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activity and temperature

검색결과 971건 처리시간 0.031초

고온아마인유처리에 의한 소나무재의 특성 (Properties of Pinus densiflora Timber Wood by High Temperature Linseed Oil Treatment)

  • 이동흡;이명재;오형민;손동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50-57
    • /
    • 2004
  • 본 실험은 건조되지 않은 목재를 고온의 아마인유에 침지처리함으로써 목재건조와 동시에 발수효과를 얻고자 실시하였다.함수율 90% 이상의 소나무생재를 온도 150℃의 아마인유에서 6시간 침지처리하였을 때 목재함수율은 10%까지 떨어졌으며, 목재 축방향의 깊이에 관계없이 목재단면의 20%에 해당하는 아마인유가 침투하였다. 이때 목재의 강도적 손실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표면의 천공처리는 목재의 내부할열방지에 효과적이었고, 아마인유의 깊은 침투를 유도할 수 있었다. 흡수성 시험 결과 처리재는 무처리재에 비하여 높은 발수효과를 나타냈다. 변색균 및 부후균에 대한 항균효력시험은 처리재 자체로서 균에 대한 독성 기작이 없었으나, 백색부후균 및 갈색부후균에 대해서는 무처리재보다 낮은 중량감소율을 나타내는 등 방부효력의 상승이 있었다.

일산화탄소 저온 산화에서 금속산화물에 담지된 금촉매의 활성에 미치는 수분첨가의 영향 (Effect of Water Addition on Activity of Gold Catalysts Supported on Metal Oxide at Low Temperature CO Oxidation)

  • 안호근;김기중;정민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6호
    • /
    • pp.720-725
    • /
    • 2011
  • 금속질산염과 염화금산을 전구체로 사용하여 다양한 금속산화물($$Al_{2}O_{3}$, ZnO, $Fe_{2}O_{3}$, $Cr_{2}O_{3}$, $MnO_{2}$, CuO, NiO, $Co_{3}O_{4}$)에 담지된 금촉매를 공침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후, 일산화탄소 산화반응에서 수분첨가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들 중 $Co_{3}O_{4}$와 ZnO에 담지된 금촉매가 일산화탄소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반응가스 중에 수분이 첨가될 때 Au/$Co_{3}O_{4}$ 촉매는 활성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Au/ZnO 촉매에서는 활성이 크게 증가하여 수분에 의한 일산화탄소 산화 활성은 담체의 종류에 크게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반응가스 중에 포함된 수분에 관계없이 반응 전과 후의 Au(5 wt%)/ZnO 촉매의 금입자 크기는 거의 변하지 않아 활성이 감소되는 이유는 금입자들의 소결에 의한 영향보다는 카보네이트와 같은 화학종에 의해 불활성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으며, 이 화학종은 수분의 첨가에 의해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어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Trichosporon의 CMCase 활성에 관하여 (On the CMCase Activity from Two species of Trichosporon)

  • 전순배;박종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87-192
    • /
    • 1979
  • Dennis (1972) reported that Trichosporon cutaneum FRI-425 from the petioles of Pheum rhamponticum var, had showed the celluloytic activity. Chun (1977) also suggested that Trichoporon pullulons 225 isolated from the saline water of the Yeoung San River had a similar properties. However, the assay conditions for enzyme activity were not yet investigated. Thus, the present work was undertaken to examine some conditions for CMCase activity and at the same time to compare the activities of crude enzyme produce from above two species of Trichosporon pullula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aximum production of total reducing sugar by crude enzyme of Tr. pululans was after 30 minutes, whereas that of Tr. cutanuem FRI-425 was after 90 minutes. This fact showed that the reaction velocity of enzyme from Tr. pullulans 225 was more faster than that of Tr. cutaneum FRI-425. 2. Two species showed a similar trend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reducing sugar in proportion to the increment in substrate concentration and to arrive at maximum level at lmg/ml of substrate concentration. However, Tr. pullulans 225 produced more $50{\mu}g$ of reducing sugar compared to Tr. cutaneum. 3. The optimum PH for CMCase activity is 5.0 for Tr. pullulans 225 as well as Tr. cutaneum FRI-425, and PH stability lie within the range of 6 and 8. In the activity and stability of enzyme on PH changes, enzyme of Tr. cutaneum FRI-425 was more unstable than that of TY. pullulans 225. 4. The optimum temperature for CMCase activity was $40^{\circ}C$, and enzyme activity from Tr. pullulans 225 was more sensitive to temperature changes compared with that of TY. cutaneum. The heat stability was within $40^{\circ}C$, but that was rapidly decreased above $40^{\circ}C$. In comparison of the heat stability for enzyme of Tr. cutaneum FRI-425 with that of Tr. pullulans 225 at the same temperature of $80^{\circ}C$, the former was some 10 percent more stable than the latter.

  • PDF

팽화 홍미삼, 홍삼절편 및 백미삼 분말의 흡습특성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Puffed Red Ginseng Lateral Root, Red Ginseng Main Root and White Ginseng Lateral Root Powder)

  • 김상태;윤광섭;권중호;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0-36
    • /
    • 2008
  • 백미삼(지근), 홍미삼(지근) 및 홍삼절편(주근: 수삼-절편-증삼-건조)을 대상으로 팽화시켜 팽화 인삼분말의 흡습 특성을 조사하고 수분활성도 예측모델을 수립하였다. 등온 흡습곡선은 대부분의 식품들과 같이 역S형의 형태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낮은 온도인 $5^{\circ}C$에서 평형수분함량이 가장 높았다. 단분자층수분함량은 BET식 에 의해 $0.034{\sim}0.045g$ $H_2O/g$ solid의 값으로 계산되었으며 BET식에 적용했을 때 $R^2$$0.98{\sim}0.99$로 GAB식 보다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등온흡습곡선의 적합도는 Kuhn 모델식의 $R^2$가 0.99 이상으로 가장 높은 적합도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Halsey 모델식이 비교적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고 편차에서도 Kuhn 모델식이 $2.83{\sim}8.6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분활성도 예측모델 수립을 위해 각 독립변수의 최적함수로 시간은 1n 함수, 온도는 선형 그리고 수분활성도 (RH/100)는 선형함수를 선정하였으며 가장 적합한 수분활성도 예측모델식은 세 가지 시료 모두 시간과 수분활성도을 독립변수로 하는 모델식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Temperature and Compost Conditions on the Biodegradation of Degradable Polymers

  • Jung, Eun-Joo;Shin, Pyong-Kyun;Bae, Hee-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464-468
    • /
    • 1999
  •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biodegradation test methods for degradable polymers under controlled composting conditions was studied in regards to the test temperature and compost condition. When biodegradability tests for the natural (starch, cellulose, PHB/HV) and synthetic (PCL, SG, PLA) polymers were conducted at temperature levels of 35 and $55^{\circ}C$ with compost cured at ambient temperature, the degradations of cellulose and starch were higher at $35^{\circ}C$ because of the priming effect. On the other hand, degradations of other polymers were higher at $55^{\circ}C$. In the biodegradation test at $55^{\circ}C$, compost harvested right after the thermophilic degradation stage showed higher biodegradation activities than the cured compost for both the synthetic aliphatic polyester (SG) and a natural polymer, cellulo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iodegradation test conducted at $55^{\circ}C$ with the compost, harvested right after the thermophilic degradation stage during composting, showed the highest biodegradation activity under controlled composting conditions.

  • PDF

식품보장(食品保藏)과 수분활성(水分活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2 보 : 말쥐치육(肉)의 건조기구(乾操機構)와 수분활성(水分活性) - (Studies on Food Preservation by Controlling Water Activity - II. Dehydration Mechanism and Water Activity of Filefish Muscle -)

  • 한봉호;최수일;이종갑;배태진;박호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42-349
    • /
    • 1982
  • 송풍식건조과정(送風式乾燥過程) 중의 말쥐치육의 건조기구(乾操機構)와 수분활성(水分活性)과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47.5^{\circ}C$에서 풍속과 공기의 상대습도를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건조과정은 정속건조기(定速乾燥期)와 감속건조기(減速乾燥期)로 구분되었다. 정속건조기(定速乾燥期)는 건조표면(乾燥表面)이 수분활성(水分活性) 1.0을 유지하는한 계속되었으며, 온도와 상대습도가 일정할 때 정속건조속도(定速乾燥速度)는 공기의 속도(速度)의 제곱근에 비례하였다. 감속건조기(減速乾燥期)는 건조기구(乾操機構)가 서로 다른 제(第)1 및 제(第)2감속건조기(減速乾燥期)로 구분되었다. 제(第)1감속건조기(減速乾燥期)는 모세관 응축수의 건조표면(乾燥表面)으로의 이동이 불충분한 불포화표면건조기(不飽和表面乾燥期)였으며, 이 때의 건조속도(乾燥速度)는 공기의 온도가 일정할 때 상대습도에 크게 좌우되었다. 제(第)1감속건조기(減速乾燥期)와 제(第)2감속건조기(減速乾燥期)의 변환점에서 표면경화현상(表面硬化現象)이 시작되었다. 상대습도의 변화에 따라 제(第)2감속건조기(減速乾燥期)가 시작될 때의 수분활성(水分活性)과 수분함량(水分含量)은 각각 다른 값을 나타내었다. 제(第)2감속건조기(減速乾燥期)는 다시 건조기구(乾操機構)를 달리하는 두 개의 건조기(乾燥期)로 구분되었다. 제(第)2감속건조기(減速乾燥期)의 1단계는 말쥐치육 내부의 모세관 응축수가 건조표면(乾燥表面)으로 확산, 증발하여 건조가 진행되었으며, 이때의 수분의 확산계수는 $47.5^{\circ}C$에서 $2.89{\cdot}10^{-10}m^2/sec$였다. 표면경화현상(表面硬化現象)은 말쥐치육의 수분활성(水分活性)이 0.7에 이를때까지 계속되었다. 제(第)2감속건조기(減速乾燥期)의 2단계는 수분활성(水分活性) 0.45에서 시작되었다. 이 때의 건조는 말쥐치육 내부에 다분자층(多分子層)으로 흡착(吸着)한 결합수의 건조표면(乾燥表面)으로의 확산, 증발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흡착수분(吸着水分)의 분자층(分子層)의 수는 4였으며, $47.5^{\circ}C$에서의 확산계수는 $4.38{\cdot}10^{-11}m^2/sec$였다.

  • PDF

생태계모델을 이용한 황해투기해역에서의 춘계 식물플랑크톤 대증식 연구 (Ecological Model Experiments of the Spring Bloom at a Dumping Site in the Yellow Sea)

  • 송규민;이상룡;이석;안유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217-231
    • /
    • 2007
  • To explore limiting factors of spring bloom caused by waste disposal after dumping activity commenced in the Yellow Sea, we used a 1-dimensional temperature-ecological coupled model. The vertical structure of temperature and vertical diffusivity (Kh) are calculated by the temperature model with sea surface temperature using the 2.5 layers turbulence closure scheme. The ecological model applied results at the temperature model consisted of five state variables (DIN, DIP, phytoplankton, zooplankton, and detritus) forced by photosynthetically available radiation. We simulate year-to-year variations of plankton and nutrients using the coupled model from 1998 to 2000 and compare results of the model with observed data. It turned out that temperature is the growth factor of spring bloom in dumping area. During the winter the weak stratification made sufficient supply of the accumulated nutrients from the sea bed into the upper water column and led to the bloom in the coming spring. Radiation also turned out to be another important factor of spring bloom in the study area. Insufficient radiation of March 1999 showed low chlorophyll-a concentration despite sufficient nutrients in the surface.

마가목 줄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e stem of Sorbus commixta Heal)

  • 유지현;도은수;장준복;길기정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36
    • /
    • 2017
  • Objective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Sorbus commixta Heal. stem (SC) as a natural mater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examined. Methods : The samples of SC were pulverized, and fractions were extracted repeatedly three times from hot water and 70% ethanol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nalyzed from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DPPH, ABTS, hydroxyl radical, $Fe2^+$ chelating,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Results :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thanol extract group ($504.39{\mu}g/m{\ell}$) than in hot water extract group ($364.64{\mu}g/m{\ell}$).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ethanol extract group ($160.09{\mu}g/m{\ell}$) than in hot water extract group ($124.59{\mu}g/m{\ell}$). DPPH, ABTS, $Fe2^+$ chelating were slightly higher in ethanol extract gorups than in hot water extract groups, and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8.42~23.61%) of ethanol extract groups were shown to be approximately twice higher than that (7.63~10.37%) of hot water extract groups at $12.5{\sim}50{\mu}g/m{\ell}$ concentration.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both ethanol and hot-water extract groups were shown to be higher in a dose dependent manner at the concentration of $12.5{\sim}50{\mu}g/m{\ell}$ at pH 3.0 than at pH 1.2, and ethanol extract groups (86.55~96.64%) had higher activity than the hot water extract groups (42.59~92.63%),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tioxidant BHT (72.96~80.11%). Conclusions : The extracts of SC displayed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suggested a natural material can be developed to functional material.

종자의 수분흡수속도가 찰벼 품종별 발아특성과 침윤초기 Guaiacol Peroxidase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Uptake Rate o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Waxy Rice Seeds and Guaiacol Peroxidase Activity during Early Imbibition)

  • 손지영;김준환;이충근;양운호;윤영환;정남진;김정곤;김보경;최경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416-423
    • /
    • 2013
  • 찰벼 4품종을 두 온도조건(저온; $15^{\circ}C$, 대조; $25^{\circ}C$)에서 왕겨의 유무에 따라(정조 및 현미) 발아특성을 조사한 결과, 현미 발아율은 품종간 차이가 없었으나 정조 발아율은 저온에서 품종간 차이가 컸다. 종자를 침윤시키면 온도나 왕겨의 유무에 관계없이 수분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30%에서 더이상 증가하지 않고 정체하는데 이때 정체기에 도달하는 시간은 온도가 높을수록, 정조보다 현미가 빨랐다. 그러나 수분정체기에 도달하는 시간은 품종간 차이가 있고 저온에서 차이가 컸다. 수분흡수시간은 발아율, 발아세, 발아속도, 평균발아일수와 모두 높은 부의 상관을 보여 초기 수분흡수시간이 빠를수록 발아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윤 24시간 뒤 guaiacol peroxidase활성은 처리 및 품종간에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발아세와 발아속도와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최종발아율과는 상관이 낮았다. Catalase활성은 발아율, 발아속도 등과 상관이 매우 낮았으며, 용해성 단백질함량 및 maltose농도도 발아특성과 상관이 낮았다. 종자활력검사(TTC활력검사)와 표준발아율검사($25^{\circ}C$)에서 발아율이 높더라도 정조는 저온에서 품종간 발아율의 변이가 커 종자활력검사만으로 발아율을 예측하기 힘들었다. 따라서 초기의 종자활력은 TTC검사와 guaiacol peroxidase활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더 정확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품종간 발아율의 변이를 줄이고 발아속도를 높혀 균일한 발아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적정범위에서 가능한 온도를 높혀 수분흡수를 촉진시켜야 한다.

양어사육수를 이용한 사경재배 (Sand Culture Using Recirculated Aquaculture Water)

  • 김기덕;이병일;강용구;문보흠;홍상근;홍석우;배용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9-88
    • /
    • 1999
  • In order top investigate the growth of water dropwort grown by sandculture irrigated with recirculated tilapia aquaculture water,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ish(tilapia) production and biofiltration provided by sand cultured water dropwort(Oenanthe stolonifera DC.) were linked in a closed system of recirculation water. Water dropwort was irrigated with water drawn from the tilapia tank and drainage from sand beds was returned to the fish tank. The temperature, pH and EC of tilapia culture water were stable. The growth of water dropwort grown by sandculture with aquaculture water was normal. Microbial activity of the biofilterbed irrigated by tilapia rearing water was higher than that of biofilterbed irrigated by tapwater. The feasibility of an integrated, recirculatory system for concurrent production of water dropwort and fish with no additional fertilization application was demonstr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