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birds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1초

남극 세종기지에서 추운 해와 덜 추운 해에 관찰된 펭귄들의 생태에 관한 1차보고 (Preliminary Report on the Ecology of the Penguins Observed in the Cold Years and a Less Cold Year in the Vicinity of King Sejong Station, King George Island off the Antarctic Peninsula)

  • 장순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87-101
    • /
    • 2004
  • This paper delineated the ecology including movement (departure from the rookery and returning to the rookery), egg-laying, and hatch of the penguins occurred in the cold years and a less cold year in the vicinity of King Sejong Station, King George Island off the Antarctic Peninsula. The years of 1988, 1991, 1992, and 1995 were selected as cold years and the year of 2001 was selected as a less cold year based on the mean annual temperature of the years. Gentoo Penguin (Pygoscelis papua) left their rookery in May, meanwhile some remained around the station. They returned in middle-September in the less cold .year, and returned in late-September to early-October in the cold years. Chinstrap Penguin (Pygoscelis antarctica) left their rookery in early-April in the cold years as well as in the less cold year without exception. They returned to the rookery in late-October to early-November in cold years, meanwhile in early-October in the less cold year. This difference in the returning of this bird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exposed sea water, i.e., sea ice condition to feed in the sea. The global warming will lead to the appearance of birds which breed in the Sub-Antarctic. For example, one pair of King Penguin (Aptenodytes patagonicus) was observed in the Maxwell Bay in austral summer. And a pair of snide-like bird was recently observed for the first time in November 2001 at the penguin rookery located in the Barton Peninsula, King George Island. And it will also lead to the disappearance of an Emperor Penguin (Aptenodytes forsteri) which appeared in the full winter when Maxwell Bay and Marian Cove were frozen. It seems that the behaviour of the penguins observed around the station shows the complex effects of the ecology of the birds in combination with the natural environments, which include feeding strategy and areas, animal Instincts, exposed terrain related to weather conditions, and globa1 warming. It is necessary to take further observation and carry out systematic researches on the birds including penguins around the station which show the ecology of the birds as well as the environmental changes.

낙동강하구(洛東江河口)의 겨울새 현황조사(現況調査) (A Surve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Winter Birds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 류환정;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1-8
    • /
    • 1984
  • 낙동강(洛東江) 하구(河口)의 겨울새 현황(現況)을 거리별(距離別)과 시간별(時間別), 지대별(地帶別), Section 별(別), Point 별(別)로 조사(調査)한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조사(調査)된 총(總) 조류(鳥類)의 수(數)는 27과(科) 82종(種)에 해당(該當)되는 70,032개체(個體)였다. 2) Km당(當) 밀도(密度)는 2,103,06개체(個體)였고 hr 당(當) 밀도(密度)는 23,344,00개체(個體) 였는데 그 중(中) 오리과(科)가 65.13%로서 가장 높은 우점도(優占度)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이 도요과(科)(14.55%)와 갈매기과(科)(7.28%)의 순(順)이었다. 3) 지대별(地帶別)로 보면 갯벌과 습지(濕地)에 61.8%가 서식(棲息) 하고 있었고 수면(水面)에 31.9%, 공중(空中)과 육상(陸上)에 6.4%로 되어 있었다. 4) Section 별(別)로 보면 전(全) 5개소(個所)의 Section 중(中)에서 Section 3의 것이 22,852개체(個體)(30.0%)로서 제일(第一) 많이 분포(分布)되어 있었다. 5) 이 지역에서는 청둥오리와 혹부리오리, 쇠기러기, 흰쭉지, 믿물도요, 괭이갈매기 등(等)의 6종(種)이 차지하는 비율(比率)이 83.1%로서 이 6종(種)이 낙동강(洛東江) 하구유역(河口流域)에 도래(渡來)하는 전(全) 겨울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종류(種類)였었다.

  • PDF

번식기 유부도 일대에 서식하는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성체와 미성체의 섭식 능력 비교 (Comparison of the foraging efficiency between adult and immature Eurasian Oystercatchers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during the breeding season on Yubu Island)

  • 이상연;유영한;정길상;최유성;주성배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483-492
    • /
    • 2019
  • 번식기 유부도 일대의 조수 경계부에서는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성체와 미성체가 한데 모여 복족류(서해비단고둥, Umbonium thomasi)와 이매패류를 섭식하는 것이 관찰된다. 본 연구는 성체와 미성체 간의 섭식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해당 먹이원을 섭식하는 개체들의 행동을 영상으로 녹화한 후 성체와 미성체로 구분하여 단위 시간당 걸음수, 먹이원 탐색시도횟수 및 탐색방법 구성비율, 섭식성공횟수, 조작시간, 머리 들어 올리기횟수를 비교하였다. 서해비단고둥을 섭식할 때 먹이원 탐색방법의 구성 비율, 이매패류를 섭식할 때 먹이원 탐색시도횟수와 머리 들어올리기횟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단위 시간당 걸음수, 탐색시도횟수, 섭식성공횟수는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번식기 유부도 일대에 서식하는 검은머리물떼새 미성체가 성체에 비해 비록 열세이고, 먹이원의 위치를 파악하는 능력이 부족하지만, 전반적인 섭식 능력은 성체와 유사한 수준임을 의미한다. 월동기간 동안 고도의 섭식 능력을 갖추어야 섭식이 가능한 이매패류를 지속적으로 섭식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렁이 분변토 발효사료가 고품질 닭고기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earthworm cast feed on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chicken meat)

  • 고용균;김진수;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07-817
    • /
    • 2017
  • 본 연구는 Bacillus subtilis를 포함하는 3개의 균주를 지렁이 분변토에 접종하여 제조한 생균제인 분변토 발효사료가 육계의 사양성적 및 닭고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육계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대조구, Lactobacillus fermentum으로 제조된 상업용 생균제 (CP) 0.2%, 분변토 발효사료 0.3% (FECF3), 분변토 발효사료 0.5% (FECF5)로 구분하였다. 평균 체중 증가량, 흉선, 비장, F낭의 무게는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다. 혈액 IgG 함량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증가하였다. 맹장 Lactobacillus는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으나 Escherichia, Salmonella, Coliform bacteria 및 total aerobic bacteria는 FECF 처리구가 낮았다. 닭고기의 보수력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다. 닭고기 n-6/n-3 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

갑천의 서식지 환경에 따른 야생조류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Wildbirds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 in Gap Stream)

  • 이준우;이도한;백인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1호
    • /
    • pp.41-58
    • /
    • 2003
  • 본 연구는 갑천에 서식 분포하는 조류군집을 파악하고, 이의 보호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4개의 조사구역을 선정하여 2001년 9월부터 2002년 8월까지 1년간 선조사법 및 정점조사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연하천구간인 가수원교-만년교구간에 서는 11목 29과 67종이 관찰되었고, 인공하천구간인 만년교-대덕교구간에서 6목 10과 30종, 대덕교-원촌교구간에서 8목 12과 28종, 원촌교-갑천교구간에서 8목 18과 40종으로 인공하천 전 구간에서 9목 19과 47종이 관찰되었다.자연하천구간은 산림, 경작지, 수변림, 모래톱, 자갈밭, 갈대숲 등의 서식지환경이 다양하고, 인간의 이용과 간섭이 가해지지 않은 결과 다양한 종들이 관찰되었으며, 인공하천구간은 호안블록과 잔디밭 등으로 수생태계와 육지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으며, 서식지환경도 단순하여 관찰 종 수가 낮게 나타났다. 갑천에 다양한 야생조류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자연형 하천과 같이 수생태계와 육상생태계가 어우러진 서식지 즉 생태계를 고려한 다양한 서식지환경의 조성이 요구되며, 단편화된 서식지들을 연결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Stream corridor를 고려한 하천의 정비 및 조성이 요구된다.

  • PDF

하천환경 자연도의 평가지표 및 기준 연구 - 생물적 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dicator & criteria for assessment of river environmental naturalness -focused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 전승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spc2호
    • /
    • pp.765-776
    • /
    • 2019
  • 본 연구는 하천복원사업의 전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법 제도적 지침과 기준을 제공하고 하천사업의 성과를 진단 평가할 수 있는 한국형 표준화된 하천환경 평가체계 구축과정의 일환으로서 하천생태계의 수변 및 수서환경을 대변할 수 있는 4개의 생물 분류군, 즉 식생과 조류, 그리고 저서 무척추동물과 어류의 평가지표 및 기준 등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생물적 특성의 평가지표 및 기준을 정리하면, 식생의 경우 식생 다양도와 식생 복잡도, 그리고 식생 자연도 등 3가지 지수의 조합을 통한 하천 식생군집의 구조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서 무척추동물과 어류, 그리고 조류의 경우도 선진 기법의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하천특성에 적합하도록 생물적 자료의 평가등급 획정에 따른 정량적인 생물지수 평가법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하천환경 자연도의 한 부문인 생물적 특성의 평가를 위하여 이들 4개 생물분류군의 가중치를 적용한 종합 생물지수 및 평가등급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험하천의 적용결과에서도 생물분류군 간 비교적 일관성 있게 하천환경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뉴캣슬병 면역에 대한 검토 II. 접종경로를 달리하여 $B_1$ Strain을 응용한 면역효과 검토 (Studies on the Immunization Against Newcastle Disease II. Investigation on the Immune Effect by Different Vaccination Route with $B_1$ Strain)

  • 이학철;정유열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9-75
    • /
    • 1981
  • 본 연구는 오늘날 뉴캣슬병(ND) 예방접종 목적에 널러 쓰여지는 Adjuvant가 불활화예방약과 약독주 생독예방약(LV)의 두가지 중 특히 논의가 많은 LV의 접종경로에 따르는 면역효과를 밝혀. 그 결과를 일반에게 명확히 제시하여 본병방과에 도움을 주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서 먼저 LV생산재료로 사용되는 $B_1$ 접종 발육계묘에서 얻은 장요막질액의 접종경로별 면역력가를 30일영추를 공시하여 측정한 후, 그 유효량을 사용하여 분무, 비강내적하 근육주사, 음수투여의 4가지 경로를 통해서 상기시험일때와 동일하게 30일추에 각각 접종, 접종경로별로 면역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0^{8.5}$ EI $D_{50}$$m\ell$의 역가를 가진 $B_1$독주장요막강액재료의 10진희척 각단계액을 30일추에 대하여 업종경로별 각소정량을 분무, 비강내적하, 근육주사하였을 때 상기재료의 $10^{-2}$ 희척($10^{6.5}$ EI $D_{50}$$m\ell$) 응용은 만족한 면역성을 부여하였으나 $10^{-3}$희척($10^{5.5}$ EI $D_{50}$$m\ell$)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하였으며 I $D_{50}$(-log)는 근육주사=2.8, 분묘>4.1, 비강내적하>4.2이었다. 2. $10^{-2}$ 희포장요막강($10^{6.5}$ EI $D_{50}$$m\ell$)의 접종경로별 각소정량을 30일령 공시추에 접종경로를 달리하여 접종하였을 때 10,000MLD/$m\ell$ ND 병독/$m\ell$의 근육내접종공격에 대한 내과율은 분무가 93.75%, 비강내적하가 95.3%, 근육내접종이 92.6%의 좋은 성적이었는데 반하여 식수투여는 47.18%로 극히 불량하고, 시험한 4가지 접종경로 중 가장 낮은 성적이었다. 낮은 성적이었다.은 성적이었다.

  • PDF

Effect of Cool Drinking Water on Production and Shell Quality of Laying Hens in Summer

  • Glatz, P.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6호
    • /
    • pp.850-854
    • /
    • 2001
  • Feed intake, egg weight, rate of lay and shell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an Australian tinted egg laying strain from 31-42 weeks of age, housed at $30^{\circ}C$ and provided drinking water at 5, 10, 17 and $30^{\circ}C$. In a second experiment a European brown egg laying strain (59-66 weeks of age) housed at $30^{\circ}C$ were provided drinking water at 5, 10, 15 and $30^{\circ}C$. Brown egg layers given cool drinking water (5, 10 and $15^{\circ}C$) consumed more (p<0.05) feed and produced significantly (p<0.05) thicker and heavier shells than hens given drinking water at ambient temperature ($30^{\circ}C$). However the tinted egg layers given chilled drinking water only consumed more (p<0.05) feed and produced thicker (p<0.05) and heavier (p<0.05) shells when consuming drinking water at $5^{\circ}C$. As the tinted egg layers acclimatised to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there was a decline in the influence of cool drinking water on feed intake and shell quality. For brown egg layers, however, cool drinking water resulted in an improvement (p<0.05) in feed intake and shell quality over the entire period birds were provided cool water.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re is potential for using cool drinking water to improve feed intake and shell quality of hens housed under hot conditions. The combination of high ambient temperature and high drinking water temperature, a common occurrence in Australian layer sheds, should be avoided.

안성 도시 소생태계 조성사업 지역의 조류 군집 특성과 서식지 조성 효과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Effects of Habitat Creation in Manmade Small Ecosystem, Anseong)

  • 김정수;강미현;남궁형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2호
    • /
    • pp.117-127
    • /
    • 2022
  • 안성 도시 소생태계 조성사업이 조류 군집 특성과 서식지 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6년과 2017년 5월과 10월 4회에 걸쳐 조류 군집 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연구지역에서 모두 24종 94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다. 우점종은 참새 Passer montanus 19.1%, 까치 Pica pica 12.8%, 물까치 Cyanopica cyana 8.51% 그리고 붉은머리오목눈이 Sinosuthora webbiana와 방울새 Carduelis sinica ussuriensis 각 7.45%였고, 종다양도는 2.787이었다. 관찰된 조류 25종을 이동성에 따라 나누어 보면 텃새 72.0%, 여름철새 20.0% 그리고 겨울철새 8.00%이었다. 번식조류(확인 또는 가능성) 22종의 영소길드는 수관층(C)을 이용하는 종 54.5%, 수동(H)을 이용하는 종 31.8%, 덤불(B)을 이용하는 종 9.09% 그리고 지표면(G)을 이용하는 종 4.55%이었다. 채이길드는 번식기와 비번식기로 나누었으며, 번식기에 관찰된 조류 23종은 수관층(C)을 이용하는 종 69.6%, 덤불(b)을 이용하는 종 21.7% 그리고 물(W)과 지표면(G)을 이용하는 종 각 4.35%였고, 비번식기에 관찰된 조류 25종은 수관층을 이용하는 종 64.0%, 덤불을 이용하는 종 24.0%, 지표면을 이용하는 종 8.00% 그리고 물을 이용하는 종 4.00%였다. 연구지역에서 조성된 대표적인 조류 서식지는 인공둥지와 습지(빗물정원)이다. 둥지는 연구지역에 모두 7개를 설치하였다. 박새 Parus major가 2016년과 2017년 각 한 둥지에서 번식하였고, 참새 Passer montanus가 2017년 한 둥지에서 번식하였다. 빗물 정원에서 지속 가능한 우수(rainwater)의 공급은 조류가 습지를 서식지로 이용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습지로 조성된 빗물정원은 수량의 부족으로 이를 서식지로 이용하는 조류는 확인되지 않았다.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야생조류 서식환경 변화 연구 - 탄천 생태·경관보전지역를 사례로 - (A Study on Changes in Habitat Enviroment of Wild Birds in Urban River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A Case Study of Tancheo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

  • 한정현;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79-9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적 기능이 크게 요구되는 보호지역의 도시하천에서 기후변화로 나타나는 야생조류 서식환경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앞으로 도시하천 생태계를 보호하고 생물다양성을 위한 지속가능한 도시하천의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관리지표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대상지로 선정한 탄천 생태·경관보전지역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우리나라 사계절은 뚜렷한 온대성기후이나 서울 연평균기온은 40년간 2.4-2.8℃ 상승하였다. 겨울철기온이 점차 상승하는 경향이었다. 6-8월에 집중되었던 강수량은 현재는 국지성 집중호우와 여러 달의 균일한 강수 패턴으로 변하고 있었다. 기후변화는 불규칙적이고 비예측적으로 불확실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불확실성을 가진 기후변화는 도시 하천생태계에 다양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수면과 퇴적지 면적 감소는 하천 형태 변화와 육역화로 진행되었다. 식물은 교란과 식생 단순화로 나타났다. 국가 기후변화생물 지표종 출현, 외래목본식물 발달, 건조지성 자생초본식물종 변화와 습윤지성 식생이 발달되었다. 야생조류는 겨울철 여름철새의 출현, 철새의 텃새화로 나타났다. 또한 철새의 종 변화와 개체수 감소도 일어났다. 불규칙성과 비예측적 특성의 기온과 강수량 변동은 하천생태계를 연결하는 수문환경, 식물생태, 야생조류에 직·간접적 영향을 주고 있음이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가 야생조류 서식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도시 내 환경·생태적 기능이 작동할 수 있는 하천 생태·경관보전지역 관리지표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향후 도시하천의 건강성 향상과 생물 다양성 기반조성을 위한 생태계서비스 차원의 기초연구로 참고할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