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

검색결과 47,736건 처리시간 0.055초

한국산 Agrobacterium plasmid의 유전학적 성상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Genetic Characterization of Plasmids of Agrobacterium Species Isolated in Korea)

  • 김정희;구용범;이기영;정재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41-48
    • /
    • 1984
  • 한국형 Agrobacterium tumefaciens의 분리 및 tumor inducing ($T_1$) plasmid의 유전적 특성을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grobacterium군은 사과나무($A_1-A_3$), 미류나무($W_1{\sim}W_6$), 은사씨나무($P_1-P_3$) 및 장미($R_1$)의 crown gall tumor에서 도합 13종을 분리하였으며 각 군의 plasmid를 관찰한 결과 ATCC 15955보다 $P_1$$A_2$가 크기가 컸으며 $W_2$, $W_3$, $W_6$$P_3$는 작았으며 각균의 tumor 유도는 해바라기에 ATCC 15955와 Korean type $W_2$ ($KW_2$)을 접종한 것에서만 각각 접종 4주 및 6주만에 crown gall을 관찰하였다. 아울러 두균종의 $T_1$ plasmid($pT_1$)를 정제하여 몇종의 게한효소를 처리 하였으며 $pT_i$ ATCC 15955와 $pT_1KW_2$는 EcoR I 처리로 25개 및 27개의 band를, Hind III로 23개와 21개, BamH I으로 각각 20개 및 Hpa I으로 12개 및 27개의 band를 관찰하였으며 크기는 $pT_i$ ATCC 15955가 200 kbases(kb)로 $pT_1KW_2$가 87 kb로 관찰 되었다. 아울러 cctopine은 $W_1-W_6$$P_1-P_3$균에 의한 tumor조직에서 관찰 되었고 이들균을 octopine type균으로 사료 되었다.

  • PDF

Hexapotassium Undecahydrogen Tetratungsto Hexaantimonate(Ⅴ) Tetraphydrate의 결정 구조 (Crystal Structure of Hexapotassium Undecahydrogen Tetratungsto Hexaantimonate(Ⅴ) Tetrahydrate)

  • 박기민;;이욱;이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59-365
    • /
    • 1994
  • Hexapotassium undecahydrogen tetratungsto hexaantimonate(V) tetrahydrate 단결정의 X-선 회절 강도 데이타로부터 결정 구조를 정하였다. 결정학적 데이타는 다음과 같다. $K_6H_{12}[Sb_6W_4O_{36}]{\cdot}4H_2O$, Fw = 2360.62, tetragonal, I$4_1$/a, a = 10.799(1) $\AA$, c = 35.244(5) $\AA$, V = 4110.1(7) $\AA^3$, Z = 4, $D_x$ = 3.82 g$cm^{-3}$, $\mu(MoK\alpha)$ = 160.15 $cm^{-1}$, T = 293 K, final R = 0.0356 for 2400($F_0 > 3\sigma(F_0))$의 독립적인 회절 강도를 이용하여 최종 신뢰도 인자 R = 0.0356를 얻었다. $[H_{12}Sb_6W_4O_{36}]^{6-}$ 다중 음이온은 1개의 W원자, 2개의 Sb원자 및 9개의 산소 원자가 독립적이며 점군 $\bar4(S_4)$에 속한다. 이 다중 음이온은 열린 두 개의 Sb(3)$O_6-W(1)O_6-Sb(2)O_6-W(1)O_6-Sb(3)O_6$ 팔면체 오각 고리가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Sb-W, Sb-O, 및 W-O 원자간 거리의 범위는 각각 3.2304(9) - 3.2403(5) $\AA$, 1.745(8) - 2.334(6) $\AA$, 및 1.914(7) - 2.039(7) $\AA$이다.

  • PDF

방전플라스마에 의한 NOx, SOx 분해시 메탄첨가의 영향 (Effect of CH4 Addition in Case of Decomposition of NOx, SOx by Discharge Plasma)

  • 강현춘;우인성;강안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0-77
    • /
    • 2000
  • For hazardous air pollutants(HAP) such as NO, $NO_2$ and $SO_2$ decomposition efficiency, power consumption, and applied voltage were investigated by SPCP(Surface induced discharge Plasma Chemical Processing) reactor to obtain optimum process variables and maximum decomposition efficiencies. Decomposition efficiency of HAP with various electric frequencies(5~50 kHz), flow rates(100~1,000 mL/min), initial concentrations(100~1,000 ppm) and additive($CH_4$) were measured and the products were analyzed with FT-I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for the frequency of 10 kHz, the highest decomposition efficiency of 94.3 % for NO, 84.7 % for $NO_2$ and 99 % far $SO_2$ were observed at the power consumptions of 19.8, 20 and 19W, respectively, and that decomposition efficiency decreased with increasing frequency above 20 kHz. And decomposition efficiency per unit power were 5.21 %/W for $SO_2$, 4.76 %/W for NO and 4.24 %/W for $NO_2$ and the highest decomposition efficiency was observed with $SO_2$. Decomposition efficienc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residence times and with decreasing initial concentration of pollutants. When the additive of $CH_4$ was used, decomposition efficienc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CH_4$ content, and NO, $NO_2$ and $SO_2$ were almost completely decomposed with the efficiency of 99 %, 98 % and 99 %, respectively and therefore $CH_4$ was a good additive material. The optimum power for the maximum decomposition efficiency were 7.5 W for $SO_2$, 9.5 W for NO and 15.5 W for $NO_2$, respectively. Optimum power with the maximum decomposition efficiency were 9.5 W at 1,000 ppm of NO, 7~8 W at 100~500 ppm of NO and 15.5 W at all concentration range of $NO_2$ and 11.5 W at 1,000 ppm, 4.9 W at 500 ppm, 3.7 W at 100~300 ppm of $SO_2$ and power efficiency was best in these case.

  • PDF

차량 연비개선을 위한 자동변속기유 열교환기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Auto-Transmission Fluid Heat Exchanger for Improving Vehicle Fuel Efficiency)

  • 장충만;이용규;강병동;유재석;이종화;김현정;김동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9호
    • /
    • pp.947-954
    • /
    • 2011
  • 차량에서 구동계의 의한 손실은 전체 연료 소비 손실에서 약 4%를 차지하며 그 중에서도 자동변속기는 구동계 손실에 큰 영향을 끼친다. ATF W/C 열교환기는 근래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부품인데, 자동변속기 윤활유의 온도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시켜 줌으로서 연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TF W/C 열교환기 단품 특성을 실험적으로 파악하고, ATF W/C 열교환기가 실제 차에 장착되었을 때의 연비 개선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ATF 와 냉각수의 온도와 유량에 대한 유용도를 파악하고 유용도를 예측하기 위한 상관식을 도출하였다. MATLAB의 Simulink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ATF W/C 열교환기 유무에 따른 연료 소모량을 비교 하여 연비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ATF W/C 열교환기가 장착된 자동차는 0.992% 연비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고출력 LED 패키지용 고밀도 W-20wt%Cu 나노복합체 제조에 관한 연구

  • 류성수;박해룡;김형태;이병호;이혁;김진우;김영도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6.2-26.2
    • /
    • 2010
  • 최근에는 차세대 조명용 후보광원인 고출력 백색 LED를 개발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며, 이를 위해 업체가 고심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가 칩에서 발생하는 열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하는 방열의 문제이다. 따라서, LED의 가장 큰 특징인 장수명을 손해보지 않기 위해서는 칩에서 발생되고 있는 열을 외부에 확산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다양한 방열소재 중 W-Cu 복합재는 W의 낮은 열팽창계수와 Cu의 높은 열전도도로 인해 방열소재로써 유망한 소재로 주목받고 있으나, 우수한 열적 특성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고치밀화를 갖는 W-Cu 복합재 제조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W-Cu 복합체는 일반적으로 액상소결법을 통해 균일한 미세조직을 얻을 수 있으나, 열팽창계수를 낮추기 위해 Cu 함량이 적어지게 되면 치밀화가 어려우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노입자를 갖는 분말을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과 Cu 산화물을 이용하는 것이 구성성분끼리의 편석이 발생하지 않으며, 소결성도 우수하여 양산화에 가장 접근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얻어진 W-Cu 복합체의 경우, 분말상태에서의 얻어진 나노입자가 승온시에 마이크로 크기로 과도한 입자성장이 일어나기 때문에 소결 후에도 나노크기를 유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성상끼리의 응집체가 형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액상소결후에 W 입자가 Cu 기지내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동시에 나노크기의 입자를 가지는 고분산 W-Cu 소결체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금속산화물 분말의 분쇄를 위해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진 습식상태에서의 고에너지 볼밀링을 통하여 혼합된 텅스텐과 구리 산화물 분말의 수소환원공정을 통해 얻어진 100nm 이하의 입자를 가지는 W-20wt%Cu 나노복합분말을 출발분말로 사용하였다. W-20wt%Cu 나노복합분말의 성형체를 $1050^{\circ}C-125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소결거동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1100^{\circ}C$ 온도에서 이론밀도에 가까운 소결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기존에 비해 $100^{\circ}C$ 정도 치밀화 온도를 낮추는 결과이다. 소결체의 미세구조 관찰결과, 소결 후 약 200nm의 텅스텐 입자가 Cu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었다. 제조된 W-Cu 시편에 대해서는 LED 응용성을 조사하기 위해 열전도도와 열팽창계수 등을 평가하였다.

  • PDF

W 및 Ti 박막 위에서 나노결정질 다이아몬드의 성장 거동 (Growth of Nanocrystalline Diamond on W and Ti Films)

  • 박동배;명재우;나봉권;강찬형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45-152
    • /
    • 2013
  • The growth behavior of nanocrystalline diamond (NCD) film has been studied for three different substrates, i.e. bare Si wafer, 1 ${\mu}m$ thick W and Ti films deposited on Si wafer by DC sputter. The surface roughness values of the substrates measured by AFM were Si < W < Ti. After ultrasonic seeding treatment using nanometer sized diamond powder, surface roughness remained as Si < W < Ti. The contact angles of the substrates were Si ($56^{\circ}$) > W ($31^{\circ}$) > Ti ($0^{\circ}$). During deposition in the microwave plasma CVD system, NCD particles were formed and evolved to film. For the first 0.5h, the values of NCD particle density were measured as Si < W < Ti. Since the energy barrier for heterogeneous nucleation is proportional to the contact angle of the substrate, the initial nucleus or particle densities are believed to be Si < W < Ti. Meanwhile, the NCD growth rate up to 2 h was W > Si > Ti. In the case of W substrate, NCD particles were coalesced and evolved to the film in the short time of 0.5 h,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diffusion of carbon species on W substrate was fast. The slower diffusion of carbon on Si substrate is believed to be the reason for slower film growth than on W substrate. The surface of Ti substrate was observed as a vertically aligned needle shape. The NCD particle formed on the top of a Ti needle should be coalesced with the particle on the nearby needle by carbon diffusion. In this case, the diffusion length is longer than that of Si or W substrate which shows a relatively flat surface. This results in a slow growth rate of NCD on Ti substrate. As deposition time is prolonged, NCD particles grow with carbon species attached from the plasma and coalesce with nearby particles, leaving many voids in NCD/Ti interface. The low adhesion of NCD films on Ti substrate is related to the void structure of NCD/Ti interface.

Acinetobacter sp. B-W의 2, 3-dihydroxybenzoic acid 생산과 항생제 저항성에 미치는 플라스미드 제거 효과 (Effect of plasmid curing on the 2, 3-dihydroxybenzoic acid production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Acinetobacter sp. B-W)

  • 김경자;김진우;양용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54-259
    • /
    • 2016
  • 시드로포어인 2, 3-dihydroxybenzoic acid (DHB)를 생산하는 Acinetobacter sp. B-W의 플라스미드를 분석한 결과, 20 kb 크기의 플라스미드를 함유하였다. 배양 온도 $43^{\circ}C$ 가 플라스미드가 제거된 돌연변이체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이 돌연변이체는 2,3-DHB 생산 능력을 소실하였으며, chrome azurol S (CAS) 아가 배지에서 시드로포어 생산이 검출되지 않았다. 포도당과 황산 망간을 함유한 배지에서 $28^{\circ}C$로 3일간 배양한 B-W 원 균주와 돌연변이체의 배양 상등액의 pH는 각각 4.5와 8.5로 나타났다. 돌연변이체에서는 ampicillin, actinomycin D, bacitracin, lincomycin과 vancomycin 같은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이 사라졌으며, 이러한 항생제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MIC)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B-W 균주에서 분리한 플라스미드로 대장균을 형질전환시킨 결과, 원 균주와 같은 크기의 플라스미드가 이 형질전환 대장균에서 발견되었다. 플라스미드가 제거된 돌연변이체에서는 플라스미드가 발견되지 않았다. 20 kb 크기의 플라스미드에 2,3-DHB 생산 유전자와 여러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가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초등학생들의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개념 유형과 수업 방법의 제안 및 효과 (Conception Typ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Moon Phase Changes and the Suggestions and Effects of Teaching Methods)

  • 손준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89-301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삼구의를 활용한 기존의 수업 방식으로는 학생들이 달의 위상변화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사들 조차도 제대로 된 이해가 부족한 채 지도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삼구의를 활용한 달의 위상변화 학습에서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 유형을 161명의 응답 결과를 토대로 분류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 자료를 재구성한 교수 학습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그들의 이해 유형이 어떻게 변하였는지 확인하였으며, 129명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는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 총 8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는지 심층 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크게 C 유형과 W 유형을, 세부적으로는 W1, W2, W3, W4, W5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보름달 보다는 초승달과 상현달의 위상 원리를 더 어려워하였다. 그리고 재구성한 교수 학습 방법을 활용해 보충수업을 실시한 65명의 실험집단 학생들이 지도서의 내용으로 보충수업을 실시한 64명의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학업성취도 사후 검사뿐만 아니라 추후 검사에서도 효과가 있었다. 심층 면담에서도 교사 학생 모두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해 주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달의 위상변화와 관련된 활동을 삼구의를 활용해 학습할 때는 결과만을 암기하는 학습에서 벗어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초등학생들에게 도움을 주는 단계별 학습 자료를 적극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원자력용 개량 9Cr-1Mo 및 9Cr-0.5Mo-2W 강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 연구 (A Study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odified 9Cr-1Mo and 9Cr-0.5Mo-2W Steels for nuclear Power Plant)

  • 김성호;송병준;한창석;국일현;류우석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11호
    • /
    • pp.1137-1143
    • /
    • 1999
  • 액체금속로 전열관재료용 개량 9Cr-1Mo강의 특성에 미치는 텅스텐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개량 9Cr-1Mo강에 텅스텐을 2wt.% 첨가하여 템퍼링 온도에 따른 기계적 특성 및 미세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템퍼링시 전위회복에 의해 형성되는 셀 구조가 나타나는 템퍼링 온도는 개량 9Cr-1Mo강의 경우 $700^{\circ}C$인 반면, 텅스텐을 첨가한 9Cr-0.5Mo-2W강의 경우는 $750^{\circ}C$이었으며, 이 결과로부터 텅스텐 첨가는 전위회복을 지연하였음을 알 수 있다. 텅스텐을 첨가하여도 템퍼링 온도에 따라 생성되는 석출물의 종류는 차이가 없었으나, 텅스텐을 첨가한 강에 있는 석출물에는 텅스텐이 포함되어 있었다. 텅스텐의 첨가로 경도값, 고온 인장강도 그리고 항복강도가 증가하였다. 이것은 텅스텐 첨가로 인한 미세구조의 안정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충격시험에서는 항복강도가 낮은 개량 9Cr-1Mo강이 더 우수한 충격파괴특성을 가졌다.

  • PDF

북동태평양 북위 10.5°에서 동물플랑크톤의 경도별 분포 특성 (Longitudin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at 10.5°N in the Northeastern Pacific)

  • 강정훈;조규희;손주원;김웅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283-295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variations in zooplankton abundances and their relat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t nine stations located between $136^{\circ}W$ and $128^{\circ}W$ at $10.5^{\circ}N$ in the northeastern Pacific in summer 2004. Temperature, salinity, inorganic nutrients, chlorophyll-a (hereafter chl-a) and zooplankton ($>200\;{\mu}m$) were sampled within the depth from the surface to 200 m depth at $1^{\circ}$ longitude intervals. Zooplankton($>200\;{\mu}m$) samples were vertically collected at two depth intervals from surface to 200 m, consisting of surface mixed and lower layers (thermocline$\sim$200 m). Longitudinal distributional pattern of hydrological parameters (especially salinity) was physically influenced by the intensity of westward geostrophic current passage relating to the NEC (North Equatorial Current). Data from the longitudinal survey showed clear zonal distributions in the hydrological parameters(temperature, salinity and nutrients). However, spatial patterns of the chl-a concentrations and zooplankton abundances were mostly independent of the zonal distributions of hydrological parameters. The two peaks of zooplankton abundance in the surface mixed layer were characterized by different controlling factors such as bottom-up control from nutrients to zooplankton ($129^{\circ}W$) and accumulation by increment of friction force and taxonomic interrelationship ($133^{\circ}$ and $134^{\circ}W$). Divergence-related upwelling caused introduction of nutrients into surface waters leading to the increment of chl-a concentration and zooplankton abundances ($129^{\circ}W$). Increased friction force in relation to reduced flow rates of geostrophic currents caused accumulation of zooplankton drifting from eastern stations of study area($133^{\circ}$ and $134^{\circ}W$). Besides, high correlation between immature copepods and carnivorous groups such as chaetognaths and cyclopoids also possibly contributed to the enhanced total abundance of zooplankton in the surface mixed layer (p<0.05). Zooplankton community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 B, C) which consecutively included the eastern peak of zooplankton($129^{\circ}W$), the western peak($133^{\circ}$ and $134^{\circ}W$) and high nutrient but low chl-a concentration and zooplankton abundance ($136^{\circ}W$). Moreover, Group B corresponded to the westward movement of low saline waters(<33.6 psu) from 128 to $132^{\circ}W$. In summary, longitudinal distributions of zooplankton community was characterized by three different controlling factors: bottom-up control ($129^{\circ}W$), accumulation by increased friction force and relationships among zooplankton groups ($133^{\circ}$ and $134^{\circ}W$), and mismatch between hydrological parameters and zooplankton in the high nutrient low chlorophyll area ($136^{\circ}W$) during the study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