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5초

사과 유기재배 시 무기성분 함량과 수체생장과 피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neral Nutrient Contents and Growth on the Damages of Organic Apple Trees)

  • 최현석;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87-602
    • /
    • 2017
  • 온난다습 한 기후대의 미국 남부지방에서 2008년에 유기인증을 받은 '엔터프라이즈' 사과나무(Malus${\times}$domestica Borkh.)를 대상으로 수체피해[왜콩풍뎅이(Popillia japonica Newman), 설치류, 고사율, 잡초밀도]에 대한 잎과 토양의 무기성분 및 수체생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과원은 유기질 멀칭 4종류와 비료 3종류를 복합으로 처리하였고, 멀칭은 초생, 종이, 우드칩, 식물성퇴비를 포함하였고, 비료는 무비료, 계분, 상업용 유기질비료를 매년 4월에 수체 주위에 시용하였다. 수체피해인 설치류와 잡초밀도는 무기성분이나 수체생장과는 별다른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왜콩풍뎅이에 의한 잎 피해는 식물성퇴비 멀칭구에서 높았고(26.5%), 고사율은 초생멀칭구에서 가장 높았다. 주당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우드칩과 식물성퇴비 멀칭구에서 약 3,700 g으로 나머지 처리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잎의 왜콩풍뎅이 피해율은 토양과 잎의 무기성분이 증가하면 심해지는 경향을 보였고, 영양생장 지표인 주간 단면적과 강한 정의 상관관계($r^2=0.585$)가 관찰되었다. 수체 고사율은 토양 내 무기성분보다는 수체의 무기성분 함량과 수체생장과 부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이에 미국 남부지방 과원에서 시용된 우드칩은 유기물함량을 증가시키고 유목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토양 내의 풍뎅이류 등의 해충과 설치류의 피해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역 맞춤형 피복자재로 판단되었다.

Genetic Distinctness of the Korean Red-backed Vole (Myodes regulus) from Korea, Revealed by the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 Koh, Hung-Sun;Yang, Beong-Kug;Lee, Bae-Keun;Jang, Kyung-Hee;Bazarsad, Davaa;Park, Nam-Jeo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6권3호
    • /
    • pp.183-186
    • /
    • 2010
  • To identify Korean red-backed voles (Myodes regulus) from Korea by mitochondrial DNA (mtDNA) sequencing, we obtained mtDNA control region sequences of 17 red-backed voles from Korea and northeast China, and these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haplotypes of Myodes obtained from GenBank. We identified five red-backed voles from Mt. Changbai and Harbin as M. rufocanus and another three redbacked voles from Harbin as M. rutilus, respectively. Moreover, nine red-backed voles from Korea, showing the average nucleotide distance of 0.66% among nine haplotypes, were different from other species of Myodes, and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nine haplotypes of red-backed voles from Korea and seven haplotypes of M. rufocanus was 6.41%, whereas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nine haplotypes of red-backed voles from Korea and five haplotypes of M. rutilus was 14.8%. We identified the red-backed voles from Korea as M. regulus, and found that M. regulus is distinct in its mtDNA control region sequences as well, although we propose further analyses with additional specimens from East Asia using nuclear and mtDNA markers to confirm the distinctness of M. regulus.

금원산 자연휴양림 내 들쥐류의 종 분포 및 특성 (Species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Wild Mice in Mt. Keumwon Recreational Forests)

  • 이총규;강영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161-166
    • /
    • 2014
  •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wildlife management,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ecology of wild mice in Mt. Keumwon recreational forests. The trapped wild mice were a total of 4 species such as Eothenomys regulus,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Apodemus agarius, and Crocidura suaveolens. A total of 79 individuals from four species were trapped. Number of Eothenomys regulus was the highest as 41 individuals followed by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of 31 individuals, Apodemus agarius of 4 individuals, and Crocidura suaveolens of 4 individuals. Depending on forest type, 51 individuals were captured in broad-leaved forests, whereas 28 individuals were captured in coniferous forests. Average weight of the trapped Eothenomys regulus,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Apodemus agarius, and Crocidura suaveolens was 37.13 g, 36.29 g, 31.25 g, and 15 g, respectively. Among the trapped wild mice, vole which has the largest head and ears were Eothenomys regulus and vole which has the longest tail was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and Apodemus agarius (p<0.5). This study might be valuable to control and predict some damages related to wild mice in Mt. Keumwon for protecting forest trees.

번식기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의 사냥 장소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 of common Kestrel(Falco tinnunculus) hunting areas in breeding session)

  • 원일재;박민철;박현두;조삼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0-356
    • /
    • 2016
  • 동물의 번식 성공에 가장 큰 요인은 먹이의 선택이고 먹이의 선택은 서식지의 질과 양에 의해 결정되어 지며, 생물량이 높은 습지의 경우 생태계 기능의 지표로서 황조롱이의 사냥 장소의 선택은 서식 장소의 질과 양을 알아보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충남 공주시 유구읍의 황조롱이 사냥장소에 대해 4가지 유형(초지, 논, 밭, 하천변)으로 구분하여, 번식시기인 3월에서 6월까지 3년간 (2014년~2016년) 황조롱이의 행동을 기록하였다. 조사결과, 사냥의 장소는 하천변에서 높은 사냥행동을 보였고, 비행사냥은 5월과 6월에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비행사냥의 주요 획득 먹이는 포유류(쥐), 착지행동의 주요 획득 먹이는 곤충류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하천변에서는 주로 비행사냥이 이루어졌으며, 초지나 논과 밭에서는 착지 행동이 비행행동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다. 사냥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식물이 땅을 덮는 피도는 사냥지역별 차이를 보였으나 식물의 높이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냥 방법에 따른 식물의 높이는 포유류(쥐)를 잡기 위한 비행사냥이 착지사냥보다 낮은 높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황조롱이의 번식기 먹이 선택에서 하천변은 매우 중요한 환경 요소로 판단된다.

대륙밭쥐(Clethrionomys rufocanus) 정자의 미세구조 관찰 (Ultrastructural Observation on the Sperm of the Grey Red-blacked Vole, Clethrionomys rufocanus)

  • 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89-99
    • /
    • 2009
  • Cricetinae 아과 Clethrionomys 아속에 속하는 한국산 대륙밭쥐(Clethrionomys rufocanus)의 정자의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사 및 투과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C. rufocanus정자머리의 모양은 날카롭게 굽은 하나의 dorsal hook를 가지며, 전체적인 머리모양은 마치 도끼모양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C. rufocanus정자의 전체길이는 95.8 ${\mu}m$이었으며, 정자머리의 길이는 7.8 ${\mu}m$, 꼬리는 88.0 ${\mu}m$이었다. 꼬리는 경부 (1.0 ${\mu}m$), 중편부(22.0 ${\mu}m$), 주편부와 미부 (65.0 ${\mu}m$)로 각각 구성되어져 있었다. 분절주 (segmented columns)는 약 10~12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미토콘드리아의 수는 약 170~178개 정도이었다. 첨체 후 덮개는 핵의 1/2을 점유하고 있었으며, 적도절은 핵 표면의 첨체 후 덮개(post-nuclear cap)와 첨체덮개(acrosomal cap)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1, 5, 6번의 외측섬유들은 다른 것보다 더 크며, 섬유초 (fibrous sheath)와 종 지주(longitudinal column)은 주편부에서 관찰되어졌으며, 미부에서는 섬유초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정자두부와 꼬리의 형태적인 구조는 정자의 진화 패턴과 종을 분류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여겨진다.

한국산 대륙밭쥐(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의 정자변태 (Spermiogenesis in the Red-hacked Vole,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

  • 손성원;이정훈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7-69
    • /
    • 1996
  • 한국산 대륙밭쥐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 정자변태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소내 세정 관상피의 세포분화에 따른 형태적 특징들을 기초로 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륙밭쥐의 정자변태 과정은 골지(Golgi), 두모(cap), 첨체(acrosome), 성숙(maturation) 및 이탈기(spermiation phase)로 구분하였고, 다시 각각 전후단계로 세분하여 전과정을 10단계로 나누었다. 2. 염색질 변화는 골지 후기에서 서서히 응축하여 성숙기에서 균질화되고, 이탈기에서 완전한 핵을 형성하였다. 3. 정자두부는 낫꼴모양을 가지며, 정자꼬리는 골지 전기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여 이탈기에서 완성되었다. 4. 이탈 전 후기의 정자세포의 형태적 특징으로서는, 이탈전기의 정자 세포는 3가지 유형으로 구분 되어졌다. (1).미토콘드리아의 불규칙 배열과 더불어 경부와 중편부에 세포질 소적을 함유한 정자세포(A-type). (2). 미토콘드리아가 축사를 중심으로 완전히 배열되고, 중편부에 세포질 소적을 함유한 정자세포(B-type). (3) 축사를 중심으로 미토콘드리아의 배열 후 경부에만 세포질 소적을 함유한 정자세포(C-type). 그리고 이탈후기의 경우, 정자세포들이 정자두부만 Sertoli cell의 세포질에 싸여져 있거나 또는 Sertoli cell의 세포질로부터 이탈되기 직전의 정자로 구분되었다.

  • PDF

Partial Sequence Analysis of Puumala Virus M Segment from Bats in Korea

  • Yun, Bo-Kyoung;Yoon, Jeong-Joong;Lee, Yun-Tai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3-31
    • /
    • 1999
  • Hantavirus is a genus of the Bunyaviridae family causing two serious diseases,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and hantavirus pulmonary syndrome (HPS). Puumala virus is a member of hantavirus originally found in Europe, and its natural reservoir is Clethrionomys glareolus. It is also associated with the human disease nephropathia epidemica, a milder form of HFRS. To identify the hantaviruses in bats, bats were collected from Jeong-Sun, Won-Joo, Chung-Ju and Hwa-Cheon area in Korea, and nested RT-PCR was performed with serotype specific primer from M segment. Interestingly, Puumala virus was detected in bats (Rhinolophus ferrum-equinum) only from Won-Joo. The 327 bp nested RT-PCR product, was sequenced. The sequence database search indicates that the sequence is homologous to the published sequence of Puumala viruses. The sequence similarities were ranged from 71% to 97%. The highest sequence similarity was 97% with Puumala virus Vranicam strain, and the lowest was 71% with Puumala virus K27 isolate. Puumala virus Vranicam strain was isolated from a bank vole (Clethrionomys glareolus) in Bosnia-Hercegovina. Puumala virus K27 was isolated from human in Russia. This analysis confirms that bats (Rhinolophus ferrum-equinum) in Korea are natural reservoir of Puumala virus.

  • PDF

Historical Review and Notes on Small Mammals (Mammalia: Erinaceomorpha, Soricomorpha, Rodentia) in Korea

  • Lee, Jeong-Boon;Kim, Yong-Ki;Bae, Yang-Seop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0권3호
    • /
    • pp.159-175
    • /
    • 2014
  • A taxonomic study of small mammals (Erinaceomorpha, Soricomorpha and Rodentia)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scientific names which have been used in Korea. The synonymy of each species and taxonomical research was reviewed and confirmed in this study. The species names are rearranged based on recent studies. Among the various confused names, available names were adopted such as follows: C. shantungensis shantungensis known as Crocidura suaveolens; C. shantungensis quelpartis known as C. dsinezumi; Rattus tanezumi known as R. rattus, called black rat, roof rat and ship rat, respectively. Apodemus sylvaticus (Muridae, wood mouse) is excluded in the checklist based on indistinct previous records and ambiguous habi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eighbors. In addition, we provide a new Korean vernacular name for Myocastor coypus, called the "Nutria" in Korea. We reflect that several species are repositioned to other genera. A checklist of Korean small mammals and synonym list for each species is provided to avoid confusion of scientific names in Korea. In this study, the list of small mammals in Korea is arranged to 33 species, 20 genera, 8 families, and 3 orders.

Bowl-feed 연마기법에 의한 초연마 반사경 기판의 표면 거칠기 특성 (Surface roughness characteristics of the super-polished)

  • 조민식
    • 한국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12-316
    • /
    • 2000
  • Bowl-feed식 연마공정에 의한 초연마 반사경 기판의 표면 거칠기 특성이 전통적인 fresh-feed식 연마공정의 경우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Bowl-feed식 연마기법에 의해 가공된 반사경 기판의 표면 거칠기는 fresh-feed식 연마공정에 비해 약 3배 개선되었으며, 표면 거칠기 RMS값의 경우 $0.5\AA$이하, 최고 $0.3\AA$의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연마된 반사경 기판의 1차원 표면 거칠기 분포도와 표면 거칠기 amplitude spectrum으로부터 fresh-feed 공정에 대한 bowl-feed 연마공정의 기판표면구조 변화상태가 분석되었다.

  • PDF