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ge workers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24초

민유림영림단(民有林營林團)을 중심(中心)으로 한 임업노동력(林業勞動力) 소요(所要)·공급분석(供給分析) (Analysis of Labor Need and Supply in Forestry in Korea)

  • 김병구;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270-278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 나라 사유림(私有林) 중(中) 시업지(施業地) 3,503천ha를 법정림(法正林) 상태로 유도하기 위해 각종(各種) 산림사업(山林事業)에 필요(必要)한 임업노동력(林業勞動力)의 소요량(所要量)과 공급량(供給量)을 예측(豫測)하기 위하여 수행(遂行)되었다. 소요량(所要量)은 영급별(齡級別)로 구분(區分)된 시업면적(施業面積)을 기준(基準)으로 산림청의 산림시책상(山林施策上) 공정(工程)을 적용(適用)하여 파악하였으며 공급량(供給量)은 농산촌지역(農山村地城)으로 분류(分類)된 8개(個) 지역(地城)의 주민(住民)을 대상(對象)으로 제시된 임금 수준에서의 참여 여부를 설문조사하여 추정(推定)하였다. 그 결과(結果) 임업노동력(林業勞動力)의 소요량(所要量)은 연간 작업일수(作業日數) 200일(日)을 기준(基準)으로 할 때 39,190명이었으며, 공급(供給)은 실질임금상승률을 0%, 3%, 5%, 7%의 4가지로 구분(區分)하여 추정한 결과 0%에서는 인구감소율에 따라 공급인원이 갈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3%에서는 2005년 이내에는 소요량을 충족하기가 어려우며, 5%에서는 2003년과 2004년 사이에, 7%에서는 2001년과 2002년 사이에 각각 소요량을 충족시킬 것으로 예측(豫測)되었다.

  • PDF

무엇이 아픈 노동자들을 출근하도록 만드는가? 직업환경과 프리젠티즘(presenteeism)에 대한 연구 (What Makes Sick Workers Go To Work? A Study of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Presenteeism)

  • 신희주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3호
    • /
    • pp.35-71
    • /
    • 2018
  • 본 논문은 몸이 아픈데도 불구하고 출근을 하는 행위를 뜻하는 프리젠티즘(presenteeism) 과 연관되어 있는 직업 환경적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리젠티즘은 학술연구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개념이지만, 노동자들의 미래의 직업적 전망과 삶의 질에 위협을 가하는 중요한 요인이자, 노동생산성을 저하시킨다는 의미에서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된다. 이 연구를 위해 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하는 근로환경조사 2014년 자료가 사용되었고, 분석에는 15세 이상의 임금근로자 24,571 명이 포함되었다. 프리젠티즘의 경험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여 노동시간과 개인생활, 노동환경과 직장환경, 고용불안정, 보상과 복지 네 가지 측면에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로부터 1) 근무시간으로 인해 가족/사회생활의 어려움이 크다고 느낄수록, 2) 노동시간압박이 크고, 직장만족도가 낮을수록, 3) 직업불안정성이 클수록, 4) 복지 수준이 낮을수록 프리젠티즘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직장의 업무요구나 직업적 환경이 개인의 주관적 기대수준과 부조화가 나타나 개인적 자원의 손실이 예상될 경우, 건강상태가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출근을 하여 그 손실을 메우고자 한다는 본 논문의 이론적 논의와 일관된 결과라 볼 수 있다. 프리젠티즘은 노동자 개인의 삶의 질과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도 발생시키는 관행인 만큼, 조직적인 측면에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An Analysis on the Labor and Capital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 Choi, Min Soo;Kim, Moo Ha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91-9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ality of labor and capital productivi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an industry-level approach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and capital productivity using a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shown a very high capital productivity, while labor productivity has kept up a low level during the 1980s and 1990s. The reason was because of the lack of skillful construction workers and the decrease of capital. Meanwhil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has greatly increased since 2000 when there was no change in wages. This was because of a large inflow of low-wage foreign workers while the amount of value added has dramatically increased due to the liberalized sale price of apartment buil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the elasticity coefficient of V/L to K/L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d decreased from 1.1663 in the $1^{st}$ period(1971-1988) to 0.4465 in the $2^{nd}$ period(1989-1997), and to 0.1664 in the $3^{rd}$ period(1998-2003). Such a result means that the allocation of labor has gradually increased while the allocation of capital has decreased. Moreover there was a big increase in allocation of labor after 1998 due to the excessive deterioration of capital. In conclusion, in order to rais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to avoid labor-intensive production methods, investment for capital should be more increased. In particular, new machinery and equipment that can actually substitute human labor in construction sites should be more developed and applied to construction sites.

과잉교육의 원인과 경제적 효과 (The Cause and Economic Effects of Overeducation)

  • 오호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28권3호
    • /
    • pp.1-37
    • /
    • 2005
  • 본 논문은 고학력화에 따른 직장불일치의 중요한 지표로서 과잉교육에 주목하여 과잉교육의 원인,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과잉교육의 해소과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잉교육은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과 직업사전상의 필요학력을 기준으로 식별하였으며, 분석결과 과잉교육 규모는 전문대졸의 10.1%-20.7%, 대졸의 18.8%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질이 과잉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생1인당 학교시설면적이 과잉교육을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대학의 질은 임금에 제한적인 영향만을 미쳐 교육투자 확대가 졸업생의 임금상승에 별다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잉교육의 임금효과는 유의하지 않거나 미약하여 기업이 생산요소 대체, 신기술 도입, 직무내용 변화 등의 내부조정을 통해 하향취업한 근로자를 활용할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아울러, 과잉교육이 직장이동 경험에는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직장이동이 과잉교육 해소의 주된 통로는 아님이 밝혀졌다 이로부터 교육투자 확대가 과잉교육 해소에 제한적인 효과만을 가지며, 과잉교육에 따른 인적자원투자의 낭비가 심각하다는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청년층 실업과 엄친아효과 (Youth Unemployment and the Effect of My Mom's Friend's Son)

  • 배진한
    • 노동경제논집
    • /
    • 제33권2호
    • /
    • pp.1-26
    • /
    • 2010
  • 기존의 직업탐색이론을 한 단계 진전시킬 수 있는 '엄친아효과' 개념을 도입하고 그것이 청년층 미취업탈출확률에 미치는 효과를 부모님의 학력, 임시 일용직 비율, 대 중소기업 임금격차 비율 등의 대리변수들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추정 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소위 '엄친아효과'는 점차 강화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정책 함의로는 청년층의 구직기간 축소와 실업탈출 확률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노동시장에서 임금이나 일자리 질의 격차가 계속 확대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며, 또한 청년층 실업문제가 단순히 노동시장 정보의 정확한 제공만으로는 쉽게 해결되기 어렵다는 점 등을 도출해 낼 수 있다.

  • PDF

통합실업보험제의 후생분석 (Integration of Unemployment Insurance with Retirement Insurance and Its Welfare Analysis)

  • 윤정열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2호
    • /
    • pp.31-59
    • /
    • 2003
  • 본고는 실업보험과 연금을 통합시켜 실직자가 실업급여 이외에 자신의 미래 연금을 담보로 대출을 받게 되는 통합실업보험제의 후생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본고에서는 통합실업보헙제가 기존 실업보험제에 비해 후생을 증가시키는 경우를 제시하고 구체적으로 이 제도하에서 실업급여와 연금담보대출의 적정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통합실업보험제가 기존 실업보험제에 비해 후생적으로우월하고 실업급여 수준은 근로자 위험기피도, 구직유인의 중요성 그리고 실업기간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달라짐을 보이고 있다. 그밖에 본고에서는 같은 원리에 의해 연금을 실업보험 뿐아니라 다른 사회보험과도 동시에 통합하는 것이 후생적으로 바람직함을 강조하고 있다.

  • PDF

생산 품목과 생산량의 변화에 적용가능한 여성복 생산라인 설계 모델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production planning model for women′s wear manufacturer - focused on the changing style numbers and lot size -)

  • 박상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582-159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duction planning model for women's apparel manufacturer, which are relevant to the situation of Korean clothing industry. The research was based on simulation method. The basic model for the simula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empirical data from six production fm. After verifying the basic model, low alternative production plans went through trial run. In order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these alternative production plans for various style numbers and lot sizes,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in terms of product efficiency and product cost. The four alternative plans were as follows: 1. The first alternative was to spread out work loads among workers in order to resolve bottlenecks in work flow. So this was suited to manufacturers that had constant production without regard to changing seasons. 2. The second alternative was to merge the skirt and trouser production, which require less work load, in one line. In this line, a few machine was justified by production improvement. It was suited to cases which producted various style suits. The third and fourth alternative were using another subcontractor for assembling inner shell garments. These was compatible in manufacturers which had to product more styles and sizes of trousers and skirts than those of upper garments. 3. The third alternative was to reassign the same workers in production line. Thus, production was increased. 4. The fourth alternative was to except two worker in production line, so expenses of worker's wage was decreased. The four alternatives could be one of the cost effective manufacturing plans according to manufacturer situations.

경력직 노동력의 지역 간 이동에 관한 연구: 2008-2011년 고용보험통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ional Labor Migration in Experienced Employees' Sector: based on the yearly statistics of employment insurance 2008-2011)

  • 이정섭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4-128
    • /
    • 2014
  • 이 연구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의 고용보험통계를 이용하여 경력직 노동력 이동에 대해 16개 시도를 공간단위로 분석한 것이다. 우리나라 임금근로자 중 전체 상용직과 일부 임시 및 일용직 근로자가 고용보험 가입자이고, 이들 중 매년 약 40-50%의 경력직 근로자가 직장을 옮기고 있다. 이러한 고용보험 가입 경력직 노동력의 이동에 대해 첫째 전체 이동 근로자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그 권역을 탐색하고, 둘째 타 시도로 이동하는 근로자를 추출하고 유출비와 유입비를 이용해 지역 간 이동의 연계와 상호작용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이동권역은 지난 정부가 설정했던 5+2 광역경제권과 유사한 군집을 이루었지만, 지역 간 이동에 있어서는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이 나머지 시도에 탁월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 PDF

대구.경북지역 병원영양사의 직무특성, 업무수행도 및 조직몰입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Dietitians in the Taegu. Kyungpook Area)

  • 이민지;이연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72-68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dietitians. The first survey was carried out on 74 hospital dietitians to determine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second survey was carried out on 47 hospital foodservice dietitians to determine their job performance. Thirty-two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aged between 26 and 30, and 62.2% had Bachelor's degrees. The dietitians felt most satisfied by their co-workers, followed by the work-itself, supervision, pay, and promotion possibilities. Dietitians who had a higher education were satisfied with pay and supervision. The longer the length of employment, the more the satisfaction with the work-itself and pay, plus the higher the monthly wage the more the satisfaction with the work-itself, pay, supervision, and co-workers. lob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group that scored high on autonomy, feedback, task identity, and friendship of in the job characteristic inventory. The job performances of nutrition counseling(r= 0.469, p < 0.01), nutrition education(r= 0.446, p < 0.01) and management of therapeutic diet(r= 0.394, p < 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The $R^2$for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0.677, indicating that 67.7% of the variance in job satisfaction could be accounted for by feedback, organizational commitment, nutrition counseling performance, and nutrition education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for hospital dietitians would appear to improve with increased feedback,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pportunity for nutrition counseling and nutrition education.

  • PDF

AN ANALYSIS ON THE LABOR/CAPITAL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 Minsoo Choi;Jinu Kim;Moohan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968-97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ality of labor and capital productivi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an industry-level approach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and capital productivity using a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shown a very high capital productivity, while labor productivity has kept up a low level during the 1980s and 1990s. The reason was because of the lack of skillful construction workers and the decrease of capital. Meanwhil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has greatly increased since 2000 when there was no change in wages. This was because of a large inflow of low-wage foreign workers while the amount of value added has dramatically increased due to the liberalized sale price of apartment buil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the elasticity coefficient of V/L to K/L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d decreased from 1.1663 in the 1st period(1971-1988) to 0.4465 in the 2nd period(1989-1997), and to 0.1664 in the 3rd period(1998-2003). Such a result means that the allocation of labor has gradually increased while the allocation of capital has decreased. Moreover there was a big increase in allocation of labor after 1998 due to the excessive deterioration of capital. In conclusion, in order to rais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to avoid labor-intensive production methods, investment for capital should be more increased. In particular, new machinery and equipment that can actually substitute human labor in construction sites should be more developed and applied to construction si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