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canization temperature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전도성(導電性)고무의 제조(製造) 및 물성(物性)에 관한(關)한 연구(硏究) (II) -Barium Ferrite 혼합계(混合系) 도전성(導電性)고무-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nducting Rubber (II) -Barium ferrite System Conducting Rubber-)

  • 이영만;윤주호;최세영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0권3호
    • /
    • pp.218-228
    • /
    • 1995
  • To make filler loaded conducting rubber which has excellent electro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CR and NBR were mixed with barium ferrite(BaO.6Fe2O3).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vulcanization characteristics shows that curve is upgraded as the filler concentration increases and CR has higher torque than NBR. In physical properties, elongation being higher, modulus comes to decrease. Tear strength gradually decrease after showing the maximum point when is in the 100phr in CR. Resilience is not good to cause the increase in filler concentration. In electrical properties, conductivity becomes low when filler concentration increase. The increase of voltage makes a conductivity grown, but the rate change is weak.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hardly changes on increasing temperature. The morphology and the dispersion of a conductivity filler in vulcanizates through SEM were good. The more filler concentration increases, the shorter the particle interval is.

  • PDF

보강성 충진제를 첨가한 실리콘 고무의 난연 및 화재안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Flame Retardant and Fire Safety of Silicone Rubbers Added Reinforcing Fillers)

  • 박승호;이성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349-355
    • /
    • 2019
  • A fire, be it caused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leads to economic loss and physical damage, and requires digestion. The number of fires is increasing yearly, and electrical fires account for more than 30% among the main causes of fires. Electric wires that catch fire typically employ silicone coatings; silicone has organic as well as inorganic properties. Silicon is a natural, nonexistent, synthetic product with numerous applications. In this study, a silicon rubber for application in wires was prepared by high-temperature vulcanization (HTV) with a Shore A hardness of 70. We report results for the flame retardancy test and the fire safety characteristics via inorganic analysis. For this, a quartz inorganic material was added to the wire specimen, and 18% powdered extinguishing agent ammonium phosphate and expanded vermiculite respectively. Thus, expanded vermiculite showed the best flame retardancy and fire safety characteristics.

황가황형 EVA의 제조 및 고무와의 블렌드 (Preparation of Sulfur Crosslinkable EVA and Blend With Rubbers)

  • 진제용;최세영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4권3호
    • /
    • pp.229-23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제3의 성분으로 벤젠 술폰산계열 반응성 화합물과 ENB 및 DCPD를 사용하여 비diene계 고분자인 EVA를 특수 화학적 처리에 의하여 EVA의 주쇄에 불포화기 즉, 이중결합을 도입시켰다. 또한 이중결합도입 EVA와 diene계 범용합성고무인 CR, SBR과의 블렌드를 통하여 황가 황체를 제조하여 가황체들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원래의 EVA가 갖고 있는 green strength, 사출 압출 성형성, 접착성, 점착성, 치수안정성, 오존저항성 등의 장점은 그대로 살리면서도 황가황이 가능하여 열가소성의 EVA가 갖는 사용온도의 한계 문제와 기계적 특성 즉, 경도, 인장강도, 인장 응력, 신장율 등온 향상시켰다. 비diene계 고분자와 diene계 고분자의 블렌드에 있어서 개질에 대한 연구가 더 수행되어진다면 합성고무에서 나타나는 부족한 가공성, 내산화 안정성, 접착성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EVA의 융해유동성을 이용한 고무제품 가공공정의 연속화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 PDF

디노말부틸아민의 연소특성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ombustuion Properties of di-n-Buthylamine)

  • 하동명
    • 에너지공학
    • /
    • 제28권4호
    • /
    • pp.42-47
    • /
    • 2019
  • 본 연구에는 유화제, 살충제, 첨가제, 고무 가황 촉진제, 부식 억제제제 및 염료 생산의 원재료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디노말부틸아민(di-n-buthylamine)을 선정하여 연소특성치를 측정하였다. 디노말부틸아민의 인화점은 밀폐식 Setaflash와 Pensky-Martens 그리고 개방식 Tag, Cleveland 장치로 측정하였고, 연소점은 개방식 장치를 이용하였다. 최소자연발화온도(AIT)는 ASTM 659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디노말부틸아민의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Setaflash와 Pensky-Martens에 의한 인화점은 38 ℃와 43 ℃로 측정되었고, Tag와 Cleveland는 각각 48로 동일하게 측정되었다. 디노말부틸아민의 AIT는 247 ℃로 측정되었다. Setaflash에서 측정된 인화점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0.69 vol%, 상한계는 7.7 vol%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화점 측정과 폭발한계의 예측 방법은 다른 가연성액체의 화재 및 폭발특성 연구에 활용이 가능하다.

Trans-octylene rubber(TOR)의 첨가가 NBR/EPDM 고무블렌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octylene rubber(TOR) on the properties of NBR/EPDM rubber blends)

  • 신영식;장영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2호
    • /
    • pp.149-156
    • /
    • 2000
  • trans-octylene rubber(TOR)를 비상용성 블렌드인 NBR/EPDM(70/30)에 첨가하고, 이에 따른 혼합 특성 모폴로지 및 물성의 변화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TOR이 첨가됨으로써 블렌드 시 혼합에너지가 감소하였고, 혼합 시 수반되는 온도상승도 저하됨을 볼 수 있었다. 블렌드의 모폴로지를 SEM으로 관찰한 결과, EPDM이 NBR 매트릭스에 분산된 형태인 것을 알았으며, TOR의 첨가에 의해 분산상인 EPDM상이 균일하고 미세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TOR이 첨가됨으로써 NBR/EPDM의 인장강도, 파단신율 및 모듈러스 둥의 인장물성이 향상되었다. 오존저항성은 임계 응력-변형관계로부터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TOR이 첨가된 블렌드에서 오존크랙을 일으키는 임계에너지값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TOR의 첨가로 인한 NBR/EPDM 블렌드의 물성 향상은 모폴로지의 미세화와 사슬얽힘으로 인한 가교밀도의 변화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천연(天然)고무의 Damping Property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Damping Properties of NR Vulcanizates.)

  • 최재운;백남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0권3호
    • /
    • pp.189-204
    • /
    • 198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ynamic properties, especially the damping and fatigue properites, of NR vulcanizates and to find out the vulcanizate which can be used as damping materials in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ODR test, the S-2 vulcanizate was the fastest one in terms of having reached to optimum cure times($t_{90}$) and, with the same formula, when 50phr of HAF carbon black loaded, the shortest optimum cure times has shown. 2. The S - 2 vulcanizate was the best than the others in the physical properties. In aging properties, however, the E - 1 vulcanizate appeared to be better than the other vulcanizates. 3. The results of the RDS test for the NR vulcanization system under the condition of 0.1% strain amplitude and 1 Hz frequency showed no connection between Tg and the the nature of the crosslinking system, but 50phr loading of HAF carbon black increased Tg. The damping values of vulcanizates in the elastic region showed a strong relations the damping values and the crosslinking system. The S - 2 vulcanizate with higher crosslink density had lower damping values than other vulcanizates, and furthermore, the SH - 2 vulcanizates with 50phr loading of HAF carbon black increased the damping values. 4. The Goodrich Flexometer test showed that the heat buildup for the gum NR vulcanizates was less than for those which contained 50phr of HAF carbon black. In particular, the fatigue life of the vulcanizate with lower damping values appeared to be longer than that of the vulcanizates with higher damping values. In the fatigue test, the increasment of the loading or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vulcanizates, appeared to be shorten their fatigue life.

  • PDF

말레무수물로 개질된 클로로프렌 고무와 에폭시화 천연고무의 반응 블렌드에 기초한 자기유변 탄성체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Based on Reactive Blend of Maleic Anhydride Grafted Chloroprene Rubber and Epoxidized Natural Rubber)

  • 최진영;정경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4호
    • /
    • pp.267-274
    • /
    • 2014
  • 가교제 사용 없이 가교반응을 진행할 수 있는 경화시스템에 자기응답 입자를 분산시켜 자기유변 탄성체를 제작하였다. 클로로프렌 고무(CR)와 Maleic Anhydride(MAH)의 열과 압력을 이용한 개질법인 dynamic maleation의 공정을 이용하여 10 phr, $100^{\circ}C$에서 최적의 grafting ratio를 가짐을 FT-IR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개질된 CR-g-MAH와 에폭시화 천연고무(ENR)를 반응 블렌드시켜 가교시켰으며 가교특성은 고무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30 wt%의 ENR를 첨가하였을 때 성형하기 적합한 스코치 시간과 가교속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기응답성 입자(MRP)를 배향시키기 위해 설계 제작한 자기장부여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입자가 배향된 자기 유변 탄성체를 제조하였다. SEM을 통해 MRP의 분산 및 배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방성 자기유변 탄성체의 인장강도는 등방성 자기유변 탄성체보다 낮고, 경도는 높음을 확인하였다.

Dynamic DSC와 TGA를 이용한 NR/CR 고무블렌드의 가황시스템이 가교 및 열화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Vulcanization Systems on Cross-linking and Degradation Reactions of NR/CR Blends Using Dynamic DSC and TGA)

  • 민병권;박동률;안원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169-173
    • /
    • 2009
  • Dynamic DSC와 TGA를 이용하여 NR/CR 고무복합체의 가황시스템에 따른 가교화반응과 열화반응특성을 연구하였다. 주어진 샘플에 대하여 승온속도를 각각 달리하여 DSC 곡선을 얻었고, 가황반응이 끝난 같은 샘플을 이용하여 TGA에서도 같은 승온 속도의 실험으로 열분해 곡선을 얻은 다음, Kissinger의 해석 방법에 따라 가교 및 열화 반응의 활성화에너지를 구하고 서로 비교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NR/CR 고무복합재료는 대개 $120{\sim}180^{\circ}C$$350{\sim}450^{\circ}C$ 사이의 온도영역에서 각각 가교 반응과 열분해반응이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Kissinger의 해석방법이 잘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SC에 의한 생성 활성화에너지는 $83.0{\pm}5.0kJ/mol$로서 TGA에 의한 분해 활성화에너지인 $147.0{\pm}2.0kJ/mol$보다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가황제/가황촉진제의 조성비 변화는 반응기구의 변화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생성반응 시에는 샘플내의 저분자 화합물들과 함께 촉매역할을 하여 활성화에너지를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반면, 반응이 끝난 후에는 더 이상 촉매로서 작용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열분해활성화에너지는 주쇄의 분해반응에 의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내게 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가황시스템 변화가 배합고무의 가황반응속도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ure System on Vulcanization Reaction Constant and Physical Properties of Rubber Compounds)

  • 이석;박남국
    • 공업화학
    • /
    • 제10권3호
    • /
    • pp.419-426
    • /
    • 1999
  • 가황고무의 가황반응에 대하여 가황시스템 및 온도, 보강성충전제 첨가량 변화에 의한 반응속도상수 및 활성화에너지, 가교밀도 및 탄성상수, 가황특성 ($t_5,\;t_{90}$), 고무보강성 및 내마모성을 고찰하였다. 반응속도상수는 보강성충전제 첨가량, 가황시스템 및 가황반응온도에 대한 의존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반응온도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였다. 활성화에너지는 가황시스템중 촉진제에 대한 황 비율이 높은 가황시스템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보강성충전제 첨가량이 적을수록 작게 나타났다. 카본블랙 첨가량 변화는 고무보강성 및 내마모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가황시스템 변화는 각기 다른 영향이 나타났다. 카본블랙 첨가량이 증가하면 모듈러스가 증가하고, 내마모성이 향상되며, 스코치시간이 짧아졌으나, 가교밀도 및 탄생상수는 감소하였다. 높은 가교밀도 및 탄성상수는 카본블랙 첨가량에 관계없이 촉진제에 대한 황 비율 0.73 (${\fallingdotseq}1$)에서 나타났으며, 스코치시간 ($t_5$)은 촉진제에 대한 황 비율 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빠른 최적가황시간 ($t_{90}$) 역시 촉진재에 대한 황 비율이 1에 가까운 조건 (=0.73)에서 나타났다. 가황조건별 배합고무의 등가 가황곡선계수는 카본블랙 첨가량에 관계없이 CC 시스템에 대해서는 0.96, SEC 및 EC 시스템에 대해서는 0.74로 나타났다. 한편 가황고무의 마모된 부피는 부과된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표면 활성화된 폐 EPDM 분말의 물성과 냄새 성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urface Activated Waste EPDM and The Analysis of Odor Materials)

  • 최종만;김섭;정경호;정진수;유태욱;양준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2권4호
    • /
    • pp.249-25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웨더스트립 공정스크랩인 폐 EPDM을 재활용하기 위해 고온전단분쇄기를 이용하여 표면활성화 된 EPDM 분말을 제조하여 이의 물성과 냄새성분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폐 EPDM은 solid, sponge, solid+sponge, solid+metal형으로서 입도분석과 SEM을 통해 입자크기와 입도 분포도를 조사하였고, 가교제를 첨가하여 활성화 된 분말표면의 재가교 여부를 조사하였다. Solid형의 경우 가장 좁은 입도 분포도와 작은 입자크기, 상대적으로 높은 인장 물성을 나타내었다. 화학적 표면 탈황을 유도하기 위해 표면활성화제를 첨가한 결과 표면활성화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효율적인 탈황이 유도되었다. TPE제조를 위해 폴리올레핀과의 블렌드 시 활성화된 EPDM 분말의 동적가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교제를 첨가하여 반응을 진행한 결과 황을 첨가할 경우 가교반응이 진행되지 않았고, DCP(dicumyl peroxide)의 경우 6 phr이 첨가되었을 때 효율적인 표면 가교반응 및 최적의 인장 물성을 나타내었다. 화학적 표면 활성화를 유도한 폐 EPDM 분말의 경우 표면활성화제의 첨가로 인해 냄새가 발생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분흡착 공정과 rose oil 첨가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GC/MS를 통해 냄새 성분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