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mulative Impact Assessment Using Environmental Health Screening Tool in Seoul

환경보건 스크리닝 툴을 이용한 서울시 누적영향 평가

  • Received : 2014.10.24
  • Accepted : 2014.11.23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Inequality of environmental impact is forecast to deepen due to the damage of environmental risk by th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al and social inequalities causing more harms to environmentally vulnerable population. This study assessed the integrated cumulative impact of Seoul using Environmental Health Screening Tool developed by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 California. In order to screen vulnerable area to environmental health, 10 indexes have been selec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burden of exposure to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effects,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sensitive populations and socio-economic factors. As a result of assessment conducted on cumulative impact of Seoul for years 2009~2011 through Environmental Health Screening Tool, risk factor for districts of Gangseo and Gangnam of Seoul showed high - Gangseo area indicated high risk factor both in environmental burden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while Gangnam area appeared high in environmental burden. The result of survey will be able to suggest scientific basis to push through fair and effective environmental policy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 vulnerable population.

환경위험의 피해가 환경불평등과 사회불평등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환경약자가 더 많이 피해를 받게 되는 환경 피해 불평등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미국 캘리포니아 환경보호청에서 개발한 환경보건 스크리닝 툴을 적용하여 통합적인 지역 규모의 누적영향을 평가하였다. 환경보건 취약지역을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환경노출과 건강영향의 환경부담, 민감집단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인구특성에 따라 10개 지표를 선정하였다. 환경보건 스크리닝 툴을 통하여 2009~2011년 서울시 누적영향평가를 실시한 결과, 서울의 강서와 강남지역에서 위험요인이 높게 나타났며 강서지역은 환경부담과 인구특성 모두에서 위험요인이 높았고, 강남지역은 환경부담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민감 취약계층 등 환경약자를 고려한, 공정하고 효율적인 환경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