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immersion thawing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4초

진공 해동과 침수 해동에 의한 냉동 가다랑어(Katsuwonus pelamis)의 품질 차이에 관한 연구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Frozen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Thawed by Vacuum and Water Immersion)

  • 이태헌;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35-639
    • /
    • 2012
  • Thawing is very important in tuna canning because it affects the yield and quality of the canned tuna, and productivity. The effects of vacuum thawing on the quality, yield, and thawing times of frozen skipjack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water immersion thawing. The time required to thaw frozen skipjack tuna (weight 2.5-3.0 kg) from $-10^{\circ}C$ to $-2^{\circ}C$ was 75, 60, and 37 min at a pressure of 17, 23, and 31 mmHg,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emperatures of 20, 25, and $30^{\circ}C$. The thawing time decreased with increasing pressure. Vacuum thawing shorten the thawing time by 58-80% compared with water immersion thawing at $20^{\circ}C$, and there was less difference between the core and skin temperatures than with water immersion thawing. No significant change in pH or histamine was observed according to thawing method, while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rimethylamine (TMA), and K value were lower with vacuum thawing than water immersion thaw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believe that vacuum thawing minimizes the bio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that occur while thawing frozen skipjack tuna.

Effects of Water or Brine Immersion Thawing Combined with Ultrasound on Quality Attributes of Frozen Pork Loin

  • Hong, Geun-Pyo;Chun, Ji-Yeon;Jo, Yeon-Ji;Choi, Mi-J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5-121
    • /
    • 2014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water or brine (2% NaCl, w/v) immersion thawing combined with ultrasound treatment (40 kHz, 150 W)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Ultrasound treatment of pork was conducted in two cold media (at $4^{\circ}C$), water and 2% (w/v) brine, respectively. Because the ultrasound treatment caused temperature increase in the media from $4^{\circ}C$ to $16^{\circ}C$, the qualities of pork thawed by ultrasound were compared with those thawed by immersion either in water or brine where the temperature was being maintained at either $4^{\circ}C$ (low temperature control) or $17^{\circ}C$ (high temperature control). The ultrasound treatment resulted in rapid thawing of pork where the thawing rate was similar to those thawed in the $17^{\circ}C$ media. For quality characteristics, ultrasound-treated pork in brine had an advantage of less cooking losses when comparing to the control. In particular, ultrasound treatment in brine exhibited the lowest shear force (or highest tenderness) among the freezing/thawing treatments. Although the ultrasound processing in brine caused discoloration of the pork, this thawing technique had potential to be applied as a commercial thawing technology for frozen foods.

염수 침지식 및 전극 접촉식 저전압 Ohmic 해동 처리가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rine Immersion and Electrode Contact Type Low Voltage Ohmic Thaw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Meat)

  • 홍근표;민상기;고세희;심국보;서은주;최미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6-423
    • /
    • 2007
  • 본 실험은 전압의 증가에 따른 염수 침지식 및 전극 접촉식 ohmic 해동 처리가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염수 침지식 ohmic 해동방법은 전압에 의한 염수의 온도 상승에 의하여 시료가 해동 됨으로써 시료 표면의 과열 현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고, 해동 후 높은 보수력 및 전단력의 저하가 관찰되었지만, 육색이 다소 저하되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반면 전극 접촉식 ohmic 해동 방법은 해동 과정 중 얼음의 상전이 구간을 빠르게 통과함으로써 빠른 해동이 가능하였고, 해동 후 식육의 품질 저하가 최소화되었지만, 시료의 크기 및 전압의 증가에 따른 심한 표면 과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보였다. 따라서 염수 침지식 해동은 보다 높은 전압을 이용하여 식육을 빠르게 해동하고, 전극 접촉식 해동은 낮은 전압을 이용하여 표면 과열을 억제하면 보다 효과적인 해동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Ohmic Heating을 이용한 동결육의 해동 (Ohmic Thawing of a Frozen Meat Chunk)

  • 윤철구;이도현;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42-847
    • /
    • 1998
  • Ohmic heating은 식품에 교류 전류를 흘려줄 때 식품 내부에 전기 저항열이 발생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이를 기존의 수해동법에 적용하여 해동시간의 단축과 그에 따른 품질 향상 효과를 연구하였다. 자체 제작한 ohmic 수해동 장치에 동결육$(10{\times}10{\times}10{\;}cm)$을 넣고 해동 실험하였다. 윗면이 개방된 acryl box$(12{\times}12{\times}12{\;}cm)$를 용기로 사용하였으며, stainlesssteel 전극$(10{\times}10{\;}cm)$을 양쪽 벽면에 설치하였다. 용기 내 물의 온도를 $20^{\circ}C$ 또는 $10^{\circ}C$로 고정하였다. 해동시간은 동일한 주파수(60 Hz)에서 전압을 높여줄수록$(60{\sim}210{\;}V)$ 단축되었으며, 수해동만을 한 경우에 비해 최고 1/4 이상 단축되었다. 동일한 전압에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60{\sim}60{\;}kHz)$ 해동시간이 단축되었으나 그 효과는 크지 않았다. 수해동만을 한 경우나 높은 전압을 적용한 경우보다 낮은 전압을 적용한 경우 drip loss가 적었고 보수력이 우수하였다.

  • PDF

한우육의 냉동 및 해동 조건에 따른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of Hanwoo Bottom Round under Different Freezing and Thawing Conditions)

  • 천호현;최은지;한애리;정영배;김진세;박석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0-238
    • /
    • 2016
  • 본 연구는 공기를 이용한 송풍식과 초저온 에탄올을 이용한 침지식 냉동방법 및 저온 송풍식과 유수식 해동방법을 조합하고 저장 중 냉동-해동 반복에 따른 한우 설도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송풍식 냉동은 냉동이 완료되는데 약 800분이 소요됐지만 침지식 냉동방법은 8분에 한우 시료를 급속하게 동결시켰다. 한편 송풍식 해동은 한우 시료가 해동이 완료되는 데 약 350분 소요되었지만, 유수식 해동은 약 70분으로 해동시간이 280분 단축되었다. 송풍식 냉동시료는 송풍식 해동과 유수식 해동에 의해 4.05와 4.54%의 드립 감량이 발생했지만 침지식 냉동시료는 송풍식 해동과 유수식 해동에 의한 드립 감량이 2.59와 2.09%로 냉동방법에 따라 유의적(P<0.05) 차이를 보였다. 냉동과 해동 처리로 한우 설도의 보수력은 64.40~66.05%로 감소하였지만 냉동과 해동 조건에 따른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송풍식 냉동-송풍식 해동과 침지식 냉동-송풍식 해동 처리구의 TBARS 값은 각각 1.12와 1.18 mg MDA/kg으로 송풍식 냉동-유수식 해동 처리구와 침지식 냉동-유수식 해동 처리구의 0.82와 0.77 mg MDA/kg과 비교하여 높은 값을 나타냈다.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TBARS 결과와 유사하게 송풍식 해동 처리구가 유수식 해동 처리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냉동과 해동이 조합된 모든 처리구의 총 호기성 세균수는 4.45~4.67 log CFU/g으로 냉동 및 해동 방법에 따라 유의적(P<0.05)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송풍식 냉동된 한우육은 해동 후 근섬유 조직이 불균일하게 찢어지거나 근섬유 간의 간격이 더 넓어졌지만, 침지식 냉동된 한우육은 송풍식 해동 또는 유수식 해동 후 조직의 구조적 손상이나 변화가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저장 중 냉동-해동의 3반복 처리로 드립 감량 증가, 보수력 감소, TBARS 값 및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 증가, 근섬유 조직 손상 등 품질 저하가 발생하였다. 앞으로 고품질 냉동 한우육의 생산 및 유통을 위한 부위별, 포장단위별 중량에 따른 냉동 및 해동 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관능평가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조보강용 FRP 복합체의 동결용해 저항성 평가 연구 (Freezing-Thawing Resistance of Fiber Reinforced Polymers in Strengthening RC Members)

  • 유영찬;최기선;김긍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82-18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FRP 복합체로 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동결융해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동결융해 진행에 따른 FRP 복합체의 인장강도 및 콘크리트에 대한 인발접착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주 실험변수는 동결융해 조건, FRP 복합체의 종류, 동결융해 싸이클로 설정하였다. KS F 2456의 동결융해 시험규격에 따라 실시된 탄소섬유복합체의 인장강도는 최종 싸이클까지 변화가 없었으며, 또한 접착성능의 저하도 관측되지 않아 CFRP의 동결융해 저항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유리섬유복합체의 경우는 최종 싸이클에서의 인장강도 및 인발접착강도가 각각 10%, 15% 저하된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으로 성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접착강도 평가시 지속적인 동결수가 공급되는 상황에서는 상이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pplications of Low-voltage Ohmic Proces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ntrol System to Enhance Salting Process of Pork

  • Hong, Geun-Pyo;Chun, Ji-Yeon;Choi, Mi-J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3-300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low-voltage ohmic heating process (2.5 and 3.8 V/cm) on the thawing characteristics and NaCl diffusion of pork. The thawing rate of pork was dependent on the applied voltages and brine salinities, and few differences were obtained in pork quality parameters (color, water-holding capacity, and shear force) regarding the different treatments. The NaCl concentration of pork after ohmic thawing was higher than that following brine-immersion thawing, however, the NaCl diffusion did not differ from when fresh meat was immersed in brine. For application of the ohmic process in fresh pork, various ohmic pulses were generated in order to prevent the meat from overheating,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hmic process was a better way to enhance NaCl diffusion compared with immersing pork at high temperature. Although the mechanisms involved in NaCl diffusion at low-voltage electric field strength were unclea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ohmic process has a potential benefit in the application of meat processing.

저강도 플라이애시-시멘트 복합체의 내구특성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Low Strength Fly ash-Cement Composites)

  • 원종필;신유길;이용수;안태송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2-147
    • /
    • 2000
  •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flowable fill) with high volume fly ash content was examined. The mix proportions used for flowable fill are selected to obtain low-strength material in the 10 to 15kgf/㎥ range. The optimized flowable fill was consisted of 60kgf/㎥ cement content, 280kgf/㎥ fly ash content, 1400kgf/㎥sand content, and 320kgf/㎥water content. Subsequently, durability tests including permeability warm water immersion, repeated wetting & drying, freezing & thawing for high volume fly ash-flowable fill are conducted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flowable fill has has acceptable durability characteristics.

  • PDF

명태 FILLET 제조를 위한 냉동원료의 해동방법과 가공품의 재동결방법에 관한 연구 (FACTORS INVOLVED IN THAWING OF FROZEN ALASKA POLLACK AND REFREEZING OF THE FILLET)

  • 최위경;박영호;이강호;장동석;김무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7-117
    • /
    • 1975
  • Alaska pollack caught in the Northern Pacific Ocean and frozen aboard vessel are skipped to the plant and processed into frozen fillets. In the present paper quality changes during thwaing, refreezing and storage at $-20^{\circ}C$ are discussed. Natural, running-water, vacuum and steam thawing were employed as thawing methods. And contact plate, air blast, immersion in dry ice-alcohol solution freezing and storage at $-5^{\circ}C$ were applied to refreeze the thawed fillets. As quality factors content of drip released, salt-extractable protein, VBN, DNA in the drip and pH were determined. In addition, bacteriological tests were also carried out along with the whole process. In thawing of round material, the vacuum thawing wa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method, resulting in drip, salt-extractable protein $(N\%)$, VBN and DNA as $4.4\%,\;1.82\%,\;16.21mg\%$ and $13.70\;{\mu}g/ml$, respectively. Storage at $-5^{\circ}C$ as refreezing method yielded lower in drip and DNA content but similar to or slightly higher in both salt-extractable protein and VBN, which might postulate that the quality of the frozen fillet depends not largely on the secondary freezing but on the conditions of thawing and primary freezing. It seemed that most of the bacterial flora in thawed fillet came from skin and viscera of fish, worker's hands, utensils and other processing facilities, since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the frozen flesh of round Alaska pollack. Bacterial quality of fillet varied with thawing methods, vacuum thawing appeared more sanitative compared with other methods as natural, running-water, and steam thawing. Bacterial colonies isolated from the thawed fillet were composed of $73.8\%$ Gram negative rod shape, $4.9\%$ Gram positive rod shape, $18.0\%$ cocci, and $3.3\%$ yeast. Decreasing rate of coliform group of the fillet during the storage at $-20^{\circ}C$ for 30 days was more than $70\%$ and that of plate count was less than of coliform group.

  • PDF

냉동과 해동처리가 계육 가슴살의 natural microflora, 접종된 Listeria monocytogenes와 Campylobacter jejuni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ing and Thawing Treatments on Natural Microflora, Inoculated Listeria monocytogenes and Campylobacter jejuni on Chicken Breast)

  • 최은지;정영배;김진세;천호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2-50
    • /
    • 2016
  • 본 연구는 다양한 냉동과 해동처리에 따른 계육 가슴살에 natural microflora, 접종된 L. monocytogenes와 C. jejuni 수와 미세구조 변화 구명을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20^{\circ}C$ 송풍식 냉동처리구의 총 호기성 세균과 C. jejuni 수는 4.06 log CFU/g과 4.09 log CFU/g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약 0.7 log CFU/g과 1.0 log CFU/g의 감소를 보였다. 한편, 계육 가슴살 접종된 L. monocytogenes 수는 냉동방법과 냉동온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circ}C$$25^{\circ}C$ 송풍식 해동처리구의 총 호기성 세균수는 3.70 log CFU/g과 4.02 log CFU/g으로 측정되어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0.72 log CFU/g과 0.40 log CFU/g 감소한 반면 $25^{\circ}C$ 유수식 해동처리구의 총 호기성 세균 수는 해동과정에서 균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5.78 log CFU/g으로 관찰되었다. 해동 중 C. jejuni 수 변화는 해동방법보다 해동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동-해동 반복 5회 후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는 감소하여 각각 4.15 log CFU/g과 2.30 log CFU/g을 보였다. 계육 가슴살에 접종된 L. monocytogenes 수는 냉동-해동 반복처리에 유의적인 영향이 없었지만 C. jejuni 수는 냉동-해동 반복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냉동-해동 반복이 증가함에 따라 근섬유 조직을 재 손상시켰으며 특히 냉동-해동 반복 5회 후에는 계육 가슴살 시료의 조직세포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공간이 발생하였으며 불균일하게 찢어진 세포가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