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9초

노인전문요양병원의 웹 콘텐츠 접근성 개선방안 (Improvement of Web Contents Accessibility in Geriatric Hospitals)

  • 최철재;박진섭;정운숙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959-964
    • /
    • 2015
  • 2008년에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제정되었고, 2013년 4월 11일부터 웹 접근성 준수가 시행되었다. 따라서 모든 법인과 단체는 2015년까지 웹 접근성 준수를 충족해야 한다. 본 논문은 한국형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WAH 4.4를 적용하여 노인전문요양병원의 웹 접근성을 평가하였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웹 콘텐츠 접근성지침 2.0에 따라 노인전문요양병원을 평가한 결과 매우 낮은 웹 접근성 준수율을 보였다.

국내 대학 도서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실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eb Accessibility of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 김영곤;오창규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7-217
    • /
    • 2011
  • 웹 접근성이란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들이 차별없이 정보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153개 대학 도서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실태를 살펴보고, 웹 접근성 확보를 위한 관련 법 제도와 이를 준수하기 위한 효과적인 실무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태조사는 2단계로 실시되었다. 1차적으로는 153개 대학의 도서관 홈페이지의 일반적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자동화 평가도구인 KADO-WAH 2.0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점검항목별 상세 점검은 1차 평가에서 준수율이 100%라고 판단된 19개 대학의 도서관 홈페이지에 대해 국한하였다. 평가 결과 국내 대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웹 접근성을 완벽하게 준수하는 사이트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국내 대학 도서관에서 KWCAG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본 연구결과를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음성 서비스, 화면 확대 축소, 하이라이트 기능과 같은 기본 요구사항을 우선적으로 그리고 거의 모든 콘텐츠에 실천되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국내 종합병원의 웹 접근성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ent State of Web Content Accessibility on General Hospital Websites in Korea)

  • 김용섭;오군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87-10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웹 접근성 동향을 살펴보고 웹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제도와 웹 접근성 실태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웹 접근성 지침을 근거로 종합전문요양기관 종합병원 등 80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웹 접근성 실태를 조사하였다. 평가항목은 접근성 베이스 평가기준으로 웹 접근성 지침1의 대체텍스트 제공, 지침2의 프레임사용제한, 키보드로만 운용 등 3개 항목, 사용성 베이스 평가기준으로 음성서비스 제공, 글자크기 조정, 다국어 웹사이트 제공, 웹 접근성 방침 공시 등 4개 항목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웹 접근성 준수율을 나타내기 위하여 KADO-WAH2.0을 사용하였다. 평가결과 웹 접근성 준수율이 전체적으로 미흡한 수준이었으나, 과거와 비교하여 상당한 수준까지 개선되었다. 그리고 준수하는 의료기관과 그렇지 못한 의료기관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한편 많은 병원들이 웹 접근성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공공성 공익성이라는 특성을 가진 의료기관에 대해서도 웹 접근성 확보를 위한 독자적인 접근성 지침의 수립, 웹 접근성에 대한 인식의 제고,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 법 제도적 보완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웹 접근성 평가항목 선정을 위한 GT와 QFD 적용 프로세스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es of Applying GT and QFD Methodologies for Selecting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Items)

  • 임종덕;안재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3-84
    • /
    • 2020
  • With the recent announcement of the WCAG2.2 Work Draft of the W3C, revision of the WCAG2.2 guidelines will be made soon. Consequently, the revision of KWCAG2.1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of web accessibility is urgent. The revision primarily involves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items. In this study, the efficient procedures and useful methodologies for developing and selecting the evaluation items are to be presented. FGI (Focus Group Interview) has been devised to reflect every stakeholders opinion fairly. GT (Group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expedite the revision processes particularly in the FGI.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method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items and its characteristics, and in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each item. This study proposes 5 principles, 17 guidelines and 39 evaluation items which can be used for the revision of KWCAG 2.1.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in establishing the KWCAG 2.2 in the near future.

웹 접근성과 웹 표준화 향상을 위한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연구 (A Study on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and Web Standards)

  • 이용희;김환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2
    • /
    • 2014
  • 최근에는 인터넷 웹 컨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와 공공기관 대학교, 그리고 기업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한국형 웹 접근성 지침인 KWCAG2.0은 1.0에 비해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명확한 대체 텍스트 제공, 데이터 테이블의 명확한 구분 및 키보드 접근과 사용 등에 대한 지침을 더욱 준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급속도로 변화되는 웹 및 모바일 환경에서 모든 사람이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 시스템(CMS : Content Management System)을 개발 하였다. 이를 위하여 KWCAG(Korean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W3C XHTML-1.0-Strict DTD, W3C CSS2를 기반으로 웹 접근성 및 웹 표준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 하였다. 본 시스템은 WYSIWYG 방식으로 제작이 되어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고 웹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바일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본 국내 시도 교육청의 웹 접근성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b Accessibility Statu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from the Universal Design View)

  • 서미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405-410
    • /
    • 2013
  • 2008년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웹 접근성이 법적으로 의무화한 결과, 중앙행정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을 대상으로 웹 접근성 준수 수준에 대해 실태 조사한 결과 매년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법적 제도 장치는 장애인에 대한 편의성 증진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모든 사용자를 만족하게 한다는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에는 맞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웹 접근성 지침(UD-WCAG)을 통해 국내 17개 시도 교육청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실태를 조사하였다. 실태조사는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자가진단 도구를 통한 검증,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웹 접근성 지침(UD-WCAG)을 통한 검증, 스크린리더를 사용한 검증 등 총 3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자가진단 도구를 통한 검증에 비해 UD-WCAG을 통한 조사결과가 전반적으로 준수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 2.1의 공간정보 웹 시각화 적용 기초 (Application Basics of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1 to Web Visualization of Geo-based Information)

  • 박한샘;김광섭;이기원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123-135
    • /
    • 2016
  • 최근 위치정보 기반 광고, 개인용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공간정보 응용 서비스는 스마트폰의 보편적인 기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고부가 콘텐츠와 연계하여 온라인 지도 편집과 같은 전문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정보 기반 웹 서비스들을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사용하는 것을 쉽지 않다. 물론 이 같은 실정이 공간정보 관련 서비스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모든 사람들이 동등하게 다양한 분야의 웹 서비스를 제공받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웹 콘텐츠를 다루는 데 필요한 기술적 사양이 필요하다. 이에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에서는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을 개발하여 공표하였으며,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은 이를 참조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증심사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외를 막론하고 다른 웹 서비스 분야에 비해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웹 콘텐츠 접근성 적용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나 실무 적용 서비스 사례가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웹 콘텐츠 접근성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 여러 응용 분야 중에서 공간정보 웹 시각화 분야를 중심으로 이 지침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원격 교육 콘텐츠의 접근성 분석 사례 (A Case Study on the Accessibility of Online Learning Content in Korea)

  • 신승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92-101
    • /
    • 2003
  • 국내의 웹기반 교육용 콘텐츠 10개를 선정하여 접근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1) 자동 분석 프로그램인 Bobby를 사용한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CAG) 1.0 준수 여부에 대한 기초 자료 산출 (2) SGML 표준 문법 검사 (3) 텍스트 브라우저를 포함한 여러 브라우저에서의 호환성 시험 (4) W3C가 제안한 접근성 체크포인트를 중심으로 한 직접 분석 순으로 접근성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콘텐츠가 모든 단계에서 매우 저조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접근성이 낮은 주된 이유는 웹 표준, 브라우저 호환성, 장치 독립성에 대해서 거의 고려를 하지 않고 콘텐츠를 개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 검사 대상 콘텐츠들은 대부분 가장 잘 꾸며진 환경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시청각적인 효과에 치중한 결과, 제한된 사용자 환경에서의 대안적인 접근 경로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보편적인 정보 취득을 포함한 점점 더 많은 학습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현실에서 접근성이 낮은 콘텐츠들은 정보 격차를 더 심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학습용 콘텐츠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접근성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 PDF

웹접근성 지침에 따른 사이트와 도구 제작 (Sites and tool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 김웅재;오지환;이명훈;이민성;정수지;지민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54-1056
    • /
    • 2014
  • 웹 접근성은 장애인의 시각에서 정보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격차를 줄이는 것을 뜻한다. 현재 웹 접근성에 대한 정책은 관공서, 공기업을 시작으로 시행되어 왔던 웹 접근성 준수 의무가 2014년 올해부터 제재가 강해졌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3 자료에 따르면 국내 SNS 이용률은 일반 국민 100% 대비 28.8%로 일반 국민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모바일과 SNS의 등장이 웹 환경에 변화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문제는 너무 빠르게 소비되고 빠르게 콘텐츠들이 생산되어 지는 프로슈머의 환경이 정보적 소외계층의 이용률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이런 문제들을 웹 접근성 표준에 문제가 되지 않는 사이트를 만들고 편리한 웹 접근성 도구들을 제공하자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 (A Study on Enhancing Web Accessibility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Public Libraries)

  • 조윤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35-354
    • /
    • 2009
  • 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정보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한 것은 아주 치명적 불이익이 된다.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홈페이지 접근에 가장 취약한 계층은 화면 읽기 프로그램과 같이 보조 기기를 사용하는 전맹이나 시각적으로 장애를 가진 이용자들이다. 본 연구는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567개 일반 공공도서관 중 지역별 도서관수의 10%범주 내에서 62개를 평가 대상도서관으로 선정하였다. 현재 공공도서관 홈페이지는 웹 접근성의 국가 표준 지침이 거의 준수되고 있지 않았고, 시각장애인에 의한 평가에도 접근성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웹 콘텐츠 접근에 이중적 불이익을 받고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을 인식, 운용, 이해의 용이성과 기술적 진보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