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ge

검색결과 1,030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영어 실력의 프리미엄 (The Wage Premium of English Skills in the Korean Labor Market)

  • 최형재;김진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32권2호
    • /
    • pp.61-93
    • /
    • 2009
  • 본고는 영어 실력이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어떤 대가로 이어지는지를 노동패널 10차년도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본다. 분석 결과, 영어 실력을 갖춘 사람들은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 비해 학력이나 연령을 통제하더라도 상당히 높은 임금을 받고 있지만 영어 점수가 높은 사람의 임금이 높은 현상은 관측되지 않았으며, 수능 백분위 점수를 통제할 경우에나 도구 변수법을 사용한 추정에서는 영어 프리미엄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결과들은 영어 실력이 더 나은 사람들이 받는 높은 임금이 영어 실력에서만 기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 PDF

여성 근로자 분포와 직무에 따른 직종별 남녀 임금격차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Wage Gap and Occupational Segregation)

  • 강주연;김기승
    • 노동경제논집
    • /
    • 제37권4호
    • /
    • pp.113-141
    • /
    • 2014
  • 본 연구는 1999-2011년의 한국 노동시장을 대상으로 Mincer(1974)의 임금함수와 Oaxaca(1973)의 임금격차분해 모형을 이용하여 남성집중직(블루칼라직, 화이트칼라직)과 여성집중직의 성별 임금 보상체계와 임금격차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임금 결정요인에 대한 보상은 대체로 남성이 여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임금격차액은 모든 직종에서 증가추세를 보였는데 화이트칼라직은 계수 격차, 여성집중직은 생산성 격차가 그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 임금격차의 접근방법이 직종별로 달라야 함을 시사한다.

  • PDF

노동조합 임금효과의 변화 : 1988~2007 (The Changes Over Time in Union Wage Premium in Korea: 1998-2007)

  • 김장호
    • 노동경제논집
    • /
    • 제31권3호
    • /
    • pp.75-105
    • /
    • 2008
  • 본고는 노조 유무별 부문 내부의 임금구조 차이를 고려하여 1988년 이후 20년간 노조의 임금프리미엄과 특징적 변화를 분석했다. 추정된 노조의 임금 프리미엄은 20년간 평균 3.4%이며, 남성의 노조프리미엄은 전체 근로자보다 낮았다. 1997년 이전에는 1.7%였으나 그 이후에는 5.1%로 급증했다. 20년간 노조 임금프리미엄의 추세는 경기역행적이며, 이는 향후 노조 임금프리미엄의 변화를 전망하는 주요한 틀이 될 것이다. 외환위기 이후 노조 유무별 임금격차의 급등은 근로자 및 기업 특성 등 구성적 요소의 변화가 핵심이라는 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PDF

The Effect of Enhancing Unemployment Benefits in Korea: Wage Replacement Rate vs. Maximum Benefit Duration

  • KIM, JIWO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0권3호
    • /
    • pp.1-44
    • /
    • 2018
  • This paper studies the macroeconomic effects of an enhancement in unemployment benefits in Korea. In particular, I quantify the welfare effect of two specific policy chances which have been mainly discussed among policymakers in recent years: increasing wage replacement rates by 10%p and extending maximum benefit durations by one month. To this end, I build and calibrate an overlapping generation model which reflects the heterogeneity of the unemployed and the specificity of the unemployment insurance (UI) system in Korea. The quantitative analysis conducted here shows that extending maximum benefit durations by one month improves social welfare, whereas increasing wage replacement rates by 10%p deteriorates social welfare. Extending maximum benefit durations is applied to potentially all the UI recipients, including unemployed workers whose wage before job loss is relatively low and whose marginal utility is relatively high. However, increasing wage replacement rates is applied to only a small number of UI recipients whose wage before job loss is relatively high, while the increase in the UI premium is passed onto all of the employed. This study suggests that given the current UI system and economic environment in Korea, it is more desirable to extend maximum benefit durations rather than to increase wage replacement rates in terms of social welfare.

명목임금의 경직성과 고용변동성 (Nominal Wage Rigidity and Employment Volatility)

  • 황상현;이진영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0권4호
    • /
    • pp.137-151
    • /
    • 2019
  •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this paper estimates nominal wage rigidity in Korea by industry from 2005 to 2017 and evaluates the level of inefficiency of Korean labor market. And, after estimating employment volatility by industry using the Labor Force Survey at Establishments data for Korea, we combine the nominal wage rigidity and the employment volatility estimates and analyze the effect of nominal wage rigidity on employment volatility in Korea from 2011 to 2017. If the level of wage rigidity is high, it may be hard for the labor market to be in the equilibrium, and therefore, the market may have inefficiency. We find that the inefficiency of the labor market in Korea have increased from 2005 to 2017 and the industry of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 activities has the highest level of inefficiency over the period. We also find that one-percent-point increase in wage rigidity increases employment volatility by 2.3-2.9 percent and the positive effect is bigger for workers with part-time and temporary jobs. The result implies that firms may adjust their labor costs by changing the number of casual workers, rather than permanent workers, when the labor market suffers from a high level of wage rigidity.

Can Minimum Wage Policy Increase Personal Income? -Evidence from China

  • Fan YANG;Shuang ZHANG;Ya-Hao LI
    • 웰빙융합연구
    • /
    • 제6권4호
    • /
    • pp.1-10
    • /
    • 2023
  • Purpose: As an important provision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low-income groups, it is worth studying whether the minimum wage policy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Using data from the 2015 and 2017 China General Social Survey (CGSS), this paper employs the logit model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an individual's annual income being higher than the per capita disposable income of their province. It also utilizes the DID model to analyze the impact of minimum wage increases on individuals' annual incomes. Results: The analysis reveals that an overall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raises the probability of an individual's annual income exceeding the per capita disposable income by 3%. Among them, the probability increased by 2.2% for males and by 3.2% for females. Furthermore, the impact of the minimum wage on annual income vari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income level. Notably, the most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is observed for individuals whose income level is close to the minimum wage standard. Conclusions: This provides evidence that the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has effectively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for the population.

중국의 경제개혁 후 임금격차의 지역구조 (Regional Structure of Wage Inequality in Post-reform China)

  • 이원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701-716
    • /
    • 2000
  • 본 연구는 중국의 경제개혁 후 새로이 등장하는 격차의 문제를 이해하기 위하여 소유권형태별 임금의 격차와 그 지역 구조를 고찰한다. 공업부문의 임금자료를 이용하여 소유권유형간 임금격차의 역사적 변화와 그 공간적 차별성을 조사하였다. 이 논문은 중국의 공업부문에서 국가-기업의 관계를 결정하는, 변화하는 재분배경제체계라는 맥락안에서 임금격차의 패턴이 이해되어야 한다고 본다. 왜냐하면 그러한 관계가 아울러 임금격차를 포함한 제 노동시자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소유형태별 임금격차의 지역구조 또한 지역내의 임금수준과 임금결정 요인간의 차별화된 관계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 연구의 논의 중국의 경제개혁 후 새로이 나타나는 사회적, 공간적 불평등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 PDF

임금분산에 대한 노동조합의 효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Labor Unions on the Wage Variance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 강승복;박철성
    • 노동경제논집
    • /
    • 제37권3호
    • /
    • pp.45-73
    • /
    • 2014
  •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88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의 노동조합이 제조업에 종사하는 남성 근로자의 임금분산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20여 년 동안 노조-비노조부문 간 임금분산의 격차가 확대된 것은 비노조부문에서 사업체 간 임금분산이 급격히 확대되었기 때문이었다. 노조부문의 사업체 간 임금분산이 별로 변하지 않은 것은 사업체 노조 사이에 연대임금정책이 작동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노조와 비노조부문 간 임금분산의 격차를 분해한 결과 최근에 인적자본에 대한 보상의 차이로 인한 분산의 격차가 확대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노동조합은 전체 근로자의 임금분산을 축소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이는 노동조합의 약화가 임금불평등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였음을 시사한다.

  • PDF

공기업 직무급여제도 전환 연구 (The Change of Job Wage System in Public Sector)

  • 박종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424-432
    • /
    • 2018
  • 직무급은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의 특징에 관계없이 직무의 가치에 따라 기본급이 결정되는 보상체계"이다. 2016년 근로자들의 정년이 60세 법제화의 영향으로 임금체계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문재인정부에서는 전 정부에서 도입된 성과연봉제를 직무급제도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즉, 연공급여에서 성과연봉도입, 그리고 직무급제도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공공 기관들의 직무급여의 전환과 관련하여 사례기관을 조사 분석하였다. 즉, 성과연봉제 관련 직원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성과연봉제의 직무급제도로의 전환 관련 내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과연봉제에 전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 점과 직무급제도로의 전환 또한 반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의 개선을 위해서는 성과연봉제와 직무급의 부정적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 성과 및 직무에 대한 공정한 평가기준 마련 등 관련 문제 개선, 직무급전환에 반대하는 직원 설득 등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행정직원의 임금만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Satisfaction with Salary of the Clerical Staff in Health care Organization)

  • 김태성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8권
    • /
    • pp.103-127
    • /
    • 2002
  • In this study, satisfaction with salary of the clerical saff in health care organization was analyzed with a view to provide data contributive to efficient wage management for the clerical staff of hospitals. For the analysis, it was investigated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wage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s as well as comparative factors perceived by self or by others in-and outside the working place.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n support of the hypothesis that the satisfaction with wage of the clerical staff in hospitals will individual factor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the satisfaction with wage depending on age and career, but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and education. Thus, the hypothesis I in this study can be partly adopted. Second, with regard to the hypothesis that the satisfaction with wage of the clerical staff in hospitals will vary with environmental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comparative factors perceived by self or by others inside the working place and those perceived by others outside the working place,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shown in the comparative factors perceived by others outside the working place. Wherea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wage depending on the position, which led to the partial adoption of the hypothesis II. This study has following limits in search of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wage of clerical staff in hospital depending o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e sample is too small to represent the general wage level satisfaction of the whole health care organizations, since the survey hasn't covered the wage level and management of the employees in all hospitals; the professional attitude and rate of fluctuation that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wage level are not conside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