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ste transfer sta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적환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from Waste Transfer Station)

  • 전재식;김은숙;유승성;오석률;최한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18-425
    • /
    • 2013
  •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major substances contributing to the production of odor and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 of odors. Methods: Complex odor and 17 odorous compounds were measured at 18 waste transfer stations located in Seoul. Results: The dilution ratio value of complex odor ranged from 4 to 30 times in the boundary layer of 18 waste transfer stations. At 6 measurement points among the 18 waste transfer stations, the dilution ratio values exceeded standards (15 times). When the resul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ir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malodor, the patterns indicated that the highest concentration values in the residential waste disposal process were of i-valeraldehyde and acetaldehyde, while butyraldehyde and acetaldehyde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odorous compounds from the waste recycling proces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butyraldehyde and acetaldehyde were the primary compounds released from the food waste disposal process. Overall, aldehyde compounds were the greatest contributor to detectable odor intensity emitted at the waste transfer stations.

서울시 생활폐기물 적환장 운영실태 분석 및 제언 (Review and Suggestion for Waste Transfer Stations in Seoul)

  • 유기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21-29
    • /
    • 2016
  • 서울시 25개 자치구가 운영하는 생활폐기물 적환시설을 대상으로 시설의 기능, 지역 친화성, 규범 순응성 등의 3개 영역에 대해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65개 적환장 중 46개소는 매일 반출이 필요한 대량폐기물을, 19개소는 3~30일 범위에서 체류 후 반출되는 소량폐기물을 다루었다. 57%의 시설이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에 설치되어 있었다. 또한 57%의 적환장은 나대지 위에 장비만 두고서 적환작업을 하였다. 79%의 적환장은 재활용선별장 같은 시설과 근접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했다. 도시계획법의 의한 환경기초시설로 지정된 경우는 17%에 불과했고, 폐기물관리법의 규정대로 허가받은 수집 운반업자가 운영하는 적환장은 31% 수준이었다. 적환장은 그 역할에서 시설 최적화, 자원화 확대 같은 정부의 폐기물관리 정책과 부합하였으나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 같은 도심에 입지하기에는 환경대책이 미흡하고 규범과 불일치하는 면이 있었다. 앞으로 적환장이 도심의 환경기초시설로 자리매김하려면 건물 밀폐화, 기능의 종합화 등의 과제를 풀어야 한다.

생활폐기물 적환장의 운영에 따른 수거효율성 분석 (Effect of Waste Transfer Stations on Collection Efficiency in Seoul)

  • 유기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1호
    • /
    • pp.13-19
    • /
    • 2018
  • 서울시 25개 자치구는 수거거점 확보, 수거시스템과 처리시스템의 연결, 간이 선별 등을 목적으로 생활폐기물 적환장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적환장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운영 가능한 총운반거리 등 구체적인 적환장 운영조건에 대해 분석한 국내사례는 없다. 본 연구는 적환장 운영 여부, 발생원으로부터 적환장까지의 운반거리, 적환장의 건물형태 등을 변화시키면서 수거비용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적환장이 쓰레기 배출원에 근접할수록, 적환장의 건설비가 저렴할수록 수거비용은 감소하였고, 건물 없는 적환장의 확보가 가능한 지역은 총운반거리가 15 km이상만 되어도 적환장을 운영하는 것이 운영하지 않는 경우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하시설물로 적환장을 확보해야하는 지역에서는 유효한 총운반거리가 35 km이상으로 늘어났다.

비위생 사용종료매립장의 심도별 토양오염도 분석 (Analysis of Soil Contamination with Depth in Non-sanitary Closed Waste Landfill)

  • 오영인;김관호;이동건;조숙희;박은숙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217-1224
    • /
    • 2010
  • These days, the maintenance of closed waste landfill come to the fore social problem such as legal maintenance period, after closed maintenance deposits, stability evaluation guides and environmental survey for closed landfill management. Therefore the many non-sanitary closed waste landfill has been removed by selection and transfer to sanitary landfill and incineration. When the remove the non-sanitary landfill, the pollution level of bottom soil was investigated by related government law. In this case study, the soil contamination surve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llution level of non-sanitary closed landfill bottom soil. Based on this study, the pollution level of studied non-sanitary landfill bottom soil was content with related government law for third area(factory, parking lot, gas station, road, railroad use etc.).

  • PDF

소각장에 대한 시민의식 조사분석 (Analysis of Citizen's Attitude to the Incineration)

  • 김중기;박창희;정재춘;이성택;허석
    • 유기물자원화
    • /
    • 제4권2호
    • /
    • pp.87-95
    • /
    • 1996
  • 소각장에 대한 주민위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민들이 가장 싫어하는 시설은 시체 화장시설, 쓰레기 적환장, 화학공장, 쓰레기 소각장, 위생매립지의 순이었다. 주거지역과 소각장까지의 최소 이격거리를 묻는 질문에는 1km 이상이 가장 많았고, 2km 이상이 그 다음이었다. 쓰레기 처리를 위해 앞으로 더 많이 필요한 시설에는 퇴비화 시설, 위생매립지, 소각장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완벽한 소각시설이 부득이 집 근처에 설치될때의 수용여부를 묻는 질문에서는 허용하겠다는 응답이 과반수를 넘었으며, 37.6%가 수용불가에 응답하였다. 쓰레기 소각장 후보지 선정과 같은 사업 추진시 행정기관의 강압적인 조치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동감한다는 대답이 과반수를 넘었다. 주민들은 광역소각장 보다도 1시 군 1소각장에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지역이기주의의 극복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완벽한 기술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그 다음이 행정의 민주화 공개화였다.

  • PDF

IEEE 802.11 기반 이동 ad-hoc 망에서 TCP 성능 향상을 위한 적응적 DCF 알고리즘 설계 (Design of Adaptive DCF algorithm for TCP Performance Enhancement in IEEE 802.11 based Mobile Ad-hoc Networks)

  • 김한집;이기라;이재용;김병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0호
    • /
    • pp.79-89
    • /
    • 2006
  • TCP는 신뢰성을 보장하는 전송 프로토콜로서 인터넷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송 방식이다. 하지만 TCP는 유선망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무선망에서 TCP를 사용할 경우 성능 저하가 발생된다. TCP의 성능 저하 원인으로는 MAC 계층에서의 무선 매체 경쟁, hidden-terminal 문제와 exposed terminal 문제, 링크 계층에서의 패킷 손실, 불공정성의 문제들과 노드의 이동에 의한 경로 단절시 발생되는 패킷 순서 바뀜 문제와 경로의 단절로 인한 재전송 타이머의 exponential backoff에 의한 대역폭의 낭비 등이 있다. 특히 이동 ad-hoc 망에서는 전송 범위(transmission range)와 간섭범위(interference range)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되는 hidden terminal 문제로 인해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노드의 수가 제한되며 이로 인해 성능저하가 크게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 기반 이동 ad-hoc 망에서 발생되는 hidden terminal 문제로 인해 노드가 전송을 하지 못하고 CW(contention window)만 크게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MAC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802.11 MAC의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에서는 전송에 실패할 경우 CW를 지수적으로 증가시키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노드가 전송 실패를 하였을 경우 그 원인에 따라 CW를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이 기법을 사용하면 hidden terminal에 의해 전송을 실패하는 노드에게 공정한 전송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TCP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