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xy laye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9초

Waxy Maize Starch의 대체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특성 (The Properties of Yellow Layer Cakes Made by Different Substituting Levels of Waxy Maize Starch for Shortening)

  • 송은승;강명화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4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재료 중 쇼트닝 대신 시판 탄수화물계 지방대체물인 waxy maize starch의 사용 가능성을 측정하고, 저 열량 레이어 케이크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비율로 대체하여 제조한 케이크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지방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케이크의 비중은 증가하지만 점도는 감소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측정 결과, 지방 대체물이 증가함에 따라 air cell과 함께 지방구의 수와 크기는 감소하였고, 점도가 높을수록 치밀한 구조를 보였다. 또한, 물성특성 측정결과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hardness, springiness, cohe-ssiveness, gumminess, chewiness 및 resilience는 감소하였다. 관능적 평가에서 색의 경우에만 waxy maize starch 대체 45%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지방 대체율이 크게 증가했을 때 전반적인 관능적 평가에서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 대체물인 waxy maize starch는 저 열량 레이어 케이크 제조 시 적은 비율의 쇼트닝 대체로 사용한다면, 새로운 저 열량 레이어 케이크 제조를 위한 새로운 소재로 사용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밭벼 찹쌀의 겨층 구조와 전분의 호화 성질 (Bran structure and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upland waxy rice starch)

  • 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1호
    • /
    • pp.75-76
    • /
    • 1991
  • Bran structure and gelatinization property of upland and lowland japonica waxy brown rice were compared. Dimension, weight and number of aleurone layer were similar between upland(Nonglimna 1) and lowland(Shinsunchalbyeo) rices, but the aleurone layer and pericarp of upland rice were thicker. Water uptake rate of upland rice at $60^{\circ}C$ was lower than that of lowland one.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rinsic viscosity between two rice starches. Upland rice starch had lower onset temperature, narrow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lower water content lot gelatinization compared with lowland rice starch.

  • PDF

메조 및 차조 첨가가 White Layer Cake의 품질특성과 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illet and Waxy Millet on Properties of White Layer Cake)

  • 이명호;장학길;유양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95-402
    • /
    • 2005
  • 국내산 메조, 차조 10-50%를 첨가한 white layer cake을 제조하여 메조 차조 첨가가 제품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부피의 경우 차조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부피를 보였으며 메조 및 차조 첨 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무게는 메조, 차조 40%까지 대조구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체적은 메조 및 차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Crumb color의 경우 메조 및 차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어두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a 값은 메 조 첨 가구에서 모두 '-'값을 보여 청색 계열을 나타냈으나 차조의 경우 10, 20%첨가구를 제외한 30% 이상 첨가구에서는 '+'값으로 적색계열의 색을 나타냈다. b 값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나 황색 계열의 색이 우세하였다. Curst color는 crumb color에 비해 L값은 낮게 나타냈고, a 값은 9.4-6.3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b 값 또한 높게 나타났다. Texture는 메조 10%, 차조 10-20%에서 hardness값이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이는 메조, 차조 첨가가 조직감 향상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노화 특성은 메조, 차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노화 속도가 빠른 경 향을 좌였고, 메조보다 차조의 hardness가 높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5℃와 25℃에서 12일 동안 저장 중 노화 특성을 살펴보면 25℃에서 메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10 -40% 첨가구는 완만히 증가한 반면 50%, 첨가구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조의 경우는 0 day에서 경도는 메조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차조 20-50% 첨가구의 경우 경도 증가폭이 높아 메조보다 노화 진행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5℃ 저장 중 경도의 증가폭은 25℃보다 증가폭이 크고 저장 3일까지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6일 이후 크게 증가하였다. 위 의 결과로 5℃, 25℃ 저 장 중 노화도는 5℃ 저장 중 노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관능평가에서 외부 특성은 대조구보다 메조가, 메조보다 차조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어두워지고 딱딱해졌으며, 내부적인 특성의 경우 메조, 차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공이 작고 고르지 못한 조직과 향미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메조, 차조를 첨가한 white layer cake 제조 시 10-20% 첨가구가 케이크의 부피, 색, 기공, 경도 등을 고려하여 적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찹쌀의 겨층 구조 및 전분의 몇가지 성질 (Bran structure and some properties of waxy rice starches)

  • 김성곤;손정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05-108
    • /
    • 1990
  • 찹쌀현미의 호분층 수는 등부가 배부보다 많았고, 호분층 및 과피의 두께도 배부보다 등부 쪽이 두꺼웠으나 겨층구조는 품종마다 독특하였다. $60^{\circ}C$에서의 현미의 수분흡수속도는 다수계(한강찰벼와 백운찰벼)는 서로 비슷하였고 일반계(신선찰벼)보다 빨랐다. 고유점도는 한강찰벼가 1.92, 백운찰벼가 1.84, 신선찰벼가 1.73$dlg^{-1}$이었다.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전분의 호화온도는 백운찰벼가 가장 높았고, 한강찰벼가 가장 낮았다. 호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분함량은 한강찰벼가 38.0%, 백운찰벼가 36.3%, 신선찰벼가 37.8%이었다.

  • PDF

Storage properties of brown rice cultivar as affected by milling degree and storage conditions

  • Choi, Induck;Yoon, Mi-Ra;Kwak, Jieun;Chun, Areum;Jeon, Yong-Hee;Jeong, Tae-Wook;Kim, Sun-L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62-262
    • /
    • 2017
  • Brown rice contains a variety of nutritional and bio-functional components compared to milled rice. However, low consumer preference for steamed brown rice and short shelf life has been implicated as deterrents to the direct consumption of brown ric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degree of milling (DOM) on pasting and aging properties of brown rice cultivar. Short-grain (Japonica type) brown rice cv. Boseogchal (BSC), Baegjinju (BJJ), and Hiami (HIAM) were evaluated every month during 4 months storage. Rice cultivar were categorized into waxy (BSC), medium-waxy (BJJ), and non-waxy (HIAM) of which amylose contents were 6.81%, 10.06%, and 16.69~16.72%, respectively. Peak viscosity was the highest in BJJ followed by HIAM, and BSC, showing peak viscosity was lower at low temperature storage. At storage at room temperature from 60 to 120 days, the FFA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rice samples with DOM1% followed by 3% and 5%, while not significant increase in DOM0% brown rice: at 120 days, the FFA ranged in 28.35~41.48, 111.99~130.06, 76.87~91.99, and 47.13~62.37 mg KOH/100g for DOM 0%, 1%, 3% and 5%, respectively. It indicated that the fat rancidity was the least in the order of DOM 0%, 5%, 3% and 1%. Storage at low temperature could reduce fat hydrolysis with lower FFA release, but rice grain with 1% MD also released more FFA compared to the other samples.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most outer bran layer, approximately 1~3%, could provide a strong protection from fat rancidity. Pasting viscosity of rice sample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DOM rate. Results indicated that DOM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lipid rancidity during storage, resulting in high FFA formation. It suggested that brown rice with DOM 0% and/or more than DOM 5% could provide the best shelf life.

  • PDF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도되는 농약의 엽면 침투성 연구 현황 (Review of the study on the surfactant-induced foliar uptake of pesticide)

  • 유주현;조광연;김정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24
    • /
    • 2002
  • 농약의 식물 엽면 침투성에 관하여 보고한 국내외 논문을 조사하여 최근에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침투율 측정법과, 계면활성제에 의해서 유도되는 농약의 엽면 침투기작에 관한 연구 동향을 고찰하였다. 농약의 식물 엽면 침투성 연구에는 생물검정법, 식물 잎이나 cuticular membrane을 이용하는 방사능 추적 기술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수용성 색소 Congo Red를 추적물질로 이용하는 새로운 침투율 측정법이 제안되었다. 농약의 엽면 침투에 있어서 최대의 장벽은 epicuticular wax와 cuticular wax를 포함하는 잎 표면의 왁스층이며, 일부 연구자들은 이를 limiting skin이라 부르기도 한다. 농약의 몰부피(molar volume), 수용해도 및 분배계수 등의 이화학적 성질은 식물 엽면 침투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제한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낼 뿐이며, 일반화할 수 있는 어떠한 상관관계도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Polyoxyethylene을 친수기로 가지는 지방족 알콜 계면활성제들은 많은 농약에 대하여 좋은 침투성 증진제로 알려져 있다. 침투성 증진제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가 농약의 엽면 침투성을 증진하는 데에는 계면활성, 가용화 능력, 흡습성 및 미셀생성임계농도 등 계면활성제 고유의 성질이 크게 관여하는 것 같지는 않다. 최근의 연구에서 침투성 증진 효과가 큰 계면활성제는 식물의 왁스층에 쉽게 흡수되어 가역적으로 왁스층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가소제 역할(plasticizing effect)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계면활성제가 왁스층에 먼저 침투하면 wax층의 유동성이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wax층 내에서 농약의 이동성과 분배계수가 달라짐으로써 농약의 엽면 침투 속도가 변화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계면활성제의 친유기 부분인 지방족 알콜의 탄소수와 친수기의 ethylene oxide 부가중합도가 농약의 침투성 증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는 상세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계면활성제 자체의 엽면 침투 속도가 농약의 침투속도와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Comparison of IgE induction in mice by pollens from three pine tree species

  • Kim, Seo-Yoong;Oh, In-Bo;Choi, Kee-Ry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9호
    • /
    • pp.265-270
    • /
    • 2017
  • Background: Over the years, pine pollens have been excluded as an allergen due to its relatively large size, low protein content, and waxy hydrophobic layer, despite their abundance. However, recent studies suggest the possibilities of pine pollens being allergens,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allergy symptoms were highly prevalent in areas with considerably large pine forests and high possibility of exposure to the pollen. Therefore,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llergenicities of the pollens from the dominant species of Korean pines, red pine (Pinus densiflor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and pitch pine (Pinus rigida), in mice. Methods: The protein composition of the pollens from the three pine species was compared via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The pine pollens and proteins extracted from the pollens were introduced to BALB/c mice by nasal inhalation and application to exposed skin and the IgE produced by the mice were extracted from blood and analyzed via ELISA. Results: SDS-PAGE showed differing protein compositions of the pollens of the three pine species. Analysis of blood IgE compositions showed a similar amount of IgE produced when pollens were applied to skin. In contrast, when mice inhaled the pollens, P. densiflora was shown to induce significantly more IgE production than those of the other two species. Conclus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ollens of all three South Korean pine species induce IgE production, and this production was more pronounced when the pollens were inhaled than when they were applied to the skin. Of the three species, the pollen of P. densiflora was found to induce the highest level of IgE production.

Protoporphyrinogen Oxidase 저해형 제초제에 대한 밀과 보리의 흡수 및 해부하적 차이 (Difference of Absorption and Anatomical Responses to Protoporphyrinogen Oxidase-Inhibiting Herbicides in Wheat and Barley)

  • 구자옥;국용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8-78
    • /
    • 1997
  • Protoporphyrinogen oxidase (protox) 저해형 제초제로 알려진 oxyfluorfen(OF), acifluorfen(AF), bifenox(BF) 및 oxadiazon(OD)에 대한 밀과 보리의 감수성 차이를 생리적 요인, $^{14}$ C-oxyfluorfen의 흡수 및 해부학적 변화를 온실 및in votro 상태에서 알아 보고자 하였다. 1. OF에 대한 밀과 보리의 품종간 I$_{50}$ 검정결과, 밀품종들의 I$_{50}$$10^{-4}$ M의 진후를 보였고, 보리 품종들은 $10^{-6}$ 진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2. OF에 내성인 밀은 AF, BF 및 OD경엽처리에서 감수성인 보리보다 생체중 및 엽록소 함량 감소가 적었다. 그러나 이들 제초제들은 OF보다 밀과 보리간에 특이적인 반응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토양처리에서도 경엽처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3. OF, AF, BF 및 OD의 100$\mu$M 처리에 따른 밀과 보리의 엽절편으로부터 시간별 전해질의 누출은 밀보다 보리에서 뚜렷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OF처리에서는 밀이 보리보다 광노출 10시간까지 차이를 보였으나 그 밖의 약제들은 광노출 후 20시간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4. 지질과산화 작용의 지표인 MDA의 생성량은 이들 약제를 $10^{-5}$M농도로 처리시 밀보다 보리에서 많았다. 따라서 밀과 보리는 온실 및 in vitro 수준에서 Protox저해형 제초제에 대한 뚜렷한 감수성 차이를 보였다. 5. OF에 대하여 내성인 밀은 감수성 보리보다 $^{14}$ C-OF의 흡수량이 적었고, 이러한 경향은 처리시간이 경과될수록 뚜렷하였다. 6. 밀은 OF 및 OD처리에 따른 잎표면의 구조적인 피해를 볼 수 없었으나, 보리는 납질의 손상이 컸다. 그러나 AF 및 BF처리에서는 밀과 보리간의 차이가 적었다. 또한, 4약제 처리에는 따른 밀은 해부학적 변화가 적었으나, 보리는 표피세포 및 엽육세포의 파괴로 엽신의 두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