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ther information

검색결과 1,758건 처리시간 0.027초

IoT 기반 대기 오염 관련 스마트 생활 정보 서비스 구현 (Implementation of Smart Information Services on Air Pollution based on IoT)

  • 고가영;창병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9-17
    • /
    • 2019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로 스마트 홈, 스마트 공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 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IoT 기술을 기반으로 날씨 정보, 대기 오염 정보를 제공하는 앱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oT 기술을 활용하여 시각적인 대기 오염 및 날씨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가전 자동화 등의 유용한 서비스를 개발함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대기 오염 정보를 이용한 가전 자동화, 메시지 및 알람, 시각적인 대기 오염 정보 및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서비스를 설계, 구현하였다.

WISE 관측자료를 이용한 수도권지역의 복사에너지수지 분석 (Analysis of Radiation Energy Budget Using WISE Observation Data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지준범;이한경;민재식;채정훈;김상일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7권6호
    • /
    • pp.103-114
    • /
    • 2017
  • Radiation energy budget was analyzed using observation data from the Weather Information Service Engine (WISE) energy flux tower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mong observation data from the 13 energy flux towers, we used meteorological variables, radiation data (upward and downward short wave, upward and downward long wave, net short wave, net long wave and net radiation), albedo and emissivity for 15 months from July 2016 to September 2017. Although Gajwa (205) and Ttuksumm (216) sites located in urban, the albedo was relatively high due to the surround environment by glass wall buildings and the Han river around the sites. And Bucheon (209) site located in the suburb represented generally low emissivity. As a result, the albedo decreased and the emissivity increased in the city center.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net radiation energy is $73.9W/m^2$ that the radiation budget of the surface is absorbed into the atmosphere. According to WISE observation data, it can be seen that observation at each sites are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Study on Growth and Development Information and Growth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Influencing on the Production of Citrus Fruits

  • Kang, Heejoo;Lee, Inseok;Goh, Sangwook;Kang, Seokbeom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6권1호
    • /
    • pp.1-1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growth prediction model that can predict growth and development information influencing on the production of citrus fruits. The growth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floral leaf ratio, number of fruit sets, fruit width, and overweight fruits depending on the main period of growth and development by considering the weather factors because the fruit production is influenced by weather depending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period. To predict the outdoor-grown citrus fruit production, the investigation result for the standard farms is used as the basic data; in this study, we also understood that the influence of weather factors on the citrus fruit production based on the data from 2004 to 2013 of the outdoor-grown citrus fruit observation report in which the standard farms were targeted by th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nd suggested the growth and development information prediction model with the weather inform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build the observation model. The growth and development model for outdoor-grown citrus fruits was assumed by using the Ordinary Least Square method (OLS), and the developed growth prediction model can make a prediction in advance with the weather factors prior to the observation investigation for the citrus fruit production. To predict the growth and development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of citrus fruits having a great ripple effect as a representative crop in Jeju agriculture, the prediction result regarding the production applying the weather factors depending on growth and development period could be applied usefully.

SNMP를 이용한 엔터프라이즈 Network Weather Map 시스템 (Enterprise Network Weather Map System using SNMP)

  • 김명섭;김성윤;박준상;최경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5C권2호
    • /
    • pp.93-102
    • /
    • 2008
  • 네트워크사업자, 인터넷 사업자, 및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의 트래픽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Network Weather Map (NWM)과 대역폭 시간추이 그래프를 많이 사용한다. 이들은 라우터나 스위치장비 내에 동작하는 SNMP 에이전트가 제공하는 MIB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DB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도록 웹으로 결과를 보여주는 형태로 구축된다. 현재의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는 multi-Gbps를 지원하는 이더넷 스위치 중심의 트리 토폴로지 형태로 구축되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재의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에 적합한 SNMP 기반의 Network Weather Map 구축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엔터프라이즈 Network Weather Map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을 기술한다. 특히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와 Core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상의 차이를 고려하여 효율적인 Network Weather Map 디자인을 제시하고, multi-Gbps 고속 링크를 지원하는 현재의 라우터/스위치장비에 SNMP MIB-II 사용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의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SNMP의 사용에 따른 트래픽 발생량, 그리고 네트워크 장비의 부하를 조사함으로써 SNMP의 효율적 사용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학교 캠퍼스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Network Weather Map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적응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기상 레이다에서의 클러터 제거 (Clutter Removal in a Weather Radar Using an Adaptive Array Antenna)

  • 이종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C호
    • /
    • pp.398-402
    • /
    • 2011
  • 기상 레이다에서 급변하는 기상 상황에 관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해당 영역에서 높은 해상도를 갖는 풍속 측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확한 펄스 페어 추정치를 얻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강력한 고정 및 이동 클러터들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클러터 제거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위상배열 안테나를 적용할 수 있다. 모의 구현한 클러터 및 기상신호들을 이용하여 적응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기상 레이다에서의 클러터 제거 능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적응배열 기상 레이다에서 얻은 펄스 페어 추정치와 원래의 추정치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구 통계 모형을 이용한 양파 재배지 농업기상정보 생성 방법 (Production of Agrometeorological Information in Onion Fields using Geostatistical Models)

  • 임지은;윤상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09-518
    • /
    • 2018
  • Weather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crop cultivation. Weather information for cultivated areas is necessary for growth and production forecasting of agricultural crop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cultivated areas because weather equipment is not installed. This study tested methods of predicting the daily mean temperature in onion fields using geostatistical models. Three models were considered: inverse distance weight method, generalized additive model, and Bayesian spatial linear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nd an agricultural weather station between 2013 and 2016. To evaluate the prediction performance, data from AWS and ASOS were used as the modeling data, and data from the agricultural weather station were used as the validation data. It was found that the Bayesian spatial linear regression performed better than other models. Consequently, high-resolution maps of the daily mean temperature of Jeonnam were generated using all observed weather information.

유비쿼터스 기반의 기상정보 시스템에 필요한 요소기술에 관한 연구 (Department of Electronics Engineering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Center, Myoungji University)

  • 박보현;소대화;홍상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64-768
    • /
    • 2006
  • 최근 전 지구적 기후변화와 함께 빈번 해지는 집중호우, 태풍 등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 규모가 점차 대형화되면서 기상정보 및 예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보다 정확한 기상정보의 관측 및 예측과 이를 실시간으로 통보해주는 실시간 기상정보 예측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한 당면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폭넓은 활용은 인간이 직면하고 있는 자연재해로부터 입을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과 기상정보 관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유비쿼터스를 기반으로 한 기상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기술들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한 기상정보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제반 핵심 기술 및 실현시기를 도출하며, 기상정보 시스템의 활용방안을 알아본다.

국지기상 모니터링을 위한 WSN 기반 필드서버 제작 (Design of WSN based Field Server for Local Weather Monitoring)

  • 안성모;김재경;유재호;정상중;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93-500
    • /
    • 2011
  • 최근 갑작스러운 국지성 기후변화나 기상악화로 인해 다양한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해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난피해의 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국지적지역에서의 돌발적인 기후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기존의 광역 기상예보시스템에 의해서는 어려움과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소규모 센서네트워크를 활용한 국지적 기상 모니터링에 관한 방법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4 기반의 신뢰성 있는 기상데이터의 계측과 모니터링을 위한 기상 필드서버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된 기상 필드서버는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센서노드와 온도, 습도, 조도, 이슬점, 기압, 수위 등의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기상센서보드로 구성되며, 이를 통합한 필드서버를 구축하여 국지적 기상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서버 PC에서는 각각의 기상관련 정보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국지적 지형이나 지역에서 갑작스러운 기후변화를 감지하고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여 국지성 재해로부터 피해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기상정보를 활용한 도시규모-EMS용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 (PV Power Prediction Models for City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 엄지영;최형진;조수환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4권3호
    • /
    • pp.393-398
    • /
    • 2015
  • City or Community-scale Energy Management System(CEMS) is used to reduce the total energy consumed in the city by arranging the energy resources efficiently at the planning stage and controlling them economically at the operating stage. Of the operational functions of the CEMS, generation forecasting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is an essential feature for the effective supply scheduling. This is because it can develop daily operating schedules of controllable generators in the city (e.g. diesel turbine, micro-gas turbine, ESS, CHP and so on)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ow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system, considering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the uncontrollable renewable energy resources. This paper is written to introduce numerical models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ediction based on the weather forecasting informa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s using the average radiation or average utilization rate, the proposed models are developed for CEMS applications using the realtim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Seasonal Weather Factors and Sensibility Change Relationship via Textmining

  • Yeo, Hyun-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219-224
    • /
    • 2022
  • 한국 기상청은 '생활산업 기상정보서비스'나 '위기탈출 안전날씨'와 같은 일상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해외에서는 독일의 '신체기상정보', 영국의 '건강 기상정보'와 같이 인간의 신체와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정보 역시 제공하고 있다. 비록 인간의 감성 변화가 심리학 연구 영역에서 다양하고 방대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빅 데이터 분석 기반에 근거한 기상정보에 따른 인간의 감성 예측모형은 요원한 상태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상요소에 따른 인간의 감성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기상청의 기상 데이터셋과 SNS상 크롤링된 일자별 텍스트를 통해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기상 요소들로 인간의 감성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만들고 검증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존 연구와 그 결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