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nerable clas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5초

토석류 재해발생 시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연구 (The Study for Enhancing Resilience to Debris Flow at the Vulnerable Areas)

  • 김성덕;이호진;장형준;도현승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8호
    • /
    • pp.5-12
    • /
    • 2021
  •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슈퍼 태풍의 발생빈도를 높이고 산지에서 토석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토사재해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태풍 등급에 따른 토석류 발생량 및 강우특성의 가중치에 따른 토석류 거동을 평가한 것이다. 토석류 해석은 시간 변화에 대한 유한차분법을 적용하였다. 태풍의 범주가 클수록 토석류 유량의 peak 값이 크고 도달시간도 빠르게 나타났다. 강수특성 가중치가 큰 경우 fluctuation 진폭이 크고 밴드폭이 넓게 나타났다. 경사면의 각도가 큰 경우 2~2.5배 이상 상승하였고, 토석류 유량의 fluctuation의 변동성이 확대되었다. 토석류의 유속은 모두가 급속도(Very rapid)에 해당하는 클래스에 속하였고, 토석류의 침식 또는 퇴적 속도의 분포는 초기부터 침식의 크기가 커졌으며 대규모의 침식이 발생하고 하류로 유하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상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토석류 재해의 예측 및 구조물적 대책, 재해 취약지역에서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대책을 세우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초등학교내 공기중 부유세균 및 바이러스 사멸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ow to Kill Airborne Bacteria and Viruses in Elementary Schools)

  • 이수연;김창수;곽은미;임종언;전재환;권준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66-573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및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의 국내 유행 이후 늘어난 신종 감염병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감염취약계층의 집단감염 위험이 있는 초등학교에서 공기살균기 적용에 따른 공기살균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시 소재의 초등학교의 교실 및 급식실, 화장실에 공기살균기를 각 1대씩 설치하고 공기살균기와 2m 떨어진 거리에서 표면 및 공기 시료를 채취하여 미설치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균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면에서의 살균효과는 대조군 및 시험군 모두 2log CFU/cm2미만의 결과가 나왔으며,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이 54~87%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기중에서의 살균효과는 공기살균기 설치 위치에 따라 살균능력이 차이 났으며, 벽면 설치는 대조군에 비해 최대 91%의 저감 효과를 보였으며, 중앙 설치는 최대 93%의 저감 효과를 보였다. 결론: 연구결과 상시적인 소독을 진행하는 초등학교에서 현재의 방역프로그램을 유지하는 한편 공기살균기의 적용하여 상시적인 공기살균을 병행하면 감염병 전파 방지에 상승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기살균기로의 공기유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중 황해거버넌스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Yellow Sea Governance of Korea and China)

  • 조동오;주현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6-192
    • /
    • 2013
  • 황해(Yellow Sea)는 평균수심(44 m)이 낮고 한국과 중국연안에 넓은 갯벌이 있어서 1차 생산성(>300 $gC/m^2/year$)이 매우 높아 수산자원 등 해양생물자원이 풍부한 생태물리환경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황해는 중국대륙과 한반도로 둘러싸인 반폐쇄해역(49만$km^2$)의 광역해양생태계로서 오염 및 남획 등에 의한 외부충격이 심할 경우 생태계의 균형이 파괴되고 회복이 불가능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최근 한 중간 어업협정 이후 중국 어민의 남획 및 불법조업 그리고 한 중 연안의 과도한 개발로 인한 환경피해로 황해생태계에 심각한 충격이 가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한 중 황해거버넌스의 주요 구성요소인 이해당사자, 법률 및 제도, 정부조직 및 정책을 고찰하고 한 중 황해국제협력인 황해광역생태계보전사업(YSLME), 북서태평양보전실천계획(NOWPAP), 한 중황해환경공동조사사업의 평가를 통해 황해의 이용 및 개발압력의 지속적 증가에 대처하는 통합적 거버넌스체계의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지역적 절멸 위험에 처한 도심 속 금개구리의 서식처 개선방안 연구 - 수인선 폐철도변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a Habitat of 'Gold-spotted Pond Frog (Pelophylax chosenicus)' in Danger of Regional Extinction in the Urban Area - Case on the Abandoned Railroad Site on Su-in Line -)

  • 양덕석;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5-107
    • /
    • 2016
  • The gold-spotted pond frog(Pelophylax chosenicus) classified as an Anura in Amphibia is sharply decreasing due to various changes of habitats environment, and designated as IUCN Red List Threatened species(VU; Vulnerable) internationally and domestic endangered species Class-II; therefore, it's in urgent need of the research on habitats restoration of the gold-spotted pond frog in order to prevent its extin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 after restoration by introducing the inhabitation elements deducted by the literature research and a field survey on the habitats for the gold-spotted pond frog in danger of regional extinction in the urban area of Ansan city, Gyeonggi-do, Korea. Accordingly, the capacity for bio-species was increased by expanding the area of habitats into $11,845m^2$, and securing the place for hibernation and corridors and discharge within the habitats, etc.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d by 9.5 times as the reproductive success rate of the gold-spotted pond frog got higher, and by virtue of improvement in the habitats, biodiversity increased to 183 species(4 species of amphibians and reptiles, 4 species of mammals, 17 species of birds, 53 species of insects(terrestrial/Benthic), 4 species of fish, and 102 species of plants). It might be possible to verify the restoration effect of the habitat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nd suggest the restoration model on the habitats for continuously survivable the gold-spotted pond frog in the urban area by deducting the matters to be improved.

독거노인의 거택환경과 기분상태, 일상생활활동 및 간호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ood States, ADL and Nursing Need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 김진희;정문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6-40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residential environment, mood states, ADL(Activity Daily Living) and nursing need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54 single household elderly over 65years who live n D-city, Kangwon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 1999 and October 17, 1999 and analyzed by means of SPSS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the subjects who owned their house was no were than $13\%$., which showed that they still belonged to the economically vulnerable class. As for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the averag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were $16.45^{\circ}C\;and\;44.62\%$ respectively during the daytime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which proved to range within the standard scope. The average indoor illumination level was, however, 43.61 Lux, which showed that their illumination environment was very poor. 2. The average score of their mood states was 3.31. which turned out to be rather low. 3. The mean score of ADL was 1.69, which showed that they didn't have any serious inconveniences in their ordinary lives. 4. The mean score of their nursing need was 275, which proved to be close to the normal level. 5. The higher the room humidity was, the higher their nursing need increased. The higher the degree of illumination level was, the lower the degree of their nursing need wa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ADL was. 6.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ir moon status were the frequency of their contact with children and room humidity. These two factors could account for $22\%$ of the total mood stat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hould be necessarily considered in the psychological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ho live alone and they should be urgently supported in terms of health policy so that they can maintain the optimum level of illumination during the daytime.

  • PDF

고대 이집트 신화에 나타난 고대 장신구 연구 (An Inquiry into the Ancient Jewelry of Ancient Egypt Myth)

  • 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71-183
    • /
    • 2009
  • 고대의 정신세계는 인류의 사상의 근원이 되는 소중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의 발달로 점차 소멸되어가는 인류의 근원적 정신세계를 고대 신화적 요소에서의 상징적 표현으로 나타나는 고대이집트 신들의 장신구로부터 연구하여, 신들의 장신구를 통해 반영되어진 고대인들의 정신세계의 독특한 인간관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집트에서 장신구는 장식적 역할도 분명하지만, 그 근본적인 목적은 부적 즉, 신체의 취약한 부분에 지님으로써 신비적이고 적대적 힘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주술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단면에서 시사하는 것처럼 인류는 인간 스스로 해결 할 수 없는 초월적인 문제를 초자연의 힘을 빌려 해결하려 하였고, 그 안에서 삶을 영위해가기를 추구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는 인류의 문명을 대표하고 있는 이집트 장신구의 형성 과정을 이집트 문화적 배경과 신화를 통해, 신들의 장신구에 내포되어 있는 정신적 의미와, 신들의 장신구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 알아보고, 또한 이집트인들이 신들의 장선 구를 통해 무엇을 염원하였는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집트 신들의 장신구들은 첫째로 자연을 묘사하고 있었고 둘째는 선분의 상정, 성별의 구분과 종교의식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며 셋째로는 사후세계를 믿었음을 보여주었고 마지막으로 부활을 상징하고 있었다.

한국의 경사지 밭의 토양 및 물의 보전 관리 전략 (Management Strategies to Conserve Soil and Water Qualities in the Sloping Uplands in Korea)

  • 양재이;유진희;김시주;정덕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435-449
    • /
    • 2010
  • Soils in the sloping uplands in Korea are subject to intensive land use with high input of agrochemicals and are vulnerable to soil erosion.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ly sound land management strategy is essential for a sustainable production system in the sloping upland. This report addresses the status of upland agriculture and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the uplands toward the sustainable agriculture. More than 60% of Korean lands are forest and only 21% are cultivating paddy and upland. Uplands are about 7% of the total lands and about 62% of the uplands are in the slopes higher than 7%. Due to the site-specificity of the upland, many manager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are occurring, such as severe erosion, shallow surface soils with rocky fragments, and loadings of non-point source (NPS) contaminants into the watershed. Based on the field trials, most of the sloping uplands were classified as Suitability Class III-V and the major limiting factor was slope and rock fragments. Due to this, soils were over-applied with N fertilizer, even though N rate was the recommendation. This resulted in decreases in yield, degradation of soil quality and increases in N loading to the leachate. Various case studies drew management practices toward sustainable production systems. The suggested BMP on the managerial, vegetative, and structural options were to practice buffer strips along the edges of fields and streams, winter cover crop, contour and mulching farming, detention weir, diversion drains, grassed waterway, and slope arrangement. With these options, conservation effects such as reductions in raindrop impact, flow velocity, runoff and sediment loss, and rill and gully erosion were observed. The proper management practice is a key element of the conservation of the soil and water in the sloping upland.

생활환경보호구역의 효율적 산림관리를 위한 실태 분석 (Analysis the actual Conditions for the Effect Management on Livelihood Environment Forest Protected Areas)

  • 박재현;이상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79-285
    • /
    • 2012
  • 이 연구는 생활환경보호구역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합리적인 산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11년 3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실시하였다. 직경급에 따른 ha당 입목본수를 분석한 결과, II영급과 III영급으로 아직 유령림의 단계를 나타내므로 간벌 및 가지치기를 통해 장령림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생활환경보호구역의 I영급의 수령이 작은 수목들에 대해서는 불량목을 제거해 주고, 우량목을 선별하여 집중적으로 무육할 필요가 있고, III영급의 수목 중 간벌 및 가지치기, 미래목으로 무육하기 위한 수종을 선택, 집중적으로 육성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생활환경보호구역의 산림은 과거 사방지로서 하층식생의 활엽수림 다양화를 위하여 리기다소나무 등 수종갱신을 위한 우수한 임목의 수하식재 및 간벌 및 가지치기 등을 통한 숲의 활력을 증진시키는 산림시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대상지역의 산림은 현재 리기다소나무림이 주수종을 이루고 있으나 단기간에 리기다소나무 등을 벌채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갱신을 유도하며 중층 및 하층을 형성하고 있는 갈참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림을 육성하는 수종 갱신시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어머니 출생국가가 다문화 청소년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에 미치는 영향: 제13차(2017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 분석 (The Influence of Mothers' Native Country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Seasonal Influenza Vaccination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13th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권미영;정수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48-156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native country on influenza vaccinations in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the 13th (2017)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a complex sample data analysi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d a father who was born in Korea and a mother born outside of Korea. The sample included 481 adolescents. Results: The analysis of non-adjusted confounding variables showed that influenza vaccination was higher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se mother's native country had an annual minimum temperature less than $21^{\circ}C$ (odds ratio [OR]: 1.81, 95% confidence interval [CI]: 1.20~2.74). Furthermore, when the analysis was adjusted for confounding variables, an annual minimum temperature less than $21^{\circ}C$ in the mother's native countr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nfluenza vaccination (OR: 2.12, 95% CI: 1.36~3.29). Conclusion: Multicultural adolescents belong to a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class, and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s are influenced by their mothers' culture. Thus, healthcare providers and school nurses should provide adolescents with appropriate information related to influenza vaccination depending on their mothers' culture and their family's cultural background.

GARCH 모형에 의한 연령별 소득계층별 국민의료비 수급 분석 (Analysis on Supply and Demand for Medical Expenditure by Age and Income Brackets: An Application of GARCH Model)

  • 이현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560-571
    • /
    • 2015
  • 본 연구는 국민의료비의 재원별 공급 분석뿐만 아니라 수요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인 연령별과 소득계층별을 동시에 고려한 모형을 설정하고 GARCH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포괄적인 형태의 의료보험제도는 보장성이 양호하게 구축되어 있지만, 연령별 및 소득계층별 지원정책을 보다 구체화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잠재적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민간재원을,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공공재원의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이와 같은 재원별 확충의 우선순위를 통해 국민의료비 지출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고령화와 관련해서 살펴보면 보건정책이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노인보건의료 관련법이나 노인장기요양보험 등이 양호하게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