode. In this study we conduct the research for the sliding distance of rail clamp and the proper position of supporter with respect to the wedge angle in the wedge type rail clamp. The sliding distance to display the clamping force of the jaw pad corresponding to the design wind speed criteria is determined by the total displacement of the rail clamp at the roller center and the wedge angle. And the supporter is the device to prevent the overload which is applied on each part of the rail clamp by wind speed increment, because a clamp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sliding of the wedge due to the wi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supporter to prevent the overload i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forces applied to the rail clamp. In order to analyze the sliding distance and the proper position of supporter with respect to the wedge angle as the wind speed is 40m/s, 5-kinds of wedge angles, such as 2, 4, 6, 8, $10^{\circ}$, were adopted as the design parameter.

  • PDF

Dose Volume Histogram Analysis for Comparison of Usability of Linear Accelerator Flattening Filter

  • Ji, Yun-Sang;Dong, Kyung-Rae;Ryu, Jae-Kwang;Choi, Ji-Won;Kim, Mi-Hyun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97-302
    • /
    • 2018
  • The wedge filter has two movements, fixed and dynamic. In this study, the depth dose distribution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stability of the dose distribution and dose volume histograms obtained by evaluating the usability of the critical normal tissue dose around the tumor dose. The depth dose was analyzed from the dose distribution from a Linac (6 MV and 10 MV irradiation field of energy $20{\times}20cm^2$, wedge filter with a SSD of 100 cm and $15^{\circ}$, $30^{\circ}$, $45^{\circ}$ Y1-in (Left -7 cm), Y2-out(Right +7 cm). To analyze the fluctuations of the depth dose, a fixed wedge and dynamic wedge toe portion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energy and angle because the size of the fluctuations was included in the error bound an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 neck, breast, and pelvic dosimetry in tumor tissue are measured more commonly with a dynamic wedge than a fixed wedge presumably due to the error range. On the other hand, dosimetry of the surrounding normal tissue is more common using a fixed wedge than with a dynamic wedge.

가상쐐기와 기존쐐기의 물리적 특성 비교 (Physical Characteristics Comparison of Virtual Wedge Device with Physical Wedge)

  • 최동락;신경환;이규찬;김대용;안용찬;임도훈;김문경;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78-83
    • /
    • 1999
  • 목적 : 지멘스사의 가상쐐기의 임상적용을 위하여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기존쐐기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6 그리고 15MV x-선(Siemens PRIMUS)을 사용하여 각각의 명목상의 쐐기각(15, 30, 45, 그리고 60$^{\circ}$)에 대해서 가상쐐기와 기존쐐기에 대한 측정이 수행되었다. 쐐기인자는 조사면의 크기와 측정 깊이를 변화시키면 서 물속에서 전리함을 이용하여 측정되었으며 가상쐐기의 경우 빔이 조사되는 동안 upper jaw가 움직이기 때문에 쐐기각도는 일정시간 동안 방사선을 조사하여 누적된 값을 기록하였다. 쐐기각도는 조사면의 크기가 15cm${\times}$ 20cm이고 측정깊이가 10cm일 때 전리함을 물 속에 위치시킨 후 빔의 중심 축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off-axis 상에서 측정되었다. 쐐기의 사용으로 인한 표면선량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쐐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가상쐐기와 기존쐐기를 각각 사용하였을 때 팬톰 표면과 특정깊이에 각각 평판형 전리함(Markus chamber, PTW 23343, Freiburg, Germany)과 파머형 전리함(NE2571, Nucleal Enterprise, England)을 빔의 중심축 상에 위치시킨 후 방사선량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이때 조사면의 크기는 15cm${\times}$20cm이었고 폴리스티렌 팬톰을 사용하였다. 결과 : 가상쐐기와 기존쐐기의 조사면의 크기에 따른 쐐기인자의 변화량은 각각 최대 2.1${\times}$와 3.9${\times}$이었으며 깊이에 따른 변화량은 각각 최대 1.9${\times}$와 2.9${\times}$ 였다. 가상쐐기와 기존쐐기의 l0m 깊이에서의 명목상의 쐐기각에 대해 모두 정확하게 일치하였다. 기존쐐기를 사용했을 때 표면선량이 가상쐐기나 쐐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최대 20${\times}$ 정도(x-선 에너지 : 6-MV, 명목상의 쐐기각:45$^{\circ}$, SSD:80cm) 감소하였다. 결론 : 지멘스사의 가상쐐기와 기존쐐기의 특성을 측정결과를 근거로 비교하였다. 가상쐐기는 기존쐐기에 비해 쐐기인자의 깊이 의존성이 적었으며 조사면의 크기 의존성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쐐기각도의 정확성은 가상쐐기와 기존쐐기 모두 명목상의 쐐기각과 잘 일치하였다. 가상쐐기와 쐐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기존쐐기를 사용한 경우가 표면선량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 PDF

가변형 쐐기필터의 선량분포에 관한 특성 (Characteristics of dose distribution for virtual wedge)

  • 김부길;김진기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2권2호
    • /
    • pp.125-131
    • /
    • 2001
  • 방사선을 이용한 치료기인 의료용 선형가속기에 부착하여 선량분포 조절에 사용하는 가변형 쐐기필터(virtual wedge)의 선량분포 특성를 분석하고 쐐기각의 자료를 비교하여 가변형 쐐기필터 적용에서 오는 선량분포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준전리함인 단일채널 PTW-UNIDOS과 3차원 선량계측시스템인 RFA-7 그리고 실험적으로 구성된 다중채널 검출기의 특성실험을 통하여 선량분포도 및 쐐기각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험적 검출시스템의 측정인자를 보정하였다. 가변형 쐐기필터의 쐐기각은 15$^{\circ}$, 30$^{\circ}$, 45$^{\circ}$ 에서 고정형 쐐기필터에 비교하여 1$^{\circ}$ 이내로 안정하였고, 60$^{\circ}$ 경우는 6 MV에서 1.2$^{\circ}$, 10WV 에서 2.2$^{\circ}$ 의 변화를 보였다. 측정에너지 영역 6, 10 MV 의료용 광자선을 적용하여 선량백분율과 빔평탄도 측정결과 검출기의 신뢰도가 평균 $\pm$2.1 % 이내였다. 고정형 쐐기필터를 이용한 쐐기각 변화율방법 적용시 방사선치료 과정에서 나타나는 선량오차 및 정상조직의 피폭을 줄이고 장비의 과도한 부하를 감소시키며 가변형 쐐기필터의 다양한 치료방법의 적용을 모색할 수 있었다. 가변형 쐐기필터 이용과 측정된 선량분포의 특성 분석으로 기존 고정형 쐐기필터 이용방법 및 기능을 보완하였고 실험적으로 구성된 계측시스템 측정장비의 대체방법 보정으로 가변형 쐐기필터의 다양한 치료방법적용과 보조물 사용에 따른 정확성과 효율을 높이는데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PDF

Wedge Prism을 이용한 FHD급 연성 내시경 광학계 설계 (FHD Flexible Endoscopy Design Using Wedge Prism)

  • 박성우;정미숙
    • 한국광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95-302
    • /
    • 2022
  • FHD급 고해상도 연성 내시경을 설계하기 위한 wedge prism 적용 방법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연성 내시경 광학계의 경우, 넓은 피사계 심도 범위에서 동일한 결상 성능을 얻기 위해 F 넘버를 크게 가져가거나 액체 렌즈를 적용하였다. 하지만 이는 추가적인 light guide와 기구물을 필요로 하여 광학계의 직경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성 내시경 광학계에 2매의 wedge prism을 적용하여 각 물체거리별로 상거리를 조절하였다. 먼저 설계한 내시경 광학계에 2매의 wedge prism을 대칭으로 배치하고, 각 물체거리별로 목표 결상 성능을 만족하는 상거리 값을 도출하였다. 그 다음, 상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wedge prism 디센터 값을 도출하였다. 이 두 가지 데이터를 조합하여, 각 물체거리에서 목표 결상 성능을 만족하는 wedge prism 디센터 값을 다중구성으로 적용하였다. Wedge prism을 적용한 최적 설계 결과, 100 mm-7 mm의 전체 피사계 심도 범위에서, 분해능 178 cycles/mm에 대한 변조전달함수 20% 이상의 목표 결상 성능을 만족하였다.

고강도 강연선용 앵커헤드의 형상변화에 따른 비선형 거동특성 분석 (Nonlinear Analysis of Anchor Head for High Strength Steel Strand)

  • 노명현;성택룡;김진국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63-173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프리스트레싱용 고강도 강연선의 정착장치 중 강연선을 직접 정착하는 앵커헤드(anchor head)에 대해 거동특성을 분석하고, 앵커헤드의 제원을 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해석적 검토에 요구되는 프로세스에 대해 정립하였다. 앵커헤드는 쐐기와의 접촉(contact)을 통해 강연선으로부터의 힘이 전달되고 거동변화에 따라 접촉상태 또한 변하게 된다. 이를 고려한 상세 거동분석을 위해 쐐기와 헤드 사이의 접촉(contact)조건을 설정하였으며, 앵커헤드의 비선형 재료모델을 적용하여 기하 및 재료 비선형성을 고려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로부터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앵커헤드의 거동은 앵커헤드와 쐐기 간의 상호거동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초기 설계단계부터 상대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쐐기홀(wedge hole)의 배치는 층배열(layered) 보다는 원형배열(circular)이 보다 응력분배에 효과적이고, 쐐기홀의 간격을 증가시키고 헤드 하면 구멍의 크기를 줄여 구멍사이 강재의 두께를 다소 늘이는 것이 구조거동에 효과적이다.

웨지 와이어를 이용한 선박용 필터 스크린 제작을 위한 최적 지지 위치 및 안정성 판단 (Determination of Optimal Support Position and Stability for Manufacturing Filter Screen for Ships Using Wedge Wires)

  • 손인수;서병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2_2호
    • /
    • pp.263-269
    • /
    • 2022
  • In this study, the optimal support position determination and stability determination of the wedge wire screen were performed for the production of the wedge wire filter screen with improved mesh screen. In order to manufacture a filter screen using a wedge wire, the support rod wedge wire is first installed according to the filtering capacity, and then spot welding is performed while rotating the profile wire. In the existing manufacturing method, it was manufactured using a 3m rod wedge wire and then cut according to dimensions, but it required the manufacture of a 6m cylindrical screen. Due to the increase in wedge wire length,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stress concentration at sagging and fixed positions. In order to shorten the time of analysis, a single wedge wire was applied instead of a plurality of wedge wir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terpretation were present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After selecting the support point at the 2m position,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ntire filter screen to confirm stability.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ximum deflection of the wire for the production of a 6m wedge wire screen and secure design basic data so that it can work safely through optimal support.

Electronic Wedge Brake의 모델링 및 제어기 설계 (Modeling and Controller Design of the Electronic Wedge Brake)

  • 한광진;허건수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12-118
    • /
    • 2012
  • The electronic wedge brake is one of the brake-by-wire systems with a self-energizing effect. The electronic wedge brake has faster response than the conventional hydraulic brake and requires only about one-tenth the power to operate. However, the electronic wedge brake cannot be implemented unless the self-energizing effect is reliably controlled. The self-energizing mechanisms may result in unintentional lock up and are very sensitive to environment and parametric variations of the friction coefficient. In this study, the electronic wedge brake is modeled into dynamic equations, and a sliding mode controller is designed based on the model.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ler is verified in sim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