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nerable area

검색결과 722건 처리시간 0.028초

폭우 취약성 지표를 활용한 재해취약지구 분석 (Analysis of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using Heavy Rainfall Vulnerability Index)

  • 박종영;이정식;이진덕;이원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22
    • /
    • 2018
  • 기후변화에 대한 재해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종 재해에 대한 재해취약성분석 매뉴얼이 제시되어 있으나, 공간단위, 재해취약성 등급 그리고 기후적 요소의 조건에 따라 재해취약성 분석 결과는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 중 폭우재해만을 대상으로 하여 집계구 이외의 읍 면 동단위의 공간단위와의 상대적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4등급 단계로 획일화되어 있는 자연적 분류법을 2등급 단계, 4등급 단계, 6등급 단계로 점차 확대해감으로써 분류단계에 따른 취약지구의 상대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가지로 한정되어 있는 강우특성에 대하여 기왕최대강우량(10분, 60분, 24시간)을 추가하여 강우특성에 따른 지표별 재해취약지구의 상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폭우 취약성 지표에 따른 상대적 평가 결과 공간단위에 따라서 재해취약지구의 면적비는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상관분석 결과 집계구와 읍 면 동단위의 공간분석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해취약성 등급단계, 강우특성의 지표에 따른 재해취약지구의 면적비가 상대적으로 차이를 많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분석 지표에 따른 재해취약지구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분석지표 설정 시 세밀한 지표의 선정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TOPSIS를 이용한 서낙동강 유역 비점오염 취약지역 평가 연구 (Evaluation of Non-point source Vulnerable Areas In West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TOPSIS)

  • 갈병석;박재범;김예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6-39
    • /
    • 2021
  • 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하류에 있는 서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 및 오염원 특성을 조사하여 TOPSIS(Technique for Order of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방법에 따른 소유역별 비점오염 취약지역을 평가하였다. 선정 방법은 평가인자 선정, 가중치 산정, 평가인자와 가중치를 통한 비점오염 취약지역 선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중치 산정방법으로는 엔트로피법을 이용하고 평가기법으로는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인 TOPSIS를 이용하였다. 지표 자료는 2018년을 기준으로 수집하였으며, 전국오염원조사 자료와 국가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취약한 유역들은 대부분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지역이며 거주 인구수가 많고 산업시설 및 토지계 중 대지면적 비율이 높은 유역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신뢰도 높은 비점오염 취약 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가중치 방법론의 접근이 필요하고 비점오염원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한 과학적 분석 및 영향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VULNERABILITY OF KOREAN COAST TO THE SEA-LEVEL RISE DUE TO $21^{ST}$ GLOBAL WARMING

  • 조광우;맹준호;윤종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19-225
    • /
    • 2003
  •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assess the long-term steric sea-level change and its prediction, and potential impacts to the sea-level rise due to the 21st global warming in the coastal zone of the Korea in which much socioeconomic activities have been occurred. The analysis of the 23 tide-gauge data near Korea reveals the overall mean sea-level trend of 2.31 mm/yr.In the satellite altimeter data (Topex/Poseidon and ERS), the sea-level trend in the East Sea is 4.6mm/yr. Both are larger than those of the global average value. However, it is quite questionable that the sea-level trends with the tide-gauge data on the neighboring seas of Korea relate to global warming because of the relatively short observation period and large spatial variability. It is also not clear whether the high trend of altimeter data in the East Sea is related to the acceleration of sea level rise in the Sea, short response time of the Sea, natural variability such as decadal variability, short duration of the altimeter. The coastal zone of Korea appears to be quite vulnerable to the 21st sea level rise such that for the I-m sea level rise with high tide and storm surge, the inundation area is 2,643 km2, which is about $1.2\%$ of total area and the population in the risk areas of inundation is 1.255 million, about $2.6\%$ of total population. The coastal zone west of Korea is appeared to be the most vulnerable area compared to the east and south. In the west of the Korea, the North Korea appears to be more vulnerable than South Korea. In order to cope with the future possible impact of sea-level rise to the coastal zone of Korea effectively, it is essential to improve scientific information in the sea-level rise trend, regional prediction,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near Korean coast.

  • PDF

환경보건 스크리닝 툴을 이용한 서울시 누적영향 평가 (Cumulative Impact Assessment Using Environmental Health Screening Tool in Seoul)

  • 임유라;배현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44-453
    • /
    • 2014
  • 환경위험의 피해가 환경불평등과 사회불평등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환경약자가 더 많이 피해를 받게 되는 환경 피해 불평등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미국 캘리포니아 환경보호청에서 개발한 환경보건 스크리닝 툴을 적용하여 통합적인 지역 규모의 누적영향을 평가하였다. 환경보건 취약지역을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환경노출과 건강영향의 환경부담, 민감집단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인구특성에 따라 10개 지표를 선정하였다. 환경보건 스크리닝 툴을 통하여 2009~2011년 서울시 누적영향평가를 실시한 결과, 서울의 강서와 강남지역에서 위험요인이 높게 나타났며 강서지역은 환경부담과 인구특성 모두에서 위험요인이 높았고, 강남지역은 환경부담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민감 취약계층 등 환경약자를 고려한, 공정하고 효율적인 환경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GIS 홍수 시뮬레이션에 의한 댐 상류 유역의 침수 취약지역 분석 (Analysis of the Vulnerable Area about Inundation on the Upriver Basin of Dam by Flood Simulation Using GIS)

  • 엄대용;김지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23-731
    • /
    • 2009
  • 최근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집중호우의 빈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강우강도 역시 강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지적인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댐 상류지역에서는 지형적 특성과 댐에 의한 배수위의 영향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홍수피해의 경감대책은 인구밀집지역인 하류지역에 집중되고 있어 상류지역의 침수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밀 3차원 지형모델을 구축하여 상류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강우발생시 유출특성을 조사하여 홍수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상류지역의 침수피해양상과 침수취약지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홍수시뮬레이션에 의해 상류지역의 침수발생을 재현할 수 있었으며, 발생 가능한 강우에 대한 가상 홍수 시나리오에 의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침수 취약지역과 그 피해면적을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침수 취약 지역에 대한 침수 예측도를 제작함으로써 강우 규모별 피해지역의 신속한 판단과 침수방어 대책의 수립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직사화기 무기체계의 살상확률(Pk) 산출방법론 연구 (A Study on Pk(Probability of Kill) Calculation Method of the Direct Fire Weapon System using ANN)

  • 장영천;한현진;이기택;송미진;이휘영;김종헌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99-107
    • /
    • 2019
  • 기존 본 연구팀에서 연구한 직사화기 무기효과 산출방법론은 JMEM(Joint Munitions Effectiveness Manuals : 합동탄약효과편람)내(內) 표적에 대해서만 무기효과자료를 산출 가능하다는 제한 사항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JMEM 이외의 현실적 표적을 추가하여 무기효과자료를 산출하는 방법을 인공신경망(ANN : 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적용하여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즉, 미국 JMEM내(內) 표적의 제원과 효과지수인 취약면적(Av : vulnerable area)을 이용하여 인공신경망의 예측모델을 학습시키고, 학습된 예측모델에 현실적 표적의 제원을 적용하여 취약면적을 계산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팀이 연구한 기존 직사화기 무기효과 산출방법론에 계산된 취약면적을 적용하여 살상확률(Pk)을 계산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도시공원 유치거리를 고려한 녹지취약지역 분석 - 대구광역시 남구를 대상으로 - (Analysis on Green Vulnerable Areas Considering the Catchment Area of Urban Parks - Focused on Nam-gu in Daegu -)

  • 엄정희;이윤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7-131
    • /
    • 2016
  • 본 연구는 근린생활권 측면에서의 녹지취약지역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대구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공원를 대상으로 공원별 법적 유치거리를 기준으로 도시공원의 녹지서비스 공급지역과 녹지서비스 취약지역을 분석하였다. 또한, 녹지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후보지역을 선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녹지서비스 공급지역을 분석하여, 향후 녹지서비스 취약지역의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행정구역 대비 서비스 면적률을 비교하였을 때, 현재 조성되어 있는 16개 공원에 의한 녹지서비스가 충분한 지역은 대명6동(94.4%) 및 대명5동(92.3%)이었고, 녹지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은 이천동(1.6%)과 대명10동(24.1%)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남구에 계획되어있는 12개의 미집행공원이 조성된다면 이천동의 녹지서비스 면적률이 88.6%로 향상되고, 관공서와 학교를 중심으로 녹지공간이 추가로 조성된다면 대명10동 역시 녹지서비스 면적률이 40.1%로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형평성을 고려하는 녹지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쇠퇴지역 내 신축형 서포티브주택의 특성 연구 - 미국 뉴욕시 '더 브룩' 사례를 중심으로 - (Field Visit Study of Newly Constructed Supportive Housing 'The Brook' in Decayed Area of New York, USA)

  • 이연숙;박재현;치 팅
    • KIEAE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43-52
    • /
    • 2016
  • In the 21st century, Korea had radical economic development with accelerating urban sprawl, and following declination with social polarization. City declination makes socially vulnerable people unstable and increase homelessness. The projects revitalizing decayed area utilize local idle spaces to build new facility with creative supportive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clusive characteristics of a supportive housing 'The Brook'. A field visit walk through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ere utilized as research methods. The information of a representative supportive housing field will promote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create base for further research. As results, state and knowhow of information concerning housing first policy, active government investment, space planning, management, social integration, service providing, architecture and so on offered to facilitate inclusive insights.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supportive housing were realistically analyzed through a field research.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introduce initially the effective supportive housing which has been practiced for 30 years in USA to that needs alternatives for the socially vulnerable in Korea.

폭염 취약지역 도출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를 대상으로 -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the Heat Vulnerability Area - Case Study in Chungcheongnamdo -)

  • 이경진;차정우
    • 농촌계획
    • /
    • 제25권1호
    • /
    • pp.67-74
    • /
    • 2019
  •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eat vulnerability area as represented by heat risk factors which could be attributable to heat-related deaths. The heat risk factors were temperature, Older Adults(OA), Economic Disadvantage(ED), Accessibility of Medical Services(AMS), The population Single Person Households(SPH). The factors are follow as; the temperature means to the number of days for decades average daily maximum temperature above $31^{\circ}C$, the Older Adults means to population ages 65 and above, furthermore, the Economic Disadvantage means to the population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BLSR), the Accessibility of Medical Services(AMS) means to 5 minutes away from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howed that the top-level of temperature vulnerability areas is Dong, the top-level of vulnerability OA areas is Eup, the top-level of AMS vulnerability is Eup. Moreover, the top-level of vulnerability ED area appears in the Eup and Dong. The result of analysing relative importance to each element, most of the Eup were vulnerable to heat. Since, there are many vulnerable groups such as Economic Disadvantage, Older Adults in the Eup. We can be figured out estimated the number of heat-related deaths was high in the Eup and Dong by the data of emergency activation in the Chungcheongnam-do Fire Department.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reasonable.

Comparison of Pollen Morphology Responded by High Temperature in Adzuki Bean (Vigna angularis) and Mung Bean (Vigna radiata)

  • Hye Rang Park;Eun Ji Suh;Ok Jae Won;Jae-Sung Park;Jin Hee Seo;Won Young Han;Ki Do Par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0-150
    • /
    • 2022
  • Plant reproduction associated with crop yields is highly vulnerable to global climate change components such as high and cold temperatur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ason-high exposure to temperature treatments in pollen morphology on Adzuki bean (V. angularis) and Mung bean (V. radiate). V. angularis and V. radiata were treated at high temperatures in the high temperature gradient greenhouse designed to cause temperature deviation. The pollen shapes treated at high temperature were compared by an electron scanning microscop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abnormal pollens morphology at high temperature was the least in V. radiata, and V. angularis was vulnerable to high temperatures. Also,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abnormal pollen morphology atT4 (Con +5~6℃) varied according to the cultivars of V. angularis. Therefore, the differences in Vigna species or cultivars with thermo-tolerance in pollen morphology to high temperature are projected to occur in the changeable future clim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