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king intentio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초

지능형 대퇴 의족 사용자의 의도 검출을 통한 제어 모드 변경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 Change Technique of Intelligent Above-Knee Prosthesis Based on User Intention Capture)

  • 신진우;엄수홍;류중현;이응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754-765
    • /
    • 2020
  • 최근 다양한 환경에서의 보행과 특정 동작에서 해당 모드를 지원하는 지능형 대퇴 의족이 개발되고 있다. 계단 상행, 하행과 같은 특정 제어는 동작 전 모드를 변경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를 기반으로 제어명령을 구분하는 기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대퇴 의족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기반하여 다양한 제어명령을 구분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근전도 신호의 보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평상시의 근전도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 성분과 압력센서로 추정한 근육의 부피 정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근전도 신호를 보상하는 것이며 실험을 통해 근피로가 축적되어 있는 상황에도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상된 사용자 의도 검출 기법을 통해 정해진 시간 내 근육의 수축 횟수를 기반으로 5개의 제어모드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실험 결과 운동 후 근피로로 인해 근신호의 세기가 평시와 다를 경우에도 근신호 보상을 통해 97.5%의 정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능형 대퇴의족 사용자의 보행 의도 추정을 위한 소켓 내 압력 변화 측정 센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ocket Pressure Change Measurement Sensor for Estimation Locomotion Intention of Intelligent Prosthetic leg User)

  • 박나연;엄수홍;이응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249-256
    • /
    • 2022
  • 대퇴의족은 절단하지를 대체하여 보행을 수행하는 기기이며,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보행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의 의도 제공을 통한 보행 모드 변경을 요구한다. 외부의 제어 기기 없는 자연스러운 보행 모드 변경을 위한 요구로 절단 부위와 직접 접촉하는 소켓 내부의 생체 역학적 특징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절단 부위의 신체 및 소켓 내부 환경에 적합한 센서 시스템의 요구가 남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절단 부위의 신체 특성에 적합하고 소켓 내부 온습도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양한 크기의 제작이 쉬운 필름 형태의 센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센서는 Velostat 필름으로 제작되었으며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압력 계측 특성이 고려되었다. 실험을 통해 착용자의 의도적인 자세 수행에 의한 소켓 내부 압력 변화를 계측하였으며 보행 모드 변경 의도 검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신발디자인 특성에 따른 경증 족부질환 환자의 정형 신발 구매의 의도와 만족도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Intention and Satisfaction on the Purchase of Orthopedic Shoes in Patients with Mild Foot Diseas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hoe Design)

  • 박준홍;이준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1019-1025
    • /
    • 2022
  • 최근 들어 잘못된 보행 습관과 생활환경으로 인한 족부 질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신발디자인 특성에 따른 경증 족부질환 환자가 정형 신발 구매시 만족도와 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신발 디자인 특성은 기능성, 편의성, 심미성으로 구성하였다. 심미성이 정형 신발 구매 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과 편의성의 요소가 영향이 적더라도 심미성이 높다면 구매의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 경증 족부질환별 사회활동 참여 빈도와 착용 목적에 따라 디자인 또한 다양한 요소들이 요구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알아본 정형 신발디자인 특성 요인을 더욱 보완하여 경증 족부질환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착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형 신발 디자인 개발과 현실적인 활용과 만족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북한산 둘레길 이용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itor Satisfaction for Bukhansan Dulegil)

  • 조우현;윤희재;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0-73
    • /
    • 2011
  • 2007년 9월 제주 올레길이 개장되고, 선풍적인 인기몰이를 하면서 전국적으로 '걷는 길'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고, 이에 따라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들도 다양한 '걷고 싶은 길'을 지정하거나 조성하고 있다. '걷고 싶은 길'은 차량에 의한 이동과 장소 중심의 단절된 점적 관광에서 벗어나 직접 걸으면서 지역의 경관 및 문화를 보고, 느끼고, 체험하는 연속적인 긴 선적 여행길이다. '걷고 싶은 길'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길을 발굴하여 최대한 활용하고, 지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태, 역사, 문화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연계하는 길로서, 노선 선정이 제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걷고 싶은 길'의 노선 선정 시 다양한 계획요소를 고려하고 노선 및 구간별로 다양한 테마를 부여하여 지정되거나 조성되었지만, 편의시설 부족 등에 따른 이용객의 불편함과 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길 지정 및 조성 이후 이용객들의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조성이 완료되어 많은 이용객들이 이용하고 있는 북한산 둘레길을 중심으로 이용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노선 선정 시 고려한 계획요소들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더 나은 길 조성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하여 노선 선정 시 중요한 계획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이용객을 대상으로 각 구간별 만족도, 재방문 의사, 추천의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파악한 구간별 특정을 기준으로 5개의 유형으로 길을 분류하고, 구간별 만족도와 유형별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계획요소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만족도가 재방문 의사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용객들이 인지하는 구간별 테마를 분석하였다. 구간별 만족도는 자연적 요소가 강한 구간이 높게 나타났으며, 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계획요소로는 '보행쾌적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만족도는 재방문 의사 및 타인에게 추천하려는 의사에 대하여 높은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깊이맵 센서를 이용한 3D캐릭터 가상공간 내비게이션 동작 합성 및 제어 방법 (3D Character Motion Synthesis and Control Method for Navigating Virtual Environment Using Depth Sensor)

  • 성만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827-836
    • /
    • 2012
  • 키넥트의 성공적인 등장 이후 이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바타에 해당하는 3차원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많은 인터액티브 콘텐츠가 제작되었다. 하지만, 키넥트의 특성 상 사용자는 키넥트를 정면으로 바라보아야 하며, 모션 또한 제자리에서 수행할 수 있는 동작 정도만으로 국한되었다. 이 단점은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요구기능 중 하나인 가상공간 내비게이션을 수행하지 못하게 하는 근본적인 이유가 되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두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방법은 첫 번째 단계로서 사용자의 내비게이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제자리 걷기 동작 제스처인식을 수행한다. 내비게이션 의도가 파악되면, 다음 단계에 현재 제자리 걷기동작을 상체와 하체 모션으로 자동으로 분리한 후, 미리 입력 받은 하체모션캡처 데이터를 현재 캐릭터 속도를 반영하여 수정한 뒤 분리된 원래 하체모션과 자연스럽게 교체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키넥트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상체 모션을 그대로 반영함과 동시에 모션캡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체 동작을 실제 걷는 동작으로 바꾸어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정하는 3차원 캐릭터는 가상공간을 자연스럽게 내비게이션할 수 있다.

병원 옥상정원의 이용후 평가 - 서울아산병원을 대상으로 -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Roofgarden at Hospital - A Case Study of Asan Medical Center -)

  • 김인혜;허근영;최아현;김유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8-72
    • /
    • 2003
  • Rooftop greenery has been used as a way to solve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by creating green space in densely populated ci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more effective designs for roof-garden at hospitals through a post-occupancy evaluation. The roofgarden of Asan Medical Center was evaluated with regards to setting, proximate environmental context, users, and design activity by a multi-method including plan investigations,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users' main activities included resting, walking, and talking. A number of users were observed at shaded spaces sitting on such things as benches, pergolas, and shelters.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showed high satisfaction level except in the amount of shade, facilities, and shelter. The variables affecting a overall satisfaction were ‘accessibility’, ‘safety’, ‘quality of surroundings’, and ‘suitability for speculation’. By comparing the design concept with using pattern, designer's intention was not reflected sufficiently in several aspects such as ‘event deck for therapy programs’, ‘grove and path’, and ‘low planters’. This study suggests some design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furnish shaded sitting places for passive behaviors and pathways for walking or a light exercise. A wind-break wall with glass windows could widen the users' views in a limited space. Natural shade like tree shade or pergola are more desirable than artificial shades. As for the vertical location of the roofgarden, the middle floor could be better than top area for accessibility. Characteristics of building and users should be considered in detail to provide distinct spaces. Proper technical standards for the greening of artificial ground should be established.

국제신체활동설문지(IPAQ)와 액티그래프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방암 생존자들의 신체활동량과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 의도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Measured by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and Actigraph Accelerometer, and Participation Intention for Physical Activity of Breast Cancer Survivors)

  • 박지연;김나현;강선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04-11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hysical activity as measured by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and an actigraph in breast cancer survivors, as well as to identify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physical activity program. Methods: Breast cancer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for more than six months (N=135) at a university hospital participated from June 2012 to May 2013.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IPAQ-Short Form and Actigraph GT3X plus an accelerator for seven consecutive day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19.0 program. Results: Mean total physical activity was 2298.21 metabolic equivalent task (MET)-min/week as assessed by IPAQ and 150,140.57 counts/day as measured by an actigrap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derate physical activity from IPAQ and light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from the actigraph (r=.735, p<.001), vigorous physical activity from IPAQ and vigorous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from the actigraph (r=.871, p<.001), total physical activity from IPAQ and light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from the actigraph (r=.825, p<.001), respectively. Most (80.7%) cancer survivors report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and 57.8% express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 physical activity program. More than half (60%) of the subjects preferred walking, 80.6% preferred more than 30 minutes of exercise, and 57.1% wanted to engage in physical activity three times a week and preferred home-based activities. Perceived barriers included fatigue, lack of strength and pa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ensity, personal preferences, and patient-perceived barriers when developing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공압근육을 사용한 발목근력보조로봇의 개발 (Development of Ankle Power Assistive Robot using Pneumatic Muscle)

  • 김창순;김정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8호
    • /
    • pp.771-782
    • /
    • 2017
  • 본 논문은 노약자들의 발목근력보조를 위한 착용형 로봇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기존 착용형 로봇들은 보행 시 필요한 근력을 보조하기 위해 대부분 모터와 감속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모터와 감속기의 조합은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감속기 치차의 마찰때문에 실제 사람의 근육과 달리 강성과 토크를 동시에 제어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터/감속기 조합보다 가볍고 안전하며 근력을 보조하는 힘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Mckibben 공압 근육을 사용하였다. 발목의 피칭 모션에 이용되는 종아리 가자미근 및 앞정강근의 힘을 한 쌍의 공압 근육을 사용한 상극구동으로 보조하였으며, 상극구동제어를 위해 상극구동 모델 파라미터들을 실험적으로 도출하였다. 사용자의 보행의지를 판단하고자 발바닥에 부착된 압력변위센서로 압력과 압력중심위치를 측정하여 발바닥의 하중과 발목토크를 계산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공압 근육 관절의 강성과 토크를 동시에 제어하였다. 최종적으로, 트레드밀에서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여 발목근력보조로봇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상하지가 연동된 보행재활 로봇의 제어 및 VR 네비게이션 (Control and VR Navigation of a Gait Rehabilitation Robot with Upper and Lower Limbs Connections)

  • 본단 노반디;윤정원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15-322
    • /
    • 2009
  • This paper explains a control and navigation algorithm of a 6-DOF gait rehabilitation robot, which can allow a patient to navigate in virtual reality (VR) by upper and lower limbs interactions. In gait rehabilitation robots, one of the important concerns is not only to follow the robot motions passively, but also to allow the patient to walk by his/her intention. Thus, this robot allows automatic walking velocity update by estimating interaction torques between the human and the upper limb device, and synchronizing the upper limb device to the lower limb device. In addition, the upper limb device acts as a user-friendly input device for navigating in virtual reality. By pushing the switches located at the right and left handles of the upper limb device, a patient is able to do turning motions during navigation in virtual reality.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of a healthy subject, we showed that rehabilitation training can be more effectively combined to virtual environments with upper and lower limb connections. The suggested navigation scheme for gait rehabilitation robot will allow various and effective rehabilitation training modes.

인공환경 분포방식에 의한 보행거리 인지 변화에 대한 연구 - 대학 캠퍼스 내 보행로의 실제거리와 인지거리의 차이를 중심으로 - (The Distortion of Road Distance Perception by the Pattern of Object Distribution - Focused on the Distance Estimation in the Campus by Students -)

  • 서경욱
    • KIEAE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91-96
    • /
    • 2014
  • The behavior of walking involves our action of seeing things. It is the intention of this research that the cognitive process of perceiving things along the path can affect the way we sense the length of the journey. The theory generally accepted in this line of thought is the 'feature accumulation theory'. It assumes that if the journey includes many objects or memorable features, then our memory recalls that journey much farther than it really was. This study set up a real-life experiment by asking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ir mental memory of the two different routes in the campus. One is a longer path that has not much to look at except trees and the other a shorter path yet with many buildings, sign boards and street furnitures. The subjects processed their mental image in the brain based on their experience. They showed a strong tendency that the path with more features were remembered longer while that with less features shorter. More interestingly, it was found that as their experience increases, they become more accurate about the exact length of the questioned paths. The result corroborates the theory that human perception of space is based on the topological understanding of surroundings rather than geometric understa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