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xy black ric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1초

찰흑미와 일반찰벼의 열수가용성 물질 (Hot-water soluble on Waxy Black Rice and Waxy Rice Flours)

  • 오금순;김관;최경철;나환식;강길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43-345
    • /
    • 2002
  • 가용성 탄수화물 함량은 찰흑미와 일반찰벼 쌀가루를 $90^{\circ}C$에서 10분, 20분 및 30분 동안 열처리한 결과 찰흑미는 17.1%, 21.5%, 24.7%이였으며, 일반찰벼는 18.6%, 21.7%, 23.4%의 함량을 보여 두 시료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찰흑미와 일반찰벼 모두 가용성 탄수화물 함량의 대수값은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다. 쌀가루를 가열온도($80^{\circ}C,\;90^{\circ}C,\;95^{\circ}C$$98^{\circ}C$)에 따라 일정 시간(10분, 20분 및 30분) 가열하여 얻은 가용성 탄수화물의 Sepharose CL-2B 컬럼에 의한 용출양상은 찰흑미와 일반찰벼 모두 void volume($V_0$) 부근에서 대부분 용출되었으며,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열온도가 높아질수록 가용성 탄수화물의 용출양상은 증가하였다. 또한 $180{\sim}210\;mL$ 부근에서도 일부가 용출되었다.

찰흑미 전분의 호화 특성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Waxy Black Rice Starch)

  • 최경철;나환식;오금순;김성곤;김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7-92
    • /
    • 2005
  • 찰흑미(상해항혈나) 전분의 호화 특성을 알아보고자 신선찰벼 전분을 대조구로 SEM, X-ray 회절도, 시차주사열량계와 신속점도계를 이용하여 호화특성을 비교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입자형태의 변화에서는 6$0^{\circ}C$에서 찰흑미 전분에 비해 신선찰벼 전분의 입자 붕괴가 더 심하였으며, 시 차주사열량계에 의한 관찰에서는 신선찰벼와 찰흑미 전분의 호화개시온도는 62.$0^{\circ}C$와 63.$0^{\circ}C$, 피크온도는 69.$0^{\circ}C$, 69.4$^{\circ}C$, 호화절정온도는 78.7$^{\circ}C$, 78.9$^{\circ}C$, 호화엔탈피는 각각 8.55 J/g, 8.87 J/g로 서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 전분의 X-선 회절양상은 두 시료 모두 전형적인 A형을 보였고, 가열온도에 따른 양상에 있어서 6$0^{\circ}C$$65^{\circ}C$에서 신선찰벼 전분에 비해 찰흑미 전분의 결정형이 상대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었으나 $65^{\circ}C$를 경계로 결정형 영역은 완전히 사라졌다. 신속점도계를 이용한 호화특성에서는 최고점도, breakdown, 최종점도, setback은 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선찰벼와 찰흑미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Shinsun (Waxy) and Black Rice Starch)

  • 최경철;나환식;오금순;김성곤;김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953-959
    • /
    • 2003
  • 흑미 (상해항혈나)와 신선찰벼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신선찰벼와 흑미 전분의 일반성분은 시료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무기성분은 신선찰벼 전분의 경우 Ca, Mg, P, Na 순으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흑미 전분의 경우 Ca, P, Fe, Mg 순으로 나타났다. 입도분포는 두 시료 모두 1.15∼l.75$\mu\textrm{m}$의 작은 피크와 6.27∼6.97$\mu\textrm{m}$ 입자의 큰 피크를 보이는 이중 분포를 보여 두 품종 모두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전분의 요오드 반응에서 최대흡수파장과 λmax에서의 흡광도는 신선찰벼 전분이 각각 518 nm와 0.164, 흑미 전분이 521nm와 0.184로 흑미 전분이 다소 높았으며, 625nm에서의 흡광도 값은 신선찰벼 전분이 0.112, 흑미가 0.140으로 나타났다. 고유점도는 신선찰벼 전분이 178 mL/g, 흑미 전분이 183 mL/g으로 흑미 전분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물결합능력은 103.5%와 103.3%로 두 시료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분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두 시료 모두 55∼6$0^{\circ}C$에서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6$0^{\circ}C$를 경계로 $65^{\circ}C$까지 급격히 증가하여 7$0^{\circ}C$이후에는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신선찰벼와 흑미 전분의 X-선 회절도는 전형적인 A형을 보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입자의 형태 관찰에서는 두 시료간에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흑미와 녹차 혼합분을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 및 품질 특성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with Waxy Black Rice Flour and Green Tea Powder)

  • 김원모;이윤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13
    • /
    • 2008
  •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waxy black rice flour(WBRF) and green tea powder were investigated. The bread was manufactured with 1% of green tea powder and 10, 20, 30 or 40% of WBRF(w/w). The group of 40% of WBRF and green tea powder significantly showed the highest bread weight and volume. Lightness(L value) and yellowness(b value) decreased, but redness(a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WBRF contents in mixtur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the lowest in the control group, but springiness was the lowest in the group of 40% of WBRF and 1% of green tea powder. The sensory scores of appearance, external and crumb color, grainy in the group of 40% of WBRF and 1% of green tea powder were the significantly lowest. Overall acceptabilities of the groups of 10% and 30% of WBRF with 1% of green tea powd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 group of 40% of WBRF and 1% of green tea powder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TEAC content. Thus, if the mixture of green tea powder and WBRF would be used, it might be proper to use 1% of green tea powder and 10% of WBRF mixture considering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read.

  • PDF

Agronomic and Chemical Properties of a New Black Waxy Giant Embryo Mutant, Milyang 263, in Rice (Oryza sativa L.)

  • Park, Dong-Soo;Park, Soo-Kwon;Yi, Gihwan;Hwang, Un-Ha;Kim, Sang-Min;Han, Sang-Ik;Seo, Woo-Duck;Lee, Jong-Hee;Cho, Jun-Hyun;Song, You-Chun;Yeo, Un-Sang;Jang, Ki-Chang;Kwon, Taek-Min;Nam, Min-Hee;Park, Sung-Tae;Kang, Hang-Won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63-469
    • /
    • 2010
  • Rice is a staple food for more than 50% of the world's population. Embryo comprises only 2 to 3% of the weight distribution of the entire pericarp but has higher concentration of vitamins, proteins, and essential fatty acids than the other parts of grains. Moreover, ${\alpha}$-tocoperol, ${\gamma}$-oryzanol, phytic acid and ${\gamma}$-aminobutric acid that have nutraceutical value are abundant. Increasing the volume of embryo assures the fortification of nutritional value of rice grain. We developed new black waxy giant embryo rice, Milyang 263 by crossing Josaengheugchal, a black waxy rice variety, and $ge^t$, a giant embryo mutant generated by tissue culture. The nutrient contents and physical properties of Milyang 263 were compared with several giant embryo mutants and normal embryo rice varieties. Changes in the nutrient properties after germination were also observed. Results indicated that this new black waxy giant embryo rice, Milyang 263, offers a promising source for improving nutritional quality of rice especially anthocyanin, essential minerals, and GABA.

보리의 종류를 달리한 보리식혜의 이화학적 특성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khyes made of Different Various of Barley)

  • 김안나;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0-41
    • /
    • 2015
  • 보리의 이용증대와 식혜 제조 시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인 엿기름 함량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리의 종류(자수정보리, 검정보리, 늘보리, 늘찰보리, 쌀보리, 쌀찰보리)를 달리하여 전통음료인 식혜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리 입자의 장폭비를 측정한 결과, 검정보리가 가장 높았으며, 자수정보리가 가장 작았다. 보리밥알의 수분은 54.96~71.74%의 함량을 보였다. 당화액의 pH는 5.40~5.63의 범위였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15.37~18.73 brix%의 범위로, 늘찰보리로 제조한 식혜의 당화액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가장 높으며, 검정보리로 제조한 식혜에서 가장 낮았다. 환원당 측정결과, 4.35~7.42 mg/ 100 g의 값을 보였으며, 늘찰보리에서 가장 높은 환원당의 값을 검정보리에서 가장 낮은 환원당 값을 보여, 가용성 고형분함량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밥알과 당화액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검정보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보리식혜의 특성차이 검사 결과, 밥알의 통통함은 검정보리가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늘찰보리가 낮게 평가되었다. 밥알의 삼킨 후의 느낌은 검정보리가 강하게, 늘찰보리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밥알의 통통함 항목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호도 검사 결과, 외관은 쌀찰보리와 쌀보리로 만든 식혜가 높았으며, 냄새는 자수정보리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텍스처에서는 쌀보리와 쌀찰보리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쌀보리로 제조한 식혜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위와 같이 보리의 품종에 따라 식혜 품질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늘찰보리와 쌀보리로 식혜 제조 시 엿기름의 함량을 늘리지 않으면서도 당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asting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s Harvested in Korea

  • Chung, Hyun-Jung;Lim, Seung-Tai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4호
    • /
    • pp.231-235
    • /
    • 1999
  • Three black rices(Suwon 415, Iksan 427 and Sanghaehyanghyeolla) harvested in Korea were examined in their pasting characteristics, and minor nutrients(vitamins and minerals) in comparison to those of a brown rice (Dongjinbyo), whereas Iksan 427 and Sanghaehyanghyeolla were waxy rices(0.4 and 0.6%, respectively). Iksan 427 and Sanghaehyanghyeolla showed similar viscosity pattern with significantly low pasting temperatures and viscosity. Brown rice showed higher pasting viscosity and pasting temperature than black rices, and its viscosity pattern was similar to Suwon 415. Brown rice and Suwon 415 displayed higher hardness but lower adhesiveness of their gels. Black rices contained more non-carbohydrate components and dietary fiber than brown rice. From the amino acid analysis, black rices contained more acid amino acids (aspartic and glutamic acids) than brown rice. Among the black rices, Suwon 415 ha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essential amino acids(4.3%). Black rices also contained higher amounts of vitamin B complexes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 and minerals(K, Mg and Ca) than brown rice. Sanghaehyanghyeolla showed an exceptionally high amount of Ca (12mg%).

  • PDF

흑찰미 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주 동정 및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properties and identific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or black waxy rice vinegar)

  • 이경은;김소망;허창기;조인경;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43-451
    • /
    • 2015
  • 흑찰미를 이용한 식초를 개발하기 위해 초산생성능이 우수한 초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여 균주별로 제조한 식초의 품질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산 생성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정하기 위해 초산균 분리용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8종의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와 시판균주 2종의 초산 생성능을 확인한 결과 가장 높게 나타난 시판균주 2종, 분리균주 F-1 및 H-4를 식초 발효 균주로 선정하였다. 분리균주의 종을 확인하기 위해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분리균주 모두Acetobacter 속으로 동정되었으며, F-1 및 H-1 균주를 Acetobacter sp. F-1, Acetobacter sp. H-1으로 명명하였다. 초산균 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흑찰미식초의 산도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발효 16일까지 꾸준히 높아지다가 일정한 산도를 유지하였으며 시료구간의 최종 산도는 FV-1 식초의 총산 함량이 7.4%로 가장 높았다. 색도의 경우 L값 75.01~80.11, a값 3.34~3.92, b값 12.84~18.09 범위로 나타났다. 균주별 흑찰미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으로 나타났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HV-4, FV-1, CV-2 및 CV-1 식초 순으로 나타났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분리균주 F-1 식초가 351.43 m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균주 C-2 식초가 247.74 m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균주에 따른 흑찰미식초의 관능평가 결과는 분리균주 H-4로 제조한 식초는 전반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분리균주 F-1로 제조한 식초가 향, 색 및 종합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낸 F-1 균주가 흑찰미식초 제조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Occurrence and Detection of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in Korea

  • Lee, Bong-Choon;Hong, Yeon-Kyu;Hong, Sung-Jun;Park, Sung-Tae;Lee, Key-Wo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72-173
    • /
    • 2005
  • Until now, occurrence of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BSDV) is observed in Gyeongsang provinces, southeastern part of Korea. However, recently, the occurrence of RBSDV is increasing and spreading in Jeonra provinces including Gochang-gun, southwestern part of Korea. RBSDV infected plants showed typical symptoms including stunted, deformed leaves with white waxy or black-streaked swelling along the veins. We extracted viral genomic dsRNA from infected leaves and analyzed dsRNA pattern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en genomic segments with similar sized dsRNAs were observed. We also detected RBSDV by reverse transcription (RT)-PCR using specific primers for S10 from genomic dsRNA and observed amplified DNA fragment specific for RBSDV S10.

현미와 흑미의 발아과정 중 amylolytic activity (Amylolytic Activity of Brown Rice and Black Rice during Germination)

  • 이향미;임지순;박종대;금준석;이현유;이영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33-338
    • /
    • 2013
  • 영양기능성이 우수한 전곡립인 현미와 흑미를 이용하여 발아 조건에 따른 전분분해효소 활성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현미의 ${\alpha}$-amylase 활성은 3일간 발아과정 중 증가하였으며 찹쌀 현미가 멥쌀 현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흑미의 ${\alpha}$-amylase 활성 역시 3일간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현미와는 달리 멥쌀 흑미가 찹쌀 흑미에 비해 높았다. 현미와 흑미의 ${\beta}$-amylase는 3일간의 발아 중 다소 미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찹쌀 현미와 흑미에서 높게 나타났다. 현미와 흑미의 발아과정 중 ${\alpha}$-amylase와 ${\beta}$-amylase 활성은 발아온도 $30^{\circ}C$$20^{\circ}C$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당화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도를 총칭하는 당화력은 찹쌀 현미와 흑미가 멥쌀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30^{\circ}C$ 발아온도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발아조건에 따른 발아 전곡립의 호화양상을 신속점도측정계로 측정한 결과 RVA 점도는 발아기간이 1-3일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발아 전곡립 효소활성도가 증가함에 따른 RVA의 점도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