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soluble PS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수용성 및 알칼리 가용성 점착제의 수용성 및 알칼리 가용성 측정 (Determination of the Solubility of Water-Soluble or Alkali-Solu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 최정혜;이명천
    • 접착 및 계면
    • /
    • 제14권2호
    • /
    • pp.88-94
    • /
    • 2013
  • 최근에 날로 강화되는 환경 규제, 그리고 수요자의 필요에 의해 수용성 그리고 알칼리 가용성 점착제에 대한 많은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그러한 특성을 정량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시험법을 개발하여 KS 및 ISO 시험법으로 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험법을 이용하여 수용성과 알칼리 가용성 점착제의 시간에 따른 수용화와 알칼리 가용화 정도를 측정하였고 측정결과 분석을 통해 본 시험법이 안정된 수용성 및 알칼리 가용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가교제 및 pH 조절제가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 물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rosslinking Agent and pH Controlling Agent on Adhesive Properties of Water Soluble Acrylic PSA)

  • 서인선;박명철;이명천
    • 접착 및 계면
    • /
    • 제4권3호
    • /
    • pp.9-1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점착제의 유지력 개선과 pH 조절을 위해 각각 첨가해 주는 가교제와 pH 조절제의 종류 및 첨가량이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 물성 및 수용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합된 점착 시료에 여러 가지의 가교제와 pH 조절를 첨가해 준 후 초기점착력, 유지력 및 점착력 등의 점착 물성과 수용성을 측정하였다. 가교제를 0.2 wt% 미만 첨가해 주었을 때, 초기 점착력은 감소하였고 유지력과 점착력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0.2 wt% 이상 첨가해 주었을 때는 초기 점착력은 증가하였지만 유지력과 점착력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pH 조절제를 첨가해 주었을 때 pH 조절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점착력과 수용성은 감소하였고 점착력과 유지력은 증가하였으며, LiOH, KOH, NaOH 순으로 점착 물성과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용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와 물성 연구 - 기능성 단량체 변화와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영향 - (Manufacture and Properties of Water Soluble Acrylic Type PSA's - Effect of Functional Monomer Change and Atmospheric Plasma Treatment -)

  • 심동현;설수덕
    • 폴리머
    • /
    • 제33권1호
    • /
    • pp.45-51
    • /
    • 2009
  • BA와 MMA 그리고 1$\sim$5 wt%/monomer의 다양한 관능성 단량체(AA, 2-HEMA, GMA, AAm)를 사용하여 수용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중합하였다. 점착박리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기압 평판형 플라즈마 전처리 방식을 피착제에 사용하였다. 관능성 단량체 종류에 따라 AA>2-HEMA>GMA>AAm의 순으로 높은 점착박리강도를 나타내었다. 유지력은 관능성 단량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적 성질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AA>AAm>GMA>2-HEMA순으로 우수한 유지력을 나타내었다. 피착면에 평판형 플라즈마 전처리 방식을 적용한 결과 AA 9.1%, 2-HEMA 9.4%, GMA 9.4%, AAm 1.8%의 후기점착박리강도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관능성 단량체와 플라즈마 표면 처리법을 사용하여 점착박리강도, 유지력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조절할 수 있었다.

Seed 중합을 이용한 고고형분 수용성 점착제의 합성과 물성 (Property and Polymerization of Hi-solid PSA's using Seeded Polymerization)

  • 정영식;민성기;설수덕
    • 접착 및 계면
    • /
    • 제10권4호
    • /
    • pp.174-181
    • /
    • 2009
  • 고 고형분 점착제의 점도 개선을 위해 seed 중합을 이용하여 수용성 저점도 점착제를 중합하였다. Seed 바인더 중합 중 최적 중합 조건을 산출하고, 점착제 중합 시 seed 바인더와 acrylic acid의 함량을 변화시켜 점도변화와 피착면에 대한 점착박리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점착제 중합에서 seed 바인더의 함량이 7 wt%/monomer일 때 60%의 고형분에서 2,100 cps의 낮은 점도를 나타내고 평활한 점착제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Acrylic acid함량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측정에서는 4 wt%/monomer의 acrylic acid를 사용 했을 때 우수한 점착박리강도와 유지력을 나타내었다.

  • PDF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용제형 및 수용성 접착제의 접착력 향상 (Adhesion Enhancement of Solvent type and Water Soluble Adhesive Using Atmospheric Plasma)

  • 정영식;설수덕
    • 접착 및 계면
    • /
    • 제10권3호
    • /
    • pp.148-153
    • /
    • 2009
  • 용제 및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한 몇가지 고분자 소재에 평판형 플라즈마 반응기로 플라즈마 전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소재표면의 접착력을 향상 시켰다. 분위기 기류를 질소로 하고 유량을 30~100 mL/min, 반응시간은 0~30 s로 하여 밀도를 변화시킨 PU 소재를 주 물질로 하여 EVA foam, Leather (Action), Rubber 소재에 대하여 각 조건별로 플라즈마 처리시켜 처리 전후의 각 소재별 접촉각과 접착박리강도 측정을 통한 각소재의 접착력 변화와, SEM분석을 이용한 처리 전후의 표면 변화를 측정하여 플라즈마 처리의 영향과 효과를 산출하였다. 대기압 평판형 플라즈마 반응기를 이용하여 최적 조건인 기체유량 100 ml/min, 전처리시간 10 s에서 PU foam, EVA form, Leather (Action) 및 Rubber 소재의 접착력 향상을 확인하였다.

  • PDF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한 토양 중 226Ra 분석 방법 연구 (Study of the determination of 226Ra in soil using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 정윤희;김현철;정근호;강문자
    • 분석과학
    • /
    • 제29권2호
    • /
    • pp.65-72
    • /
    • 2016
  • 액체섬광계수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 LSC)를 이용한 토양 중 226Ra 분석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용융법으로 토양에서 Ra을 추출하고, Ba(Ra)SO4로 침전시켜 방해핵종과 Ra을 분리하였다. Ba(Ra)SO4를 산에 녹을 수 있는 Ba(Ra)CO3로 변환시키고, 라돈 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소수성 섬광용액과 혼합한 다음, LSC로 분석하였다. 226Ra과 90Sr 표준시료를 이용하여 최적의 PSA(Pulse shape analysis, 파형분석) 준위를 설정하였다. FOM(Figure of merit, 성능지수)이 최대이고 알파선 중첩정도가 최소로 나타나는 PSA 80을 최적값으로 결정하였다. Glass vial을 사용했을 때 계측 효율은 243±2% 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법은 IAEA-312, IAEA-314, IAEA-315를 이용하여 그 신뢰도를 평가를 하였다. 회수율은 60~82% 이며, 측정값과 참고값과의 상대편의가 10 % 이내였다. 최소검출농도는 토양 1 g, 바탕 계수율 0.02 cpm일 때, 회수율 70 %, 계측시간 30 분을 기준으로 2.1 Bq kg−1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