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blooming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9초

옥정호의 육수생물학적 연구 (Limno-Biological Investigation of Lake Ok-Jeong)

  • 송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5
    • /
    • 1982
  • 우리나라 남서부에 위치한 대표적 인공호인 옥정호에서 1980년 5월부터 1981년 8월까지 16개월 동안 매월 호소의 이화학적 요인들과 동식물 Plankton의 계절적 변동과 수직적 변동, 그리고 어류상 등을 조사하여 종합적인 육수생물학식 연구를 시행하였다. 표층수의 수온은 8월에 최고 $28.2^{\circ}C$, 1월과 2월에 최저 $3.5^{\circ}C$였다. 저층인 수신 40m 깊이의 수온은 9월이 최고 $8.5^{\circ}C$, 2월에 최저 $3.5^{\circ}C$로서 그 차이는 $5^{\circ}C$였다. 수온 만화에 따른 수온 탁층의 분포 및 수직 안정도를 보면 11월부터 3월까지 저수온기에는 완전 수직혼합이 일어나며 2월에는 표층에서 저층까지 모두 $3.5^{\circ}C$였다. 4월부터 6월까지 표층수 수온의 상승으로 인하여 표층부터 l0m 수신의 층까지에 걸쳐 양층이 형성되며, l0m 이하의 저층수는 $5.6\sim7.1^{\circ}C$의 범위로 성층이 생겼다. 고수온의 표층은 점점 깊어져 $7\sim10$월에는 $15\sim25m$ 수신에 수온탁층이 형성되어 수직 혼합이 일어나는 표층과 안정된 저층으로 구분되었다. 8월의 표층수는 $28.2^{\circ}C$, 저층수온도 상당히 상승되어 9월에는 $8.5^{\circ}C$까지 상승하여 호수의 혼합이 의외로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pH의 년중변화는 표층에서 6.8(1월)$\sim$9.0(8월)의 범위이며, 중층에서는 $6.5\sim7.0$, 저층에서는 $6.0\sim7.5$ 였다. DO는 년중 보화상태였고, 저수온기인 겨울철에는 약간 과보화 상태였으며, 년중 각 DO의 약층은 나타나지 않아, 저층까지 DO양은 비교적 높았다. 투명도는 최고가 2월에 4.6m 였고, 최저가 8월에 1.7m 였으며 1980년 8월의 예비조사시에도 8월에 0.9m로 조사기간중 최하였다. 이렇게 낮은 투명도는 이 때 최대로 번모한 Anabaena spiroides, Melosira granulata 등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염소양, 지산태 지소, COD, 인산염의 분석결과는 1980년의 값에 비하여 1931년의 값이 다소 증가된 경향을 보인다. 또 칼슘, Mg, Fe와 같은 무기물질들의 분석결과로 보아 옥정호의 수질은 연수로 평가되었고 크룸이나 수은과 같은 중금속물질들도 극히 미양 검출되었다. 조사기관신 본 호에서 채집된 Plankton의 출현종은 모두 7과 72속 107종이었다. 그 중 Phytoplankton은 Cyanophyta가 12종, Bacillariophyta 19종, Chlorophyta 23종이었고, Zooplankton은 Protozoa14종, Rotifera 29종, Cladocera 4종, Copepoda 6종이었다. Phytoplankton의 생산은 $7\sim10$월의 대번식(Peak는 10월 $1,504\times10^3\;cells/l$)과 $1\sim4$월의 소번식(Peak2월 $236\times10^3\;cells/l$)의 2회의 Peak를 나타냈다. Phytoplankton의 종 조성 만화의 양상을 보면 Melosira granulata, Anabaena spiroides와 같이 고수온기인 $7\sim10$월에 번무하는 무리, Asterionella gracillima, Synedra acus, S. ulna와 같이 저수온기에 다양 출현하여 겨울철에 번무하는 무리, 그리고 Microcystis aeruginosa, Ankistrodesmus falcatus와 같이 소양씩 주년 출현하는 세 무리로 대별할 수 있다. Zooplankton의 종 조성 및 출현 양상을 보면 주요 종들은 Thermocyclops taihokuensis, Difflugia corona, Bosmina longirostris, Bosminopsis deitersi, Keratella quadrata, Asplanchna priodonta, A. herricki 등이며, 이들은 $10\sim11$월부터 익년 2월 혹은 4월까지의 저수온기에 출현이 없거나 있어도 매우 적었다. 수직 일견변동은 주로 Microcystis aeruginosa, M. incerta, Anabaena spiroides, Melosira granulata, Bosmina longirstris에 의하여 나타났다. 특히 M. granulata는 일몰과 더불어 저층으로 밀집하는 이동을 했으며 B. longirostris는 일몰과 더불어 표층으로 부상하고 일출과 더불어 전 수층에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본 호에서 채집된 어류는 10과 31속 41종이었다. 그 중 Pseudoperilampus uyekii와 Coreoleuciscus splendidus를 포함한 13종의 어류는 한국 특산종으로 우리나라의 다른 호소들에 비하여 어류상이 다양하였다.

  • PDF

光陽灣 植物 플랑크톤 分布에 관한 硏究 (On the Phyr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Kwangyang Bay)

  • 심재형;신윤근;이원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2-186
    • /
    • 1984
  • 光陽灣 植物 플랑크톤의 分布와 環境과의 관계에 대한 硏究가 1982년 3월 에서 12월까지 4회에 걸쳐 계절별로 이루어졌다. 本 硏究에서 總 211種이 同定 되었는데 이들은 67屬 196種 14變種 1品種으로 構成되었다. 季節別 우점종은 春季 Rhiwosolenia deiicatula, Chroomonas sp, 夏季 Chroomonas sp. 秋季 Chaetoceros debilis, C. socialis, 冬季 Skeletonema costatum, Chroomonas sp.로 季節에 따른 우점종의 遷移현상이 뚜렷하였다. 식물 플랑크톤 現在量의 時間的 變化는 암모니아態 질소의 농도, 동물 플랑크톤에 의한 攝食壓力, 水溫의 變化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特히 春季 硅藻類의 大發生은 암모니아態 질소의 농도와 높은 相關性을 보였다. 種 多樣性指數는 비교적 낮다. 전 群集內에서 nanoplankron 의 年 평균 비율은 36.5%로 光陽灣 일차생산과 먹이망에서 중요한 位置를 占 하였다. 植物 플랑크톤의 空間分析에 의하여 硏究水域은 대체로 淡水 流入이 많은 蟾津강 河口域, 外洋水의 영향이 적은 灣 右側域, 外洋水의 영향이 큰 灣 右側域 등 3個의 특징적인 水域으로 區分된다. 공장 폐수도 植物 플랑크톤 分布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산강 상류의 담수조류 분포에 관한 연구(1) - 광주지역 상수원을 중심으로 - (Freshwater Algae in the Upstream of the Yongsan River System(1) -on the Drinking Water Supplying Area of Kwangju Districts-)

  • 최민규;김백호;최규철
    • 환경위생공학
    • /
    • 제10권1호
    • /
    • pp.45-65
    • /
    • 1995
  • Seasonal occurrences and dynamics on the freshwater algae were examined in the upstream of the Yongsan river system with the Kwangju service water area from 1993 to 1994. Three hundred and three taxi were totally collected and composed of 6 classes, 15 orders, 7 suborders, 31 families, 74 genera, 248 species, 48 varieties and 7 forma. Compositions in each algal class were divided in 136 taxi of Chlorophyceae(44.8% ), 109 taxi of Bacillariophyceae(36.0% ), 30 taxa of Cyanophyceae(10.1% ), 21 taxa of Euglenophyceae(6. 9% ),4 taxi of Chrysophyceae(1.3% ) and 3 taxa of Dinophyceae(1.0% ). The occurrence of taxa was a markedly decrease(-62) between summer and autumn, the critically increase(+43) between spring and summer. And also, it was indicated that the high frequency of taxa in summer, but the high standing biomass In winter in spite of low taxi. In general, it has much algal biomass in station 9 and 10, but low in station 4, 5 and 11, relatively. Through this survey, the major dominant taxa in algal biomass, Microcystis aeruginosa, Melosira varians, Synedra ulna and Navicula cryptocephala, they were all above 2.1×10$^{6}$ce11s/1, 13.2% of totals. There are about 10% of new emigrated taxa by season and they showed a remarkable succession. We may suggested that this system was well sustained for the habitat of freshwater algal community with low dominance and high diversity. Twenty three of nuisance algae including of Microcystis aeruginosa, Peridinium willei and Anabaena flos-aquae were distributed as if had low appearance. Of course, many of them were saprobiontic taxa, extraordinary growttung groups depend on organic loading in water system and also it was not showed severe algal blooming phenomenon.

  • PDF

식물플랑크톤 분포도에 따른 운문호의 선택취수 수심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um Water Intaking Depth Based on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Unmun Reservoir)

  • 백인호;김철호;이정호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311-318
    • /
    • 2000
  •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 특성에 따른 운모호의 최적 취수수심 검토를 목적으로 1998년 2월부터 10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은 7강, 12목, 28과, 51속의 75종, 4변종인 총 79 taxa였다. 2월부터 7월까지는 4월을 제외하고 규조강이 우점종이었으며, 8월은 갈색편모조강의 Rhodomonas sp.가 우점종이었으나 9월과 10월은 남조강의 Microcystis ichthyoblabe가 우점종이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10월이 122,800 cells/mL로 가장 많았으며, 5월이 가장 적은 415 cells/mL로 나타났다. 2월부터 5월까지는 수심별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변화는 심하지 않았으나, 6월부터의 고수온기에는 표층수를 비롯한 표수층(表水層)의 식물플랑크톤의 양이 해수층(深水層)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5,000 cells/mL 이상의 현존량을 보인 수심은 6월의 경우 표층수로부터 9m의 범위이며, 9월은 6m까지, 그리고 10월은 단지 표층수에만 국한되었다. 수온과 식물플랑크톤량의 2가지 요인만을 고려한 적정 취수 수심은 전체 수심의 총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최소 75.4%에서 최대 98.0%까지 배제하며, 수온은 18.3${\sim}$20.0$^{\circ}C$$ 범위를 나타내는 6m의 수심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2 주입에 의한 pH 조정이 정수장 응집효율 및 알루미늄 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 Adjustment by CO2 on Coagulation and Aluminum Elution in Water Treatment)

  • 이길성;김민채;권재국;서규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7-22
    • /
    • 2013
  • 본 연구는 조류 개체 수 증가로 pH가 급격하게 상승한 원수가 정수장으로 유입될 때 pH 조정을 위해 사용하는 이산화탄소($CO_2$) 주입이 응집효율 및 용존 알루미늄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응집제 1 mg/L에 주입에 따른 pH 감소는 LAS -0.0384, PAC -0.0254, A-PAC -0.0201, PACS2 -0.0135로 나타났다. 용존 알루미늄 농도는 pH 7.44에서 0.02 mg/L, pH 7.96에서 0.07 mg/L, pH 8.16에서 0.12 mg/L, pH 8.38에서 0.39 mg/L로 응집공정의 pH 증가에 따라 용존 알루미늄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급속 교반 후 pH 8.0을 초과할 때부터 용존 알루미늄 농도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높은 pH의 원수가 유입되는 정수장에서 알루미늄 농도가 먹는 물 수질 기준 만족하기 위해서는 응집공정의 pH가 7.8 이하로 유지되도록 공정관리가 필요하며, 원수 pH가 8.0 이상 유입되는 경우 이산화탄소($CO_2$) 주입으로 pH를 7.3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이산화탄소($CO_2$) 주입으로 응집공정에서 pH를 조정함으로써 탁도 및 응집제 절감, 용존 알루미늄 농도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호소전체를 대상으로 한 고전적 관점의 생물학적 조절법에 관한 소고: 물고기 제거에 의한 호소 수질 향상 (A Classic Viewpoint on Fish Removal Biomanipulation in Whole-lake Studies)

  • 정상옥
    • 생태와환경
    • /
    • 제36권3호통권104호
    • /
    • pp.375-380
    • /
    • 2003
  • 수십년 전부터 민물의 부영양화는 수질 관리에 문제를 제기해왔다. 전세계적으로 생물학적 조절론이 아닌 영양염류 저감론에 의한 부영양화 해결 방안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생물학적 조절법은 호소 생태계에서 최상위 먹이망에 위치한 물고기 생태와 생체량의 중요성에 착안한 수질 향상 이론으로 부영양화 해결을 위한 강력한 도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수질 향상을 위한 긍정적 효과를 얻으려면 해당 각 수역 전체의 먹이망에 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생물학적 조절법으로 얻은 수질 향상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서 누리려면 어떻게 해야 최적인가가 현재 제기되는 논의의 중심이다.

Enzyme Profiles of Alga-Lytic Bacterial Strain AK-13 Related with Elimination of Cyanobacterium Anabaena cylindrica

  • Kim, Jeong-Dong;Han, Myung-Soo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84-191
    • /
    • 2004
  • To investigate bacteria with algalytic activities against Anabaena cylindrica when water blooming occurs and to study enzyme profiles associated with alga-lytic activity, various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surface waters and sediments in eutrophic lakes or reservoirs in Korea. Among 178 isolates, only nine isolates exhibited lytic abilities against A cylindrica on the agar plates, and then the isolate AK-13 was selected as the strongest in lysing the cyanobacterium A. cytindrica. The strain AK-13 was characterized and identified as Sinorhizobium sp. based on fatty acid methyl ether profiles and 16S rDNA sequ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nzyme assays, in the strain An-13 of Sinorhizobium sp., alginase, amylase, proteinase (caseinase and gelatinase), carboxymethyl-cellulase (CMCase), laminarinase, and lipase was produced, namely CMCase, laminarinase and protease were highly active. None of glycosidase was produced. Therefore, enzyme systems of Sinorhizobium sp. AK-13 were very complex to degrade cell walls of A. cylindrica. The peptidoglycans of A. cylindrica mat be hydrolyzed and metabolized to a range of easily utilizable monosaccharides or other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substances by Sinorhizobium sp. AK-13.

청각, Codium fragile (Suringar) Hariot의 분리수사 재생에 의한 종묘생산과 가이식 조건 (Artificial Seed Production and Nursery Culture Conditions Using Regeneration of Isolated Utricles and Medullary Filaments of Codium fragile (Suringar) Hariot)

  • 황은경;백재민;박찬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93-398
    • /
    • 2005
  • Codium fragile is commercially farmed in Korea by natural blooming zygote attachment. Experiments found optimum conditions for artificial seed production and nursery culture of C. fragile by asexual reproduction. Isolated utricles and medullary filaments were regenerated to erect thalli using both indoor and outdoor culture experiments. Under the indoor culture conditions, irradiance was an important factor to control the development of erect thalli. Formation of erect thallus from the isolated medullary filaments in the indoor culture was induced after 30 days under $20^{\circ}C$ and $60{\mu}mol/m^2/sec$. The detachment of isolated utricles and medullary filaments from the substrates of seed strings was reduced by exposure to the air during 2 hrs before the indoor culture of seed strings. The maximum growth and development of erect thalli in the nursery culture was induced at a water depth of 0.5 m. Depending on the substrates of the seed strings the growth of erect thalli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조간대 감습지 수로지역의 저생조류의 종조성 및 일차생산 (Species Composition and Primary Production of the Benthic Algal Assemblage along a Channel in Salt Marsh, Kyonggi Bay, Korea)

  • Cho, Kyung Je;Joon 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1호
    • /
    • pp.1-15
    • /
    • 1988
  • Studies on species compostion, promary production of benthic algal assemblage were carried out along a channel of the salt marsh near Inch'on, Kyonggi Bay, Korea. Possible biological, physical and KDICical factors controlling the aglal assemblage were also examined. The oveall diatoms were encountered one hundred and thirty-seven taxa, of which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alia sulcata and Cymatosira belgica. These two species accounted for 32.6% relative abundance throughout the study period. Diatom taxa had no clear seasonal pattern in abundance analysis. But at the algal blooming period in spring, euglenoids occurred with a high abundance. The chlorophyll a content of benthic algae showed definite seasonal pattern. The algal biomass of the appeared to influence the spatial fluctuation in the algal biomass of the channel was regulated primarily by water content of sediment. Grazing by zoobenthos apperaed to influence the spatial fluctuation in the algal biomass of the sediment surface. The algal photosynthesis was measured in the laboratory with oxygen method. Photo-synthetic rate was independent of the temperature under the lower irradiance. The gross production from March to November was estimated to be 190g C/m2 at the channel slope. Photosynthetic efficiency was 0.37% on the basis of the photosyntherically active radiation for the study period.

  • PDF

Characterization of Two Algal Lytic Bacteria Associated with Management of the Cyanobacterium Anabaena flos-aquae

  • Kim, Jeong-Dong;Lee, Choul-Gy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5호
    • /
    • pp.382-390
    • /
    • 2006
  • Various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he surface waters and sediments of eutrophic lakes and reservoirs in Korea to enable an investigation of bacteria having algal lytic activities against Anabaena flos-aquae when water blooming occurs and to study enzyme profiles of algal lytic bacteria. Two bacterial strains, AFK-07 and AFK-13, were cultured, characterized and identified as Acinetobacter johnsonii and Sinorhizobium sp., respectively. The A. johnsonii AFK-07 exhibited a high level of degradatory activities against A. flos-aquae, and produced alginase, caseinase, lipase, fucodian hydrolase, and laminarinase. Moreover, many kinds of glycosidase, such as ${\beta}-galactosidase,\;{\beta}-glucosidase,\;{\beta}-glucosaminidase,\;and\; {\beta}-xylosidase$, which hydrolyzed ${\beta}-O-glycosidic$ bonds, were found in cell-free extracts of A. johnsonii AFK-07. Other glycosidases such as ${\alpha}-galactosidase,\;{\alpha}-N-Ac-galactosidase,\;{\alpha}-mannosidase,\; and\;{\alpha}-L-fucosidase$, which cleave ${\alpha}-O-glycosidic$ bonds, were not identified in AFK-07. In the Sinorhizobium sp. AFK-13, the enzymes alginase, amylase, proteinase (caseinase and gelatinase), carboxymethyl-cellulase (CMCase), laminarinase, and lipase were notable. No glycosidase was produced in the AFK-13 strain. Therefore, the enzyme system of A. johnsonii AFK-07 had a more complex mechanism in place to degrade the cyanobacteria cell walls than did the enzyme system of Sinorhizobium sp. AFK-13. The polysaccharides or the peptidoglycans of A. flos-aquae may be hydrolyzed and metabolized to a range of easily utilized monosaccharides or other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substances by strain AFK-07 of. A. johnsonii, while the products of polysaccharide degradation or peptidoglycans were more likely to be utilized by Sinorhizobium sp. AFK-13. These bacterial interactions may offer an alternative effective approach to controlling the water choking effects of summer blooms affecting our lakes and reservo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