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l fire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31초

측벽효과를 고려한 개구부 분출화염 거동 연구 (Study on the Ejected Plume from Opening Regarding Side-wall Effect in Fire)

  • 정재군;신이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9-220
    • /
    • 2016
  • The behavior of fire plumes has not yet been clearly identified for cases where sidewalls are installed near an opening in an unconfined space. In this research, we aim to quantitatively identify the effects on fire spread when sidewalls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an opening. Specifically, we focus on the effects on the fire plume of the 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of sidewalls and the opening, and carry out a scale-model experiment to devise a flame height model and to evaluat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flame.

  • PDF

목모보드를 이용한 건식벽체시스템 개발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ry Wall System using Wood-wool Board)

  • 김대회;박수영;최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08-215
    • /
    • 2008
  • 기존의 목모시멘트보드는 폐목재칩을 이용한 낮은 품질의 시멘트보드였으나, 최근 목재를 섬유형태로 가공하여 제조되는 목모보드는 미관이 수려하고, 흡음 및 단열성이 우수한 내장재로 외국에는 널리 알려진 재료이나, 국내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함에 따라 고가이며 안정적 자재확보의 문제로 인해 다양한 방면의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2005년부터 국내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경제성 확보 및 자재의 안정적 공급이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이 모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모보드의 활용을 높이기 위하여, 목모보드의 일반특성, 난연성능을 평가하고 건식벽체로 구성하였을 경우 내화성능을 평가함으로써 그 활용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Inorganic Polymer Concrete를 이용한 경량패널의 내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of Light Weight Inorganic Polymer Concrete Panel Wall)

  • 황지순;김우재;김대회;박동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05-206
    • /
    • 2011
  • 이노가닉 폴리머 콘크리트는 비소성 알카리 활성화 콘크리트의 일종으로 여러 가지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고온에서의 열적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이노가닉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경량패널을 제조하여, 소형가열로 내화시험을 측정한 결과 3시간 가열후 이면상승온도가 평균 82℃ 이하로 확인되어 공동주택의 내화벽체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아트리움 공간에서 화재발생시 복사열전달의 영향 분석 (Effects of Radiation Heat Transfer on the Fire in an Atrium)

  • 윤경범;장희철;김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8-24
    • /
    • 2007
  • 본 연구는 아트리움 방호공간에서 화재발생시 복사열전달의 유무에 따른 유동장 및 온도분포의 예측을 목적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화재모델로 Field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난류 모델로 SIMPLE 알고리즘이 적용된 표준 $k-{\varepsilon}$ 모델을 사용하였다. 복사열전달 해석에 필요한 복사물성치의 계산은 속도를 단축하며 정확성을 유지하는 WSGGM-RG를 사용하였다. 난류유동장과 복사열전달의 계산은 자체 개발된 CCRHT-3D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화재지점을 제외하고 아트리움의 천장부가 높은 온도분포로 나타났다. 유동과 온도의 분포가 출입문 방향으로 편향되고 화재의 위치에서 아트리움의 천장과 벽에 가까워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천장 스프링클러헤드의 작동 시점을 예측하는데 복사열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벽면 모델링을 이용한 저압용 일체형 코드의 화재확산 패턴 (The Fire Dispersive Patterns of the Power Cord Sets for Low Voltage Appliances in Wall-modeling)

  • 송길목;김향곤;김동욱;김동우;김영석;최충석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0-334
    • /
    • 2004
  • In this paper, we studied on the fire dispersive patterns and the fire progress at the power cord sets for low voltage appliances in the wall-model. For the experiment, we manufactured a wall-model and applied the external flame at the power cord sets. From the results, short-circuit of the power cord sets was haunted by the external flame it was disconnected with the flashing and the scattering. The fire progress on the polyvinyl chloride insulated flexibel cords is not observed because the ignition energy decreases. In case of rubber insulated flexible cords, however, the fire was progressed continuously. Molten marks were formed at a two electric wire by continuous electric discharge in power source part. A large molten mark was formed in load part. And the columnar structure and voids were observed in molten wire.

  • PDF

내장벽지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Wall Paper)

  • 오규형;최연이;이성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90-97
    • /
    • 2007
  • 주거공간에 사용되는 벽지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몇 종류의 벽지 시료에 대한 연소특성과 연소가스의 독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재의 잔량은 고온의 전기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TGA를 이용하여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소시간과 연기농도의 측정은 콘히터와 가스분석계를 사용하였고 연기밀도는 ASTM E662의 장치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실크벽지는 다른 벽지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열분해가 시작되었는데 이는 실크벽지가 낮은 열유속(heat flux)에서도 착화될 수 있으므로 다른 벽지보다 화재 위험성이 높다. 실크벽지의 복사 열유속에 의한 착화시간은 다른 시료들에 비해 짧아서 화재 시 피난 시간이 짧아져야 하며 비닐이 코팅된 실크벽지 연소 시 일산화탄소의 발생 농도가 가장 높아서 독성의 위험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실크벽지와 실크방염 벽지의 비닐 코팅으로 연기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부분밀폐공간내에서 화재로 야기되는 열 및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rmal and flow Characteristics Induced by Fire in a Partial Enclosure)

  • 박희용;한철희;박경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288-1300
    • /
    • 1994
  • Mathematical modeling and numerical calculation on the flow and thermal characteristics induced by fire in a partial enclosure are performed. The solution procedures include the Shvab-Zeldovich approximation for the physical transport equations, low Reynolds number k-.epsilon. model for the turbulent fluid flow and Discrete Ordinate method(DOM) to calculate the radiative heat transfer. PMMA(Polymethylmethacrylate) is adopted as a solid fuel. Two different cases are considered : combustions with and without gas radiation occuring in a open cavity for variable pyrolyzing location of PMMA. When the fire source is located at the left-wall, the flow region of flame gas is limited at the left-wall and ceiling and recirculation region of inlet gas is formulated at neat the floor. In case of neglecting the radiative heat transfer, more large flame size and higher temperature is predicted.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radiative heat transfer for analysis of fire phenomenon.

건물내 화재에 의한 연소가스 거동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Combustion Gas Behavior Induced by Fire in a Building)

  • 박희용;박경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267-281
    • /
    • 1994
  • The Combustion gas behavior induced by fire in a building is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typical building for this analysis is partially divided by a vertical baffle projecting from the ceiling. The solution procedure includes the low Reynolds number ${\kappa}-{\varepsilon}$ model for the turbulent flow and the discrete ordinates method is used for the calculation of radiative heat transfer equation. The effects of the location and size of fire source and baffle length on velocity and temperature distributions, species mass fraction and flame location are analyz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case when the fire source is located at the vertical wall is more dangerous than at the bottom wall in view of the combustion products and flame location. It is also found that the radiation effect cannot be neglected in analyzing the building in fi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