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to rice ratio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韓國産) 미곡(米穀), 통일계(統一系)와 일반계(一般系)의 취반특성(炊飯特性) 및 Texture 에 관(關)한 연구(硏究) (Cooking Quality and Texture of Japonica-Indica Breeding Type and Japonica Type, Korean Rice)

  • 이병영;윤인화;암기철야;압거욱삼;소원철이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13-618
    • /
    • 1989
  • 한국산 미곡 통일계 및 일반계 품종들의 미질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5년에 3개 작물시험장(수원작물시험장, 영남작물시험장 및 호남작물시험장)에서 생산된 통일계 13품종과 일반계 10품종을 재료로 하여 백미의 취반특성 및 밥의 texture 특성을 조사하였다. 취반특성 중 흡수율 및 취반시 사용한 용액 중 용출고형물은 각각 $p<2.172^*$$p<2.419^*$로 계통간에 유의차를 보였는데 흡수율은 일반계가 통일계보다 높았으며, 용출고형물은 통일계가 일반계보다 높았다. 밥의 texture 특성에서 hardness와 cohesiveness는 $p<4.370^{***}$$p<2.371^*$로 계통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hardness는 일반계가, cohesiveness는 통일계가 높았다. Amylose 함량과 adhesiveness 사이에는 통일계에서 $r=-0.922^{**}$ 일반계에서 $r=-0.915^{**}$으로 역상관을 이루었으며, 단백질 함량과 hardness 사이에는 통일계에서 $r=0.954^{**}$, 일반계에서 $r=0.915^{**}$로 정상관을 이루었다.

  • PDF

라이시미터 조건에서 토성이 벼의 생육 및 논토양의 지하삼투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Texture on Rice Growth and Paddy Soil Percolation under Lysimeter Condition)

  • 채제천;김성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36-240
    • /
    • 2001
  • 논토양의 토성에 따른 벼의 수량, 관개용수량 및 지하삼투수량의 차이를 구명코자 사양토, 식양토, 식토 등 3종류의 토성에서 1999년과 2000년 라이시미터(lysimeter)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의 초장과 분얼 및 쌀 수량은 토성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벼 생육기간 중 총관개용수량은 1년차에는 식양토, 사양토, 식토 순으로 각각 3,306, 2,650, 2,002 l/$m^2$ 이었고 2년차에는 사양토, 식양토, 식토 순으로 각각 5,281, 4,984, 3,968 l/$m^2$이었다. 3.벼 재배기간 중 총지하삼투수량은 1년차에는 식양토, 사양토, 식토가 각각 2,141, 1,228, 862 l/$m^2$ 이었고, 2년차에는 사양토, 식양토, 식토에서 각각 4,448, 3,833, 2,925 l/$m^2$이었다. 4. 지표면하 10cm까지의 깊이에 분포하는 벼 뿌리의 비율은 사양토 56.0%, 식양토 61.4%, 식토 72.0%로 식토일수록 표층부 분포 비율이 높았다. 5. 논토양에서 지하삼투수량은 토성의 영향도 있으나 토양 중 벼 뿌리 생장량의 영향도 있어서, 뿌리 생장량이 많았던 처리구의 지하삼투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정 Penman 및 Penman-Monteith 논벼 증발산량 방법 적용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용수공급능 분석 (Analysis of Water Supply Reliability of Agricultural Reservoirs Based on Application of Modified Penman and Penman-Monteith Methods)

  • 조건호;한경화;최경숙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6호
    • /
    • pp.93-101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applications of two different evapotranspiration (ET) estimation methods on the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IWR) for paddy rice and water supply reliability of agricultural reservoirs. The modified Penman (MP), traditional method, and the Penman-Monteith (PM), the new adopted method, were applied on 149 reservoirs located in Honam province for this study. The weather date was used from 1987 to 2016, and analysed the trends of temperature and rainfall during rice growing season between past and current 10 years respectively. The increased average temperature and rainfall were observed from the current 10 years compared to the past years. This phenomena impacts on the results of ET and IWR estimations with decreased IWR obtained from high rainfall regions and increased ET obtained high temperature regions. For the comparisons of application results of two ET approaches, the PM method showed lower ET and IWR, and hence more reliable storage capacity of the reservoirs respect to water supply to paddy field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influences of different ET methods applications on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of reservoirs are negligible for the cases of over 3.7 watershed ratio and 670 mm unit reservoir storage, while significant variations of the results obtain from the applications between two ET approaches for the opposite case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field conditions for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PM method estimating ET in the fields of paddy farming.

Effect of Deep Sea Water Seed Priming on the Growth of Rice (Oryza sativa L.) Seedlings

  • Yoon Byeong-Sung;Shrestha Surendra Lal;Kang Won-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87-691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rice (cv. 2005 Thaoi) seeds to study whether priming with deep sea water (DSW) results in enhancement of seed emergence and seedling growth and to identify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Deep Sea Water (DSW) for priming.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subsequently. In experiment 1, four concentrations of the DSW (10%, 20%, 30% and 40%), and in experiment 2, five concentrations of DSW (10%, 15%, 20%, 25% and 30%) were prepared and seeds were primed for 24 hours duration at $25^{\circ}C$. Beside this, hydro priming with plain water was also included as a control. Experiments were laid out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with three replications. Result showed that 20% DSW seed priming treatment had improved the emergence, seedling height, number of roots and root length as compare to other with DSW or without DSW treatments. Beyond 20% DSW priming (i.e. 25%, 30% and 40%) were not suitable for priming the seed. On the basis of seedlings growth parameters; emergence, seedling height, root number and length, and shoot root ratio, 20% DSW priming was the best priming treatment.

신품종 통일 벼(IR667)의 용수량측정시험 (Experiment for the duty of Water in paddy fields of New Variety Tongil (IR667))

  • 황은;김철규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39-2444
    • /
    • 1971
  • 기적의 법씨라 불리우는 통일(統一)(IR 667)의 출현(出現)으로 답용수량산출(畓用水量算出)에 변동(變動)이 생기지 않을까하여 본시험(本試驗)을 실시하였던바 다음과같은 사실(事實)을 알게되었다. (1) 엽수면증발량(葉水面蒸發量)과 증발계증발량(蒸發計蒸發量)의 비(比)는 식양토(埴壤土) ET/V=1.84, 양토(壤土) ET/V=2.00로 지금까지의 어느 품종(品種)보다 그 값이 컷다. (2) 생육기별(生育期別) ET/V를 볼 때 분약후기(分藥后期)와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3.30{\sim}3.77$로 그 값이 커진다. (3) 증산비(蒸散比)는 식양토(埴壤土) 260.4, 양토(壤土) 275.0으로 모두 300이하(以下)이었다.

  • PDF

냉수처리에 따른 쌀의 품질특성 변화 (Effects of Cold Water Irrigation on Quality Properties of Rice)

  • 정응기;김덕수;이정일;김선림;김기종;예종두;손종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19-124
    • /
    • 2006
  •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작물과학원 춘천출장소 냉수처리 포장에서 냉해피해 정도가 다른 시료를 채취하여 벼의 도정특성, 쌀의 이화학적특성, 쌀가루의 아밀로그램특성 및 밥의 식미관능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냉수관개에 의한 냉해 발생은 불임율이 높을수록 출수 지연일수가 길고, 간장의 단축정도는 심했으며, 이삭의 추출은 불량하였다. 2. 쌀의 외관품질은 불임을 20% 이상부터 완전미율이 낮아지고, 유백미율과 깨어진 쌀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쌀의 이화학적특성은 냉수관개로 냉해를 유발하고 생산된 쌀이 자연구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0.9{\sim}2.0%$ 높았으며, 백미의 투명도가 떨어지며, 밥의 윤기치도 낮았다. 4. 쌀가루의 아밀로그램특성은 저온피해를 받은 쌀은 호화개시온도가 높고, 최고점도와 강하점도는 낮았으며, 치반점도는 높았다. 5. 식미관능검정에서는 냉해로 인해 불임율이 높을수록 식미관능이 자연구에 비해 많이 떨어졌다. 평가항목 중에서 밥맛의 차이가 큰 것은 밥의 찰기와 식미총평 이었으며, 차이가 적었던 것은 밥의 냄새였다.

Comparison of the Binding Strength of Hydrogen in Grain Near Wolsung Nuclear Power Plants

  • Park, Gyujun;Ha, Gag-Hyeon;Kim, Hee-Geun;Lin, Xiu-Jing;Kwak, Ji-Hun;Kim, Wan;Kang, Hee-Dong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31-435
    • /
    • 2003
  • Because the Tissue Bound Tritium of food irradiates the organic tissues of a man during a longer time than the Tissue Free Water Tritium, we found the ratio of labile and bound hydrogen, which is the direct source of TBT concentration, in grain such as rice and barley. Tissue free water was extracted from rice and barley sampled, adjacent to Wolsung nuclear power plants of CANDU type, by freeze-drying. Tissue bound water was taken from some of the dried samples by high-pressure combustion. The other of the samples was washed by tritium-free water for 2-3 hours, and dried again by freeze-drying. Tissue bound water was taken again from some of the second dried samples by the combustion. The extracted tissue free and bound waters were distilled and TFWT and TBT concentrations of them were counted by a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Through alternating washing, drying and combustion until the concentration of TBT would be constant, the tritium concentration existing as bound hydrogen was found. The ratios of labile and bound hydrogen of rice and barley were determined by TR concentration, initial TBT concentration and bound tritium concentration. The ratios of bound hydrogen of rice and barley were 0.55, 0.60 relatively.

  • PDF

잣죽의 제조조건이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Pine Nut Gruel)

  • 장선;이범수;금준석;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25-231
    • /
    • 2002
  • 잣죽의 제조조건이 죽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잣죽의 제조조건인 주입액의 양, 잣 첨가량 및 호화를 위한 가열조리시간을 요인변수로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하여 실험을 설계하고 이화학적 특성을 반응변수로 하여 그 조사 결과에 대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입액의 양, 잣 첨가량과 가열조리시간이 죽의 점도, 퍼짐성, 고형분 함량에 대한 영향은 5%와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어 제조조건이 모두 점도, 퍼짐성 그리고 고형분 함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에 대한 모델식과 세가지 제조조건은 설정된 범위내에서 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잣죽의 제조에 있어서 제조조건의 변화는 죽의 pH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색도에 대한 영향은 주입액의 양과 잣 첨가량이 조리시간보다 더 큰 영향을 주었고 L값은 76-80사이, a값은 마이너스 수치, b값은 2-7사이에서 변화하여 죽의 색이 아주 옅은 황색임을 알 수 있었다. 총당과 amylose 함량에 대한 영향이 가장 큰 것은 주입액의 양이었고 잣 첨가량과 가열조리시간의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았다. 이들 이화학적 특성중 고형분 함량은 점도, 총당, amylose 함량 그리고 색도와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고 또 주입액의 양이 고형분 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잣죽의 제조에 있어서 주입액의 양은 가장 주요한 조건이라고 생각된다.

멥쌀과 찹쌀의 혼합비율별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성질 및 유동특성 (Effect of Various Mixing Ratio of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on Phys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Extrudate)

  • 금준석;권상오;이현유;이상효;정진협;김준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2-447
    • /
    • 1994
  • 압출성형 조건을 원료의 수분함량 18%, 스크류의 회전속도 258rpm, 토출구의 온도 $120^{\circ}C$로 하여, 멥쌀과 찹쌀의 혼합비율에 따른 압출성형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원료의 압출성형기 내부에서의 체류시간은 약 30초 정도이며 80초까지 지속되었다. 압출성형물의 팽화율은 찹쌀의 함량이 70%일 때라 2.93으로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100% 멥쌀은 2.10으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절단강도는 찹쌀첨가량 $10{\sim}20%$ 일때는 $1059{\sim}1117g$으로 최대였고, 80%일 때는 737g으로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색도의 변화에 있어 L값 및 a값은 찹쌀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b값은 감소하는 서로 상반된 결과를 가져왔다. 압출성형물의 amylogram의 측정에서 uncooked cold paste viscosity의 값은 100% 멥쌀에서 400B.U.로서 최대값을 나타냈으나, 100% 찹쌀일 경우에는 피크가 나타나지 않았다. 압출성형물의 수분흡수지주(WAI)는 100% 멥쌀 처리구가 4.8, 100% 찹쌀 일때는 1.05로 찹쌀 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수분용해지수(WSI)는 증가하여 WAI와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압출성형물의 유동특성은 Ostwald의 모델식에 가장 가까웠으며 유동거동지수(floww behavior index)는 1보다 적어 pseudoplastic 성질은 나타내었다. 항력계수는 찹쌀의 함량이 20%일때 0.92로서 최대값을 나타냈으며, $89{\sim}100%$일 경우는 $0.08{\sim}0.07$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미세구조에서 기공의 수는 찹쌀함량이 $80{\sim}100%$일 경우 $128{\sim}159$개 였고 $0{\sim}20%$의 경우 $81{\sim}84%$개로서 찹쌀 합량이 증가 할수록 기공의 수도 증가 하였다. 한편, 화적율(shapefact)는 찹쌀 또는 멥쌀만 사용한 경우보다 두 원료를 혼합했을 경우에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백미의 수분 흡수 속도 (Hydration Rate of Milled Rice)

  • 김성곤;한기영;박홍현;채제천;이정행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2호
    • /
    • pp.62-67
    • /
    • 1985
  • 일반계(35 품종) 및 다수계(24 품종) 쌀의 수분 흡수 속도에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각 품종마다 독특한 수분 흡수 속도를 보였으나, 대체로 다수계 품종이 일반계 품종에 비하여 수분 흡수 속도가 빨랐다. 쌀의 수분 흡수 속도는 단백질, 아밀로스, 쌀알의 표면적 및 부피와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쌀알의 길이와 폭의 비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