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ker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에서의 벼밤나방(Sesamia inferens Walker)의 생태와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colgy and control for the purplish stem borer (Sesamia inferens Walker) in Korea)

  • 배상희;이정운;이병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7권
    • /
    • pp.27-32
    • /
    • 1969
  • 1. 한국에서는 벼 밤나방 (Sesamia inferens Walker)이 중남부지방에서 발생하여 이화명충과 유사한 가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유충태로 주로 지하부 도경에서 월동하고 년 2-3회 발생하였다. 2, 각 충태별 코기는 난이 $0.645\pm0,037\times0.399\pm0.757mm$, 유충이 $18.32\pm3.72mm$, 용이 $15.8\pm2.0mm$ 성충자아가 $11.56\pm1.35mm$, 웅아는 $10.36\pm0.87mm$였다. 3. 각충태별 기간은 각 화기에 따라 차가 컸으나 7-9월경인 2화기가 가장 짧았으며 그 기간은 란기$6.37\pm0.49$일, 유충기 $32.13\pm4.16$일, 용기 $13.38\pm0.92$ 성충기 $4.76\pm2.09$일였다. 4. 방제약제로는 Pot 시험결과 무처리 피해경율 $62.6\%$에 대하여 m.Parathion G $12.0\%$, EPNec$22.9\%$, Diazinon G $24.7\%$, Labaycid G $27.3\%$의 순으로 양호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인삼의 지용성 성분과 사포닌 유도체의 항암작용 연구 (Astudy on the Anticancer Activies of Lipid Soluble Ginseng Extract and Ginseng Sapongin DErivatives Against Some Cancer Cells)

  • 항우익;오수경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53-166
    • /
    • 1984
  •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petroleum ether extract of Panax ginseng root(crude GX) and its partially purified fraction from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7:3 GX) were studied with Sarcoma 180(S-180) or Walker carcinosarcoma 256 (Walker 256) in vivo and with L1210 leukemic lympocyte in vitro. Potential cytotoxic activities of the crude GX and against L1210 cell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5-Fluorouracil (5-FU) and saponin derivatives (Panax-diol, Panax-triol, Diol saponin, Triol saponin) in vitro. In order to observe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the crude GX and 7:3 GX on the animals with cancer, hemoglobin(Hb), red blood cell(R.B.C) and white blood cell after treatment with each GX in comparison with corresponding control groups, respectively. The anticancer effects of the crude GX and 7:3 GX were estimated by measuring the survival time of S-180 bearing mice after treatment with them.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ne unit of cytotoxic activity against L1210 cells was equivalent to 2.54$\mu\textrm{g}$ and 0.88$\mu\textrm{g}$of the crude GX and 7:3 GX per ml of culture medium, respectively. 2. The cytotoxic activities of Panax-diol, Panax=triol, Diol saponin and triol saponin against L1210 cells were not detected. 3.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5-FU against L1210, S-180 and Walker 256 were very effective in vivo and vitro tests. 4. The significantly increased W.B.C values of mice after inoculation with S-180 cells were reduced to normal range by the crude GX treatment. 5. The significantly decreased Hb values of rats after inoculation with Walker 256 were recovered to normal range by oral administration of the crude GX. 6. The survival times of mice inoculated with S-180 cells were extended about 1.5 to 2 times by the 7:3 GX treatment compared with their control group.

  • PDF

AZ31 마그네슘합금의 시편두께 조건에 따른 실험적 피로균열전파모델 평가 (Estimation of Empirical Fatigue Crack Propagation Model of AZ31 Magnesium Alloys under Different Specimen Thickness Conditions)

  • 최선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646-652
    • /
    • 2014
  • 본 논문의 목적은 AZ31 마그네슘합금의 균열성장거동의 경향을 묘사할 수 있는 실험적 피로균열전파모델을 시편두께 조건에서 평가하여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평가에 사용된 실험적 모델은 Paris-Erdogan 모델, Walker 모델, Forman 모델, 수정된 Forman 모델이며, 각 모델의 파라미터를 통계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최우추정법을 사용하였다. 두께조건이 피로균열전파거동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서 적합한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시편두께의 3가지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피로균열전파실험을 수행하여 통계적 균열성장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시편두께 조건에 따라 마그네슘합금의 균열성장거동의 경향을 잘 묘사하는 모델은 Paris-Erdogan 모델과 Walker 모델이며, 모델의 파라미터 중 피로균열성장속도지수는 시편두께가 4.75mm와 6.60mm 조건에서 재료상수가 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그러나 시편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양상에 차이를 보이므로 모델 선정 시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경남 진주에서 여치 Gampsocleis sedakovi abscura Walker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Life Cycle of Gampsocleis sedakovi abscura Walker (Orthoptera:Tettigoniidae) in Jinju, Gyeongnam)

  • 윤철호;박정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43-49
    • /
    • 2010
  • 본 연구는 경남 진주에서 여름철에 풀숲에서 아름다운 소리를 들려주는 정서곤충의 한 종류인 여치(Gampsocleis sedakovi abscura Walker)에 관한 생활사를 3년간 (2005~2007)에 조사한 결과이다. 여치는 1년에 1세대 발생하며, 성충의 몸길이는 암컷이 60 mm정도이며 수컷은 50 mm정도이었다. 몸의 색깔은 녹색 또는 암갈색의 두 종류가 있었다. 땅 속에서 알 상태로 월동하며, 야외에서 3월 상순부터 약충을 볼 수 있었으며 성충의 우화 최성기는 7월 상순이었다. 야외에서 알기간이 269일, 약충기간이 88일로 성충이 되기까지 357일이 걸렸다. 3년간 평균 산란기간은 63일이었고, 산란수는 평균 94개였다. 평균수명은 암컷이 90일, 수컷이 82일이었으며, 성비는 암컷이 52%이었다. 일일 중 성충의 우화는 오전 8시에서 10시 사이가 가장 많았다.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LOSED-FORM DESCRIPTION AND RECURSIVE-FORM REALIZATION OF ASAPTIVE CONTROL OF MANIPULATORS

  • Kubozono, Takeshi;Yamakita, Masaki;Furuta, Katsuhisa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1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제학술편); KOEX, Seoul; 22-24 Oct. 1991
    • /
    • pp.1785-1789
    • /
    • 1991
  • Recently, a number of papers on adaptive control scheme of manipulators are proposed. Slotine and Li[1] showed an adaptive control scheme for robot manipulator. The controller was described in closed form. And later Niemeyer and Slotine discussed about a computational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in recursive form[2]. Walker proposed another adaptive control scheme which can be implemented by a recursive-form controller[4]. Closed-form description is used for the analysis or design of adaptive control systems while recursive-form realization is used for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The relation between the closed-form realization and the recursive-form one seems to be inadequately referred. Hence, it makes sense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the closed-form description and the recursive-form one. In this paper, first, we make a simple derivation of an closed-form dynamics description of a robot arm from its recursive-form description. And then we derive the closed-form realization of Walker's scheme applied to manipulators having no kinematic loop. We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lker's scheme and Slotine's and evaluate the convergence under the controllers.

  • PDF

Walker와 Avant 기법을 활용한 원불교 마음공부집단상담 프로그램에서의 마음공부의 개념 분석 (The Concept Analysis of Won-Buddhism's Maumgongbu in Group Counseling based on Walker and Avant's Strategy)

  • 양경희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9-244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Maumgongbu to meet the needs of people by analysing the concept of Maumgongbu in group counseling.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Walker and Avant's Concept Analysis Strategy. Dictionaries, Wonbuddhism's Kyunjions and literatures, and participants' journals were reviewed after enrolling in Onsarm maumgongbu group counseling. Results : The attributes of the Maumgongbu include emotion, object, self-reflection, attribution, and creativity. The antecedents of "Maumgongbu" are the conditions arising from negative emotions. The Maumgongbu helps people find the emotional causality of their inner self by self-reflecting, getting out of false belief, restoring positive emotions, maintaining healthy and warm relationships with oneself, family, friends and society. Above all, the Maumgongbu makes people experience tranquility and true happiness and activate their positive energy or power. Conclusions : If there is a clear indication of linkage to principles, attributions, precedents and consequences, and empirical referents to any of Maumgongbu programs, there is no doubt that our understanding of the human mind and lives will be greatly enriched. Furthermore, self-discipline and steadfast complements give us calmness, peacefulness and better quality of life.

이화명충 (Chilo suppressalis W.)에 대한 벼품종 저항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Varietal Resistance of Rice to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 이정운;박중수;김홍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3-88
    • /
    • 1974
  • 이화명충(Chilo suppressalis Walker)에 대한 벼 품종별 저항성을 알기 위하여 통일(수원 21교, 진흥, IR747, 수원 229호 등 58개 품종을 공시하여 시험을 하였다. 실내시험에서 유충기간은 품종간 대차없었다. 유충체중은 감수성 품종에서는 34.4mg이었으나 저항성 품종은 18.0mg이었으며 용화율도 저항성 품종에서 높았다. 산난선호성 시험에서는 수원 240호 천추락 등이 낮은 선호성을 보였고 포장조사에서는 Tetep, 망게스 찰 IR747등이 낮은 피해경률을 나타내었다.

  • PDF

고령친화제품 사용성평가 및 기업지원 (Usability Evaluation and Company Supporting of Senior-friendly Products)

  • 정광태;전경진;원병희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57-164
    • /
    • 2010
  • 보행보조차와 욕창방지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고령친화제품의 사용빈도는 고령자 인구의 증가에 의하여 높아지고 있다. 고령자의 경우, 인간공학적으로 잘못 디자인된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성 측면에서의 문제뿐만 아니라 안전성 측면에서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고령자 사고의 상당부분은 고령친화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제품을 사용할 때의 고령자의 사용성에 대하여 산학협력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사용성 평가 프로그램이 고령친화제품을 개발하거나 제조하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개발되었고, 보행보조차와 욕창방지 매트리스에 대한 사용성이 평가되었으며 그 결과가 기업에 제공되었다.

  • PDF

Evaluation of Gait Assistive Device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Kim, Mi-Young;Lim, Bee-Oh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9-314
    • /
    • 2016
  • Objective: There are no guidelines for choosing appropriate gait assistive devic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gait assistive device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ethod: We evaluated 15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who did or did not use one of two different devices including canes and two-wheeled walker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GAITRite system. Results: Participants in the group using canes and two-wheeled walkers had significantly increased double support time and decreased gait velocity, normalized gait velocity, and stride length compared with those who did not. Participants who used a two-wheeled walker had significantly decreased gait velocity, normalized gait velocity, and stride length compared with those who used a cane. Furthermore, participants who used a two-wheeled walker had significantly decreased coefficients of variation for step time, stride length, and swing time compared with those who used a cane.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two-wheeled walker offered the most consistent advantages for decreasing the risk of falling.

무늬수중다리좀벌 Brachymeria lasus (Walker) (벌목:수중다리좀벌과)의 숙주식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Host Discrimination by Brachymeria lasus (Walker) (Hymenoptera: Chalcididae))

  • 이해풍;이장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33-240
    • /
    • 1991
  • 숙주인 미국횐불나방 번데기의 기생여부와 밀도에 따른 무늬수중다리좀벌의 숙주식별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페트리 접시(1.5$\times$9 cm)내에서 무늬수중다리좀벌의 숙주 번데기에 기생 시켰다. 무늬수중다리좀절의 중복산란률은 낮은 숙주 밀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무늬수중다리좀벌은 숙주에 산란여부를 촉각탐색과 산란관탐침에 의하여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각탐색에 의해서 인식되는 물질은 기생벌이 숙주에 산란할 때 숙주표면에 표지되는 물질로써 일정시간 후에는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늬수중다리좀벌은 산란관 탐침으로 기생된 숙주의 내부변화를 식별하여 산란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