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rtim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1초

전시 함정 손실률 산정 방법론: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Implementation of Methodology for Wartime Warships Damage Rate Estimation)

  • 옥경찬;임동순;최봉완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7-147
    • /
    • 2017
  • Wartime warship damage rate indicates how much damage of friend warships shall have occurred during naval battles accomplished under specific war operational plans. The wartime damage rate analysis provides the baseline of wartime resources requirements. If wartime damage rate is overestimated, the national finance will get to negative effects because of exceeding the budget for inventory,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resources. Otherwise, if wartime damage rate is underestimated, the national defense will lose in the war because of lack of critical resources.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wartime damage rate accurately and reasonably. This paper proposes a systematic procedure to estimate the wartime warship damage rate. The procedure consists of five steps; force analysis, operation plan analysis, input variable definition, simulation modeling, and output analysis. Since the combat simulation model is regarded as the main tool to estimate damage rate, the procedure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model and experiments using the model. A case study with virtual data is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cedure.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전시국내 육로 수송 능력평가 (Evaluation of Wartime Domestic Overland Transportation Capability using Simulation)

  • 이진석;이상진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6-41
    • /
    • 2005
  • The ROK TRANSCOM and Army Logistics Command have established wartime overland transportation plans. They have to mobilize several wartime overland transportation troops in order to meet the wartime transportation requirement. But there are some uncertainties in the process of transportation such as the number of vehicles to mobilize, the vehicle utilization factor, and round trip time. Here, we established two models. One is the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the transportation capability considering uncertain factors. The simulation model is executed with two scenarios and then the results are analyzed through a sensitivity analysis. The other model is the regression model to analyze the effects of transportation factors toward capability.

전시 군수반응시간 최소화를 위한 복수 순회구매자 문제 (The Multiple Traveling Purchaser Problem for Minimizing Logistics Response Time in Wartime)

  • 최명진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31-437
    • /
    • 2010
  • It's strongly needed to minimize the logistics response time for supporting military operations in wartime.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ILP formulation for minimizing logistics response time in wartime. Main structure of this formulation is based on the traveling purchaser problem(TPP) which is a generalized form of the well-known traveling salesman problem(TSP). In the case of general TPP, objective function is to minimize the sum of traveling cost and purchase cost. But, in this study, objective function is to minimize traveling cost only. That's why it's more important to minimize traveling cost(time or distance) than purchase cost in wartime. We find out optimal solution of this problem by using ILOG OPL STUDIO(CPLEX v.11.1) and do the sensitive analysis about computing time according to number of operated vehicles.

전시 군수물자의 효율적 분배와 수송을 위한 TC 위치선정 방법론 연구 (Method of Location Decision far a Transfer Center Distributing a Necessary Resource Item whil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n Wartime)

  • 정병호;김익기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4
    • /
    • 2009
  • 전시 공군은 각 지역에 거점부대를 선정하여 해당 지역에서 동원되는 품목별 물자를 인수하고, 물자가 부족한 지역의 거점부대에 잉여물자를 분배하여 전체 부대가 일정한 군수지원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또한, 지역 거점부대는 해당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군소 운영부대들에 대한 DC(Distribution Center)의 역할도 담당하여 지역에서 동원되는 물자들과 타 지역 거점부대로부터 인수한 해당 지역 부족물자들을 군소운영부대에 분배한다. 하지만, 전시 동원물자 수송은 물자가 많이 동원되는 지역의 거점부대가 물자가 적게 동원되는 부대로의 분배 및 수송을 책임지기 때문에 동원물자들의 생산특성에 따라 지역 거점부대별 수송부담의 불균형과 다빈도 수송으로 인한 수송 자산(병력, 수송수단)의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공군본부나 군수사령부와 같은 상급부대는 전체적인 동원물자의 분배와 수송을 효율적인 방향으로 조정 통제하는데 대한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지역에 TC(Transfer Center)를 설치하여 물자를 분배하고 수송하는 방법론을 제시고자 한다.

Kingdon모형을 적용한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A Study on Wartime OPCON Transfer Policy Changes Applied Kingdon's Policy Model - Focussing on Administrations of Roh Moo Hyun and Lee Myoung Bak -)

  • 이정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291-295
    • /
    • 2022
  • 문재인 정부의 공약이었던 임기내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은 무산되었다. 1950년 6.25전쟁당시 이양된 이후 70여년이 지난 오늘날에 이르고 있는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정책은 그 간 전환결정과 번복을 수차례 거듭해왔다. 이러한 전작권 전환은 우리 안보와 직결되는 국가정책으로 정부의 전작권 전환 결정요인을 바로 이해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노무현 정부당시의 2006년, 이명박 정부당시인 2010년 2차례에 걸친 전작권 전환 정책 조정사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두 정부의 정책변동 비교를 통해 향후 도래할 전작권 전환 정책변동의 시기에 정책적인 예측력 뿐 아니라 성공적인 정책집행의 실마리를 얻길 기대한다.

태평양전쟁 말기의 수인(囚人) 동원 연구(1943~1945) -형무소 보국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bilization of Prisoners in the Late Wartime Period (1943~1945) -with a focus on the National Protection Corps of Prisoners-)

  • 이종민
    • 한일민족문제연구
    • /
    • 제33호
    • /
    • pp.67-111
    • /
    • 2017
  •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the wartime labor mobilization of prisoners on a large scale in/across colonial Korea and beyond during the late wartime period. More specifically, this article reveals the logic and mode of mobilization, and sorts out nationwide mobilization cases in colonial Korea. To this end, this article draws on documents and magazines published by the criminal administr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well as the memoirs of prisoners and prison staff including prison administrators and prison chaplains. With the onset of the wartime system, the labor work in prisons centered on the production of military supplies. In 1943, the labor mobilization began to organize the National Protection Corps and dispatch them to remote workplaces. For example, at the requests of the military, prisoners were selected and sent to Hainan Island, while others were sent to military factories and mining field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The authorities specified and adjusted the criteria for imprisonment based on education, physical strength, and other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Unconverted ideological offenders were excluded from the mobilization, and instead put under separate control. In preparation for mobilization, the prisoners trained in military drills, receive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underwent assimilation as imperial subjects through the preaching in prison. In order to induce prisoners to volunteer, a legislation system based on the shortening of the prison terms, including the parole system, was also promoted under the wartime system. As a result, prisoners were forced to work harder and faster even under the lowest of wages, poor food and poor housing conditions, and they also filled vacancies in managerial positions by serving as supervisory assistants. The reward system for them, however, did not function properly towards the end of the war, and the number of escapes and infectious outbreaks, as well as mortality rates rapidly increased under the harsh conditions.

전장 정비환경을 고려한 전시 표준정비인시 산출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Computing Standard Wartime Maintenance Man-Hour Incorporating Wartime Maintenance Condition)

  • 김민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77-483
    • /
    • 2021
  • 군의 정비체계에서 표준정비인시는 정비부대의 정비능력을 판단하는 도구로서 정비 소요와 작업량을 결정하는 기준을 제공하고, 정비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군 주요 장비의 평시 표준정비인시는 이미 선정되어 활용하고 있으나 전시 정비환경에서 표준정비인시는 미선정되어 이를 산출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전시에 정비 시설, 공구, 장비, 인력 등이 충분치 않고, 정비 목표와 수준이 평시와는 상이하므로 평시 표준정비인시를 직접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시 표준정비인시 산정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선별하는 과정과 기준을 제시하고, 표준정비인시 산출 프로세스에서 정비인시 분포의 특징을 분석하여 표준정비인시로서의 대푯값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시되는 전시 정비인시 산출 프로세스는 먼저 전시 정비환경을 고려한 기준과 가정사항 등을 반영한 모델을 설계하고, 표준정비인시 도출의 통계적 기법을 결정하며, 전시와 유사한 환경의 평시 정비실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정비인시 분포를 추정 및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대푯값을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제안된 방법을 토대로 육군이 운용 중인 4개 주요 전투장비의 전시 표준정비인시를 도출하였으며, 해당 장비들의 정비인시 분포가 로그 정규분포를 따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신뢰성 있는 결과값을 제시하였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관한 정책흐름 및 전문가집단 위상변동모형 사례분석 (PSECF (Policy Streams & Expert Group Standing Change Framework) for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ransition)

  • 박상중;고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37-47
    • /
    • 2014
  • 이 연구는 박상중 고찬이 제안한 '정책흐름 및 전문가집단 위상변동모형'(Policy Stream and Expert Group Standing Change Framework, 이후 PSECF)을 활용하여 참여정부의 전시작전통제권(이후 전작권) 결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전작권 전환 결정과정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과 진보성향의 국가안전보장회의(National Security Committee, 이후 NSC)의 강력한 의지는 정책개발과정의 주요 동인으로 작동하였으며, 국방부 및 합참 등 군사전문가집단의 의견은 정책에 수동적이라는 이유로 철저하게 배제되었다. 전문가집단의 위상변동 측면에서 볼 때 전작권 전환 결정이후 8개월 만에 보수성향의 정부가 출범하게 됨으로써 참여정부에서 전작권 전환을 주도한 NSC는 위상이 약화된 반면에 국방부 및 합참과 같은 보수진영은 그 위상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참여정부의 전작권 전환에 관한 이 연구는 상위 수준의 국가정책을 설명하는 정책도구로서 PSECF의 적용가능성을 제고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군집분석을 이용한 전시장비의 취약성 그룹 재분류 (Reclassification of the vulnerability group of wartime equipment)

  • 이한우;김수환;주경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3호
    • /
    • pp.581-592
    • /
    • 2015
  • 현재 한국군의 전시장비소요산정은 미군의 모델인 ELCON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전시장비소요산정을 위해 ELCON에서 적용하는 22개의 취약성그룹에 대한 구체적인 분류기준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2014년 국방전시기본품목 505종에 대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군집분석 방법을 통해 ELCON에서 사용되는 취약성그룹과 다른 새로운 취약성그룹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의 상황에 맞는 전시장비들의 취약성그룹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 추가될 장비 역시 해당 장비의 특성을 통해 분류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으로 전시 정확한 장비소요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시총동원체제기 여성의 강제동원과 사실 규명의 과제 (Forced Mobilization of Women during the wartim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and the task of Finding Facts)

  • 강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36-342
    • /
    • 2021
  • 일본제국주의는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키고 1938년 국가총동원법을 공포하면서 전시총동원체제를 구축해 나갔다. 전시총동원체제기에 접어들면서 일제는 여성들의 노동력에 주목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로도 여성들을 동원하였다. 식민지 조선은 물론 국외의 여성들까지 근로보국대, 여자근로정신대 등으로 강제로 동원되었다. 여성들은 가내 노동은 물론 이미 동원된 남성들의 노동을 대신해야 했으며, 동시에 강제로 전쟁을 위해 동원되는 열악한 상황에 처했다. 여자근로정신대의 동원은 관청의 알선, 모집, 자발적인 지원, 학교나 단체를 통한 선전, 취업 사기, 강제나 협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 강제적 여성 동원의 대표적 희생자였던 여자근로정신대 문제는 개별적으로 소송이 진행되며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남아 있다. 전시총동원체제기 여성의 강제동원에 대한 실체를 밝히기 위해서는 관련 기구를 통해 지속적인 연구와 사회적 교육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