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vulnerability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3초

취약점 분석을 통한 Web Site 해킹 연구 (A Study of Web Site Hacking Through Vulnerability Analysis)

  • 송진영;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03-306
    • /
    • 2010
  • 웹사이트를 통한 해커들의 악의적인 웹 취약점 공격으로 개인정보와 개인자산이 유출되고 있다. 일부국가에서는 해커부대가 운용되어, 타 국가의 웹사이트를 통해 기밀정보 및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접근하여 자료를 획득하고 있다. 국내 웹사이트들은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웹사이트 관리의 문제로 인해 많은 취약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XSS, SQL Injection, Web Shell 공격에 대한 취약점을 분석하고, XSS, SQL Injection, Web Shell 공격을 직접 공격한다. 공격 후에 해킹을 시연한 자료를 수집, 분석을 하여 보안 대응책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웹사이트 보안과 안전한 웹사이트 관리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연구에 이바지 할 것이다.

  • PDF

모바일 웹서비스 메시지의 보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ity Evaluation for Mobile Web Services Message)

  • 이성현;이재승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765-76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웹서비스 메시지에 대한 보안 수준을 측정하고, 보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모바일 웹서비스 메시지에 대한 보안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서 모바일 웹서비스 보안 서비스의 개요와 보안 위협을 정의한 후, 모바일 웹서비스 메시지 보안 평가 방법을 정의하였다. 또한, 모바일 웹서비스 메시지 보안 평가를 위한 요구사항들을 정의하였고, 모바일 웹서비스 메시지 보안 평가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웹서비스 메시지 보안 평가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평가 시나리오에 대한 예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바일 웹서비스 메시지 보안 평가 방안을 통해서, 모바일 웹서비스가 제공되기 이전에 모바일 웹서비스 메시지에 대한 보안 수준을 점검할 수 있으며,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모바일 웹서비스 메시지에 대한 보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바일 웹서비스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웹 취약점 점검 및 취약점별 조치 우선 순위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b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Prioritization of Measures by Vulnerabilities)

  • 성종혁;이후기;고인제;김귀남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7-44
    • /
    • 2018
  • 오늘날 우리는 웹 사이트의 홍수 속에 살고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웹 사이트에 접속을 하고 있다. 하지만 웹 사이트의 보안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여러 악의적인 공격들로부터 웹 사이트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없다. 특히 금전적인 목적, 정치적인 목적 등 다양한 이유로 웹 사이트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한 해킹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SQL-Injection, 크로스사이트스크립트(XSS), Drive-By-Download 등 다양한 공격기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기술 또한 갈수록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해킹 공격들을 방어하기 위해서는 웹 사이트의 개발단계부터 취약점을 제거하여 개발하여야 하지만, 시간 및 비용 등 여러 문제들로 인해 그러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웹 취약점 점검을 통해 웹 사이트의 취약점을 파악하고 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취약점 및 진단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웹 취약점 진단 사례를 통해 각 사례별 조치현황에 따른 개발단계에서의 취약점별 조치 우선 순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디지털 포렌식 기법을 통한 기업 정보유출에 대한 취약점 탐지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Vulnerability Detection Against Leakage of Proprietary Information Using Digital Forensic Methods)

  • 박윤재;채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464-472
    • /
    • 2017
  • ICT(정보통신기술) 융합보안 환경에서 수많은 기업들이 회사 내에서 생산되는 중요 자료인 제품정보, 제조기술, 서비스 매뉴얼, 마케팅 자료, 홍보자료, 기술적 자료들을 외부공개 및 공유를 위해 웹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에 공개된 웹 시스템은 사이버 보안 관리에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고, 상시 취약점을 가지고 있어서 정보보호 솔루션과 IT 취약점 점검을 수행하고 있지만, 외부 환경에서의 취약점 탐지 관리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디지털 포렌식 기반의 시스템을 자체 구축하고 포렌식 기법을 활용하여 기업의 중요정보 유출 탐지에 대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국내와 해외에서 운영하는 웹 시스템의 취약점으로 인하여 기업의 비밀자료 등 중요 정보가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보안관리 개선 사항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최근 증가하는 해킹사고 대응으로 디지털 포렌식 기법을 적용한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정보보안 취약 영역의 보안관리 강화와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개선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기초 및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웹기반 지원 도구(VESTAP)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Supporting Tool (VESTAP)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ment in Lower and Municipal-Level Local Governments)

  • 오관영;이명진;한도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16
  • 기후변화는 환경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화두이며, 인류에게 직면한 가장 도적적인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차원의 1~2차 국가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하고, 각 광역 및 기초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 시행대책 수립을 의무화하고 있다.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는 기후변화 적응 시행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취약성 평가는 다양한 영향인자의 복합적 연산을 통해 도출됨으로 개별적인 평가를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초 및 광역 지자체 차원에서 활용 가능한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VESTAP)를 개발하였다. VESTAP은 크게 지표 DB와 취약성 평가 및 표출 도구로 구성되어 있다. 지표 DB는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4.5와 8.5로 모의된 총 455개의 미래 기후자료, 대기 환경자료, 기타 인문사회통계 자료와 그에 따른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한다. 표출 도구는 각 취약성 평가의 결과에 대한 공간분포, 편향성, 도표화 등 다양한 분석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을 극대화 하였다. VESTAP를 활용하여 세종특별자치시에 대한 미세먼지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를 시범적으로 수행하였으며, 부강면이 상대적으로 취약성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각 지자체는 보다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기후변화 적응 시행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eb browser secureness with respect to CVSS

  • Joh, HyunChul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64-465
    • /
    • 2014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in software vulnerabilities can be used to assess security risks and to determine the resources needed to develop patches quickly to handle vulnerability discovered. Being a new research area, the quantitative aspects of software vulnerabilities and risk assessments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However, further detailed studies are required related to the security risk assessment, using rigorous analysis of actual data which can assist decision makers to maximize the returns on their security related efforts. In this paper, quantitative software vulnerability analysis has been presented for major Web browsers (Internet Explorer (IE), Firefox (FX), Chrome (CR) and Safari (SF)) with respect to the Common Vulnerability Scoring System (CVSS). The results show that, almost all the time, vulnerabilities are compromised from remote networks with no authentication required systems, and exploitation aftermath is getting worse.

SIEM과 OWASP-ZAP및ANGRY-IP취약점분석모듈과 연동구현 (SIEM OWASP-ZAP and ANGRY-IP Vulnerability Analysis Module and Interlocking)

  • 윤종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83-89
    • /
    • 2019
  • 정보보안 컴플라이언스 및 보안규정에 의거 분기 및 정기적 형태의 네트웍 시스템 대상 취약점 점검은 사이버침해공격대응을 위해 상시 실시간 개념으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대두 된다. 이를 위해 상시 운용 관리 체계인 ESM/SIEM을 기반으로 공개된 취약점분석 점검TOOL과의 연동구현 으로 개념 검증 시 새로운 해킹공격대응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취약점점검모듈은 표준화된 이벤트 속성 관리와 운용의 편이성 취약점데이터의 글로벌 공유측면에서 공개SW Module인 owasp zap/Angry ip등을 SIEM 체계에 해당취약점모듈과의 연동 설계 구현방식으로 연구 검토 결과 web 및 network 대상 해당 취약점 모듈에 의해 점검이벤트가 SIEM 콘솔로 전송 모니터 되는 것으로 입증 되었다. 현재 사이버 관제실에서 운용중인 ESM 및 SIEM 시스템을 기반으로 해당 개념을 최적화 적용 운용할시 상용 취약점 툴 구매 비용문제와 패턴 및 버전관리에 대한 한계성 등을 고려할시 본연구가 효율적 측면으로 검토됨과 동시에 현 정보보안 컨설턴트에 의한 취약점분석결과 와 본 연구 사안으로 결과 등에 대해 상호 비교 분석 운용할시 사이버 침해공격에 대한 발전적인 개념으로 판단되므로 이에 대한 관련 사안에 대해 논고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Security Processor Design based on Pseudo-Random Number in Web Streaming Environment

  • Lee, Seon-K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73-79
    • /
    • 2020
  • 현재, 인터넷 세상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급격한 보급과 더불어 보안의 취약성 역시 매우 급속도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트리밍 보안을 위하여, 본 논문은 웹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PN 분산 구조 기반 보안프로세서 (SP-WSC)를 제안한다. 제안된 SP-WSC는 기본적으로 PN 분산 코드 알고리즘을 웹 스트리밍 특성에 맞게 설계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보안을 수행할 수 있다. 제안된 SP-WSC는 웹 서버의 보안 취약성과 독립적이다. 그러므로 SP-WSC는 웹 서버의 취약성에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SP-WSC는 외부의 비인가 신호에 대한 방어력을 증대시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보호한다. 또한 부수적으로 이것은 트래픽 과부하에 의한 버퍼링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웹 환경을 이용한 보안 취약점 점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on the Web)

  • 장승주;최은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27-430
    • /
    • 2007
  • 우리나라가 IT 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은 여러 이유가 있지만, 그 이유들 중에서 "Web"의 탄생을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 "Web"이라는 매개체는 서비스를 제공자들 사이에서 상호연결을 쉽게 해주고, 새로운 직업과 기회를 주었다. 하지만 접근하기 쉬운 Application과 Application들 간의 통합이 됨에 따라 보안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보안상의 취약점을 점검하는 도구들이 존재하고 있다. 보안상의 취약점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개발되어 졌지만, 악의적인 용도로 사용되어 질 수도 있다. 악성코드의 경우 전년도 동기 대비 50.9%, 스파이웨어의 경우 9.7%정도 증가했다고 밝혔다. 본 논문은 보안 취약점 점검 도구들을 이용하여 웹 상에서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점검을 통해서 결과를 보여주는 환경을 개발한다. 또한 공개된 보안 취약점 점검 도구의 융합을 통한 통합된 보안 취약점 점검 기능을 점검하는 웹 환경을 개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