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the actual Conditions for the Effect Management on Livelihood Environment Forest Protected Areas

생활환경보호구역의 효율적 산림관리를 위한 실태 분석

  • Park, Jae Hy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Sang Tae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박재현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상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ffer preliminary data for forest management from March and December 2011. Based on the number of standing trees by DBH classes, it is recommended to practice thinning and pruning to change the current young stand to mature stand. In Livelihood Environment Forest Protected Areas, young (0-10 years or 0-10 cm DBH) and detected trees need to be removed and selected healthy trees need to be heavily tended. Also, selected trees in age 20-30 (20-30 cm DBH class) need to receive concentrated tending. Since Livelihood Environment Forest Protected Areas had been vulnerable for erosion, the diversity of understory layer is low. In order to diversify deciduous trees, it is recommended to introduce new species and thin and prune existing trees. It is not proper to adapt clear cutting in a short time and should be partially regenerated using shelter-wood method or proper tending practices to the Pinus rigida dominanted forest. Tending existing under-story species including Quercus alina,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would be important.

이 연구는 생활환경보호구역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합리적인 산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11년 3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실시하였다. 직경급에 따른 ha당 입목본수를 분석한 결과, II영급과 III영급으로 아직 유령림의 단계를 나타내므로 간벌 및 가지치기를 통해 장령림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생활환경보호구역의 I영급의 수령이 작은 수목들에 대해서는 불량목을 제거해 주고, 우량목을 선별하여 집중적으로 무육할 필요가 있고, III영급의 수목 중 간벌 및 가지치기, 미래목으로 무육하기 위한 수종을 선택, 집중적으로 육성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생활환경보호구역의 산림은 과거 사방지로서 하층식생의 활엽수림 다양화를 위하여 리기다소나무 등 수종갱신을 위한 우수한 임목의 수하식재 및 간벌 및 가지치기 등을 통한 숲의 활력을 증진시키는 산림시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대상지역의 산림은 현재 리기다소나무림이 주수종을 이루고 있으나 단기간에 리기다소나무 등을 벌채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갱신을 유도하며 중층 및 하층을 형성하고 있는 갈참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림을 육성하는 수종 갱신시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05. 주요산림기능별 숲가꾸기. 연구보고 08-16. pp. 54-60.
  2. 국립산림과학원. 2008.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 표준매뉴얼. 연구신서 제5호. pp. 17-33.
  3. 박재현. 1995. 백운산 성숙활엽수림 개벌수확지에서 벌출직후의 환경변화와 운재로 침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37.
  4. 박재현, 허근영, 임홍근. 2011. 지리산 숲길 경남권역 구간의 훼손 실태 평가. 한국임학회지 100(3): 476-482.
  5. 법제처. 2006a.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2005. 8. 4. 제정).
  6. 법제처. 2006b.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2006. 8. 4. 제정).
  7. 법제처. 2011. 산림보호법(2011. 2. 5. 시행).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1-6.
  8. 산림청. 1962-2010. 임업통계연보.
  9. 우보명. 1992. 신제사방공학. 향문사. pp. 310.
  10. 우보명. 2003. 훼손지환경녹화공학. 서울대학교출판부. pp. 558.
  11. 이천용. 1995. 산림환경토양학. 진성문화사. pp. 45-88.
  12. 이천용. 2001. 환경을 지키는 숲 보안림. 임업연구원 연구신서 제1호. pp. 187.
  13. Adams, P.W. 1981. Compaction of forest soils: a pacific northwest extension publication. Oregon. USDA Forest Service. Pacific North West 217.
  14. Froehilich, H.A., Miles, D.W.R. and Robbins, R.W. 1985. Soil bulk density recovery on compacted skid trails central Idaho. Soil Science Society American Journal 49(4): 1016-1017.
  15. Krag, P., Higginbotham, K. and Rothwell, R. 1986. Logging and soil disturbance in southeast British Columbia. Canadian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16: 1345-1354. https://doi.org/10.1139/x86-238
  16. Sidle, R.C. 1980. Impacts of forest practices on surface erosion. A pacific northwest extension publication, Oregon. USDA Forest Service. Pacific North West 19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